이번호는 흩어진 담론의 파편들을 끌어모아 한국 건축이 일본이라는 거울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게 만든다. 번역어의 계보부터 동시대 건축가들의 실천까지 이 잡지 속의 풍부한 문헌과 깊이 있는 분석은 그 자체로 학술적 성취라 할 만하다. 하지만 이 지적 축적이 과연 동시대 한국 건축이 마주한 교착 상태를 돌파할 날카로운 칼날을 만들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

책 전반에 흐르는 톤은 어딘가 모르게 둔하고 안전하다. 이는 마치 잘 정리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무의식적인 ‘자기방어적 첨삭’의 결과물처럼 보인다. 일본을 통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하면서도, 정작 우리 내부의 가장 불편한 문제들을 정면으로 겨누는 것을 주저하는 것 같다. 알지만 회피해서 무뎌진 부정들을 바라보지만, 안전한 역사적 분석과 이론적 고찰의 경계 안에 머무르려는 태도가 녹아있는 것만 같다.

하지만 알다시피 건축의 외연을 확장하는 일은 안전지대 안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필연적으로 위험을 무릅쓰는 행위다. 이론적 담론이 우리가 당면한 현실, 즉 에너지 위기, 인구 절벽, 정치적 양극화와 같은 문제들과 만나는 지점에 건축이 서려면, 기존의 견고한 관념들을 해체하는 날카로운 시도가 필요하다. 지금껏 건축이 회피해 온 모든 것들은 현실의 인과관계 속에 있으며, 그것들을 외면한 채 건축을 묘사하는 것은 지적 나태이지 않을까?

미로 2호 <일본>은 훌륭한 숫돌이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필요한 것은 잘 갈린 칼날이며, 그것을 휘두를 용기다. 이 책이 그저 또 하나의 교양 서적으로 남지 않기 위해서는, 독자들이 이 책에 긁혀서 더 위험한 질문을 던지며 건축의 외연을 확장하는 시도로 이어져야만 한다. 그럴 때 비로소 우리는 경계의 환상을 넘어설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