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현대 건축 이론 지형도 그리기
현대 건축 이론은 모더니즘이나 포스트모더니즘과 같은 단일 패러다임이 지배하던 시대를 지나, 명확한 중심 없이 다양한 담론이 공존하는 '포스트-패러다임(post-paradigm)'적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지형 속에서 오늘날 가장 의미 있는 학술적 탐구는 크게 세 가지 지적 흐름의 합류점에서 나타난다. 바로 계산적 패러다임(The Computational Paradigm), 포스트-휴먼 전환(The Post-Human Turn), 그리고 **비판적 전환(The Critical Turn)**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흐름은 서로 분리된 경향이 아니라, 상호 정보를 제공하고 도전하며 깊이 연관된 탐구 분야를 형성한다.
본 보고서는 이 세 가지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현대 건축 이론의 지형도를 그리고자 한다. 계산적 패러다임은 디자인의 개념 자체를 재정의하고 있으며, 포스트-휴먼 전환은 인간 중심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비인간 행위자(non-human actor)의 역할을 조명한다. 비판적 전환은 건축을 사회적, 정치적 실천의 장으로 이끌며 그 역할을 재고하게 한다. 이 분야의 성공적인 석사 학위 논문은 기술, 철학, 그리고 사회-정치적 참여 사이의 복잡한 교차점을 탐색해야 함을 주장할 것이다. 또한, 포괄적인 세계관을 구축하기 위해 역사적 선례를 재평가하고, 한국 건축계에서 부상하는 담론과 같은 비서구적 논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본 보고서는 최신 학술 논문, 산업 보고서, 철학 텍스트를 종합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분야에 대한 일관된 지도를 구축하는 방식을 취한다.1 이를 통해 건축 이론 분야의 대학원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틀과 통찰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1부: 계산적 패러다임과 디자인의 재정의
이 장에서는 디지털 도구가 수동적 도구에서 디자인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행위자로 진화하면서 형태, 재료, 저자성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는 현상을 분석한다.
1.1. 파라메트리시즘에서 포스트-파라메트리시즘으로: 알고리즘 형태의 유산
파라메트리시즘(Parametricism)은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Zaha Hadid Architects)의 파트너였던 파트리크 슈마허(Patrik Schumacher)에 의해 모더니즘의 후계자로 자리매김한 지배적인 아방가르드 스타일로 정의된다.4 그 핵심 교리는 경직된 기하학적 형태(사각형, 원 등)와 단순 반복을 피하고(부정적 휴리스틱), 파라미터를 통해 가변적이고 상호 적응하며 점진적으로 분화하는 시스템을 추구하는 것(긍정적 휴리스틱)이다.4 이러한 스타일의 등장은 포드주의(Fordism) 시대의 대량 생산에서 포스트-포드주의(Post-Fordism) 시대의 대량 맞춤 생산으로의 사회-경제적 전환과 깊은 관련이 있다.4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가 수행한 대규모 도시 마스터플랜들은 파라메트리시즘이 복잡한 프로그램적 요구를 어떻게 조직하고 표현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5 이러한 작업은 파라메트릭 모델링과 스크립팅(예: Rhino-script)과 같은 진보된 계산 도구에 전적으로 의존하며 발전해왔다.5
그러나 초기 파라메트리시즘은 종종 순수한 형태 탐구나 기술적 유희에 머물러 비정치적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포스트-파라메트리시즘'적 논의가 등장하며, 알고리즘 디자인의 역할을 단순한 형태 생성을 넘어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제작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복합성의 차원으로 확장시키고 있다. 이는 파라메트리시즘이 건축을 변수와 규칙의 시스템으로 정상화함으로써, AI가 건축 분야에 통합될 수 있는 개념적,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음을 시사한다. 즉, AI는 파라메트릭 프로젝트의 논리적 계승자로 볼 수 있으며, 기하학적 변수뿐만 아니라 언어적 프롬프트와 같은 의미론적 변수까지 다루는 '파라메트리시즘 2.0'으로 이해될 수 있다.
1.2. 디지털 물성과 로봇 공예: 데이터와 물질의 통합
'디지털 물성(Digital Materiality)'은 그라마지오 콜러 리서치(Gramazio Kohler Research)가 개척한 개념으로, 디지털 제작이 데이터와 물질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는 주장에 기반한다.6 이 접근법에서 물질은 디지털 정보에 의해 '정보화된 물질(informed material)'이 되며, 건축가의 관심은 최종 형태의 디자인에서 생산 과정 자체의 디자인으로 이동한다.8
이러한 연구의 중심에는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urich)의 컴퓨터 제어 산업용 로봇을 활용한 연구 시설이 있다.6 이들은 로봇 제조 기술을 통해 디자인 데이터로부터 직접 혁신적인 건축 기법과 새로운 건축적 표현을 탐구한다.7 흙 기반 재료를 사용한 '임팩트 프린팅(Impact Printing)'이나 드론을 활용한 '공중 건설(Aerial Construction)'과 같은 프로젝트는 이러한 아이디어를 급진적으로 확장한 사례다.10
이 접근법은 디지털 프로세스를 통해 벽돌이나 목재와 같은 전통적인 재료를 재해석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부여한다.10 그 결과, 디지털 질서의 논리와 재료 고유의 속성이 대화하며 새로운 '감각성(sensuality)'을 창출한다.9 관찰자는 직관적으로 이해되는 재료의 물성과 프로그래밍된 디자인 논리 사이의 긴장감을 경험하게 된다.9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물성 개념은 현재의 생성형 AI 미학과 근본적인 긴장 관계를 형성한다. 디지털 물성이 재료의 물리적 거동, 허용 오차, 고유한 특성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반면 8, 현재의 생성형 AI는 주로 2D 시각 데이터로 학습되어 물리적 제약과 무관하게 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이다.13 이 간극을 메우는 것, 즉 AI의 의미론적, 시각적 생성 능력과 로봇 제작의 물리적, 구조적 논리를 연결하는 것이 오늘날 건축 연구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1.3. 알고리즘 공동 저자: 생성형 AI와 건축적 의도의 위기
생성형 AI(Generative AI)의 등장은 건축계에 단순한 도구를 넘어 '공동 저자적 행위자(co-authorial agent)'로서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15 AI의 활용 범위는 미드저니(Midjourney), DALL-E와 같은 텍스트-이미지 변환 모델을 사용한 초기 컨셉 디자인과 시각화에서부터 13, 데이터 분석, 디자인 최적화, 프로세스 자동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15
생성형 AI는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고 신속한 프로토타이핑과 실시간 타당성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축의 작업 흐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13 특히 중요한 변화는 디자인의 중심이 '그리는 행위'에서 '쓰는 행위'로 이동한다는 점이다. 건축가는 이제 AI를 유도하기 위해 정교한 프롬프트(prompt)를 작성해야 하므로, 기호학과 의미론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17
이러한 변화는 건축가의 전통적인 저자성에 대한 이론적 위기를 초래한다. 르네상스 이래로 확립된 '창조주적(demiurgic)' 설계자로서의 역할은 도전을 받게 되며 16, 건축가는 무(無)에서 형태를 창조하는 대신 AI의 결과물을 선택,引导, 해석하는 '프로세스의 큐레이터(curator of processes)'로 변모한다.16 이는 지적 재산권과 직업적 책임에 관한 법적, 윤리적 질문을 제기하며, 미국 건축사 등록 위원회(NCARB)는 AI가 도구일 뿐 최종 책임은 건축가에게 있음을 강조하는 지침을 발표하기도 했다.15
동시에, AI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방대한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알고리즘은 표준화된 미학 코드를 재생산하여 형태적 획일화를 초래하거나, 건축가가 알고리즘의 결과물에 종속될 위험이 있다.16 이러한 맥락에서, AI 시대의 건축적 표현은 새로운 이해를 요구한다. 케네스 프램톤(Kenneth Frampton)의 구조학 이론이 재료를 결합하는 예술에서 표현의 시학을 찾았다면 19, 생성형 AI 시대에는 언어적 프롬프트를 구성하는 행위 자체가 '구조적' 행위가 된다. 단어와 수식어, 의미 관계를 선택하고 배열하는 '결합의 기술'이 최종 건축물의 시학을 결정하는 '의미론적 구조학(semantic tectonics)'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부상하는 것이다.
제2부: 포스트-휴먼 전환: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는 건축
이 장에서는 건축 이론의 중요한 철학적 전환을 탐구한다. 이는 인간 중심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재료에서부터 생태계에 이르는 비인간 개체의 행위성과 실재를 인정하는 관점이다.
2.1. 객체지향 존재론(OOO)과 물러나 있는 건물
객체지향 존재론(Object-Oriented Ontology, OOO)은 그레이엄 하먼(Graham Harman)에 의해 주창된 사변적 실재론의 한 갈래로, 인간, 비인간, 자연물, 인공물을 포함한 모든 것을 인간의 인식과 무관하게 자율적 존재를 갖는 '객체(object)'로 간주한다.21 OOO의 핵심 개념은 '물러남(withdrawal)'으로, 객체의 진정한 실재는 우리나 다른 객체로부터 항상 물러나 있어 완전히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이다.23
이러한 관점에서 건축은 단순히 인간 활동을 담는 용기나 지각된 특성들의 집합이 아니다. 건물은 그 기능, 재료, 미학적 외관을 넘어서는 하나의 '실재 객체(real object)'다.24 하먼이 제안한 '형태와 기능의 제로화(zeroing)'는 이 물러나 있는 실재에 미학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위한 방법론이다.24 한 연구에서는 3D 포토그래메트리(photogrammetry)를 미학적 기법으로 사용하여 '제로화'를 설명한다. 건물을 주변 환경과 융합시키는 포인트 클라우드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이 기법은 객체와 그 속성 사이의 '느슨함'을 강화하고, 역사적 또는 기능적 해석을 넘어 폐허 자체를 하나의 객체로서 사유하게 한다.24
2.2. 신유물론과 비인간의 행위성
신유물론(New Materialism)은 물질을 수동적이고 비활성적인 대상으로 보는 전통적 관점에 도전하며, 재료를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는 '능동적 행위자(active agents)'로 인식하는 이론적 틀이다.26 이 이론은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재료, 환경 시스템, 심지어 뉴캐슬 사례 연구의 지하 공동과 같은 존재 포함)의 상호연결성을 강조한다.26
신유물론적 접근의 특징은 재료의 고유한 속성과 거동에 대한 강조, 살아있는 재료나 바이오 기반 기술의 통합, 재료의 전체 생애주기에 대한 주목, 그리고 자연과 건축 환경 간의 경계를 흐리는 것 등이다.26 이러한 접근은 인간 중심적 디자인과 복잡한 물질 생태계 인식 사이의 모순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태학적 의식과 기술 혁신의 통합체로 볼 수 있다.26 이를 통해 신유물론은 건축 실천에 있어 보다 겸손하고 윤리적으로 책임감 있으며 지속 가능한 태도를 장려한다.26
2.3. 암흑 생태학과 인류세의 건축
티머시 모턴(Timothy Morton)의 '암흑 생태학(Dark Ecology)'은 '자연'과 '문명'을 낭만적으로 분리하는 전통적인 환경주의를 비판한다.28 암흑 생태학은 우리가 생태적 그물망(mesh) 속에 얽혀 있다는 사실의 "아이러니, 추함, 공포"를 끌어안는 생태학적 인식을 의미한다.29
모턴의 '하이퍼오브젝트(hyperobjects)' 이론은 기후 변화나 스티로폼처럼 시간과 공간에 걸쳐 방대하게 분포하여 특정 위치에 국한되지 않는 대상을 설명한다.29 인류세(Anthropocene)의 건축은 필연적으로 이러한 하이퍼오브젝트들에 의해 출몰한다. 모턴은 이 이론을 건축에 적용하며 '유령 들린 집(haunted house)'이라는 은유를 사용한다. 인간의 삶보다 오래 지속되는 건물은 결코 현재에 온전히 존재하지 않으며, 과거의 수정과 내외부의 거대한 힘들(하이퍼오브젝트)과의 얽힘이라는 '유령 같은 반짝임(spectral shimmer)'에 의해 이중화된다.31 이 '유령성(spectrality)'이 바로 생태학적 인식이 주는 느낌이며, 건축적, 윤리적 결정에 있어 이 기이한 현존을 고려하도록 강요한다.31
이러한 포스트-휴먼 담론들은 인간을 중심에서 탈피시키려는 동일한 지적 프로젝트의 여러 측면을 보여준다. 객체지향 존재론이 모든 객체의 독립적 실재를 주장하는 형이상학적 토대를 제공한다면 22, 신유물론은 이 존재론을 실천에 적용하여 디자인 과정에서 물질의 '행위성'에 초점을 맞춘다.26 그리고 암흑 생태학은 인간의 통제가 환상에 불과한 하이퍼오브젝트의 세계에 사는 기이하고 불안한 감정, 즉 '유령성'이라는 정서적, 윤리적 차원을 제공한다.28 특히 건축에서 주목받는 적응형 재사용(adaptive reuse)은 이러한 포스트-휴먼 렌즈를 통해 재해석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지속 가능성을 위한 실천을 넘어, 기존 건물이 지닌 '유령 들린' 본성과 내재된 역사의 행위성에 직접 관여하는 행위다.34 적응형 재사용 프로젝트에서 기존 건물은 재활용될 비활성 객체가 아니라, 새로운 디자인을 형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동적 행위자로 간주된다.
제3부: 비판적 전환: 사회적, 정치적 실천으로서의 건축
이 장에서는 건축을 사회 관계, 권력 구조,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는 능동적 행위자로 위치시키는 이론적 틀을 검토한다.
3.1. 캐논의 탈식민화: 유럽중심주의 시각을 넘어서
건축계에서 '교육과정의 탈식민화' 요구는 역사적으로 북반구에 편중된 시각에 도전하고, 이전까지 소외되었던 지역, 저자, 공간적 실천들을 포함하려는 움직임이다.36 스웨덴 왕립예술원의 '건축 탈식민화(Decolonizing Architecture)' 과정은 이러한 흐름의 중요한 사례 연구를 제공한다.37 이 과정의 교육학은 "장소, 개념, 사람"을 연결하는 것에 기반하며, 특정 '장소'를 "행동의 장소이자 지식의 장소"로 이해한다.37
이론적 렌즈로서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로부터 비롯된 '내부 식민화(internal colonization)' 개념이 활용된다. 이는 유럽 내의 주변부 영토조차 제국주의적 야망과 국내 정책이 결합된 추출과 수탈의 대상이 되어왔음을 분석하는 틀을 제공한다.37 이를 통해 이주나 농촌 문제와 같은 현대적 이슈를 재사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3.2. 정의를 위한 디자인: 포용을 위한 도구로서의 건축
사회 정의 건축은 특히 소외된 집단과 같은 '사용자'를 디자인 과정의 중심에 두는 실천으로 정의된다.38 이는 인종, 성별, 부, 능력 등에 기반한 사회적 장벽을 허물고 모두에게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38 이 목표는 단순히 건물을 짓는 것을 넘어, 사용자들이 불평등과 분리의 상태에서 벗어나 공동체에 포함되고 참여하는 경험을 하도록 돕는 데 있다.38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고립을 조장하는 대신, 가시성과 공유 공간을 확보하는 등 사회적 상호작용을 고려한 실질적인 디자인이 요구된다.39
예를 들어, 지역 여성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어진 모로코 울레드 메르주그(Ouled Merzoug)의 '여성의 집'은 만남, 작업, 교육의 장소로서 공동체에 힘을 실어주는 건축의 역할을 보여준다.38 이처럼 사회 정의와 탈식민주의 담론은 '사용자'라는 개념을 재정의하는 데서 수렴한다. 모더니즘 건축이 종종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사용자를 상정했다면, 이 비판 이론들은 복잡한 사회적, 정치적 힘에 의해 정체성이 형성되는 구체적이고 종종 소외된 사용자에 초점을 맞출 것을 요구한다.
3.3. 기억, 트라우마, 그리고 재건: 증인으로서의 건축 환경
건축은 집단 기억, 정체성, 역사적 서사를 담는 물리적이고 상징적인 그릇이다.40 모리스 알박스(Maurice Halbwachs)의 '집단 기억(collective memory)'과 '기억의 사회적 틀(social frameworks of memory)' 개념은 기억이 건축적 장소에 기입될 때 비로소 살아남는다고 주장하며 이 관계의 기초를 마련했다.42
프랑스 역사학자 피에르 노라(Pierre Nora)는 살아있고 주관적인 '기억(memory)'과 비판적이고 객관적인 재구성인 '역사(history)'를 구분한다. 그는 전통적이고 자생적인 기억을 상실한 사회에서 기억이 응축되는 장소, 즉 기억의 장소(lieux de mémoire) 개념을 통해 건축 기념물과 유적지를 분석하는 틀을 제공했다.44
다니엘 리베스킨트(Daniel Libeskind)의 작업은 트라우마와 기억을 위한 디자인의 대표적 사례다.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과 같은 그의 프로젝트는 위안을 주기보다는 사건의 트라우마를 표현하고 유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7 그는 공허(void), 방향 감각을 잃게 하는 동선, 파편화된 형태를 통해 부재와 상실의 역사적 서사를 강렬한 공간적 경험으로 번역한다.49
이러한 논의는 모술이나 베를린과 같은 분쟁 후 재건 상황에서 건축의 역할로 확장된다.41 재건은 기술적 문제를 넘어, 트라우마를 겪은 공동체의 유산과 경쟁하는 기억들을 다루는 과정이다.41 폐허를 복제할 것인가, 재창조할 것인가, 혹은 보존할 것인가의 선택은 사회의 미래 서사를 형성하는 비판적 행위가 된다.50 결국 건축은 사회적 선을 위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집단 기억을 둘러싼 투쟁의 장이 되는 것이다. 공공 광장, 기념물, 박물관을 디자인하는 행위는 한 국가의 기억에 정치적으로 개입하는 행위이며, 리베스킨트의 작업은 역사적 기억상실에 맞서 의도적으로 기억의 경험을 설계하는 명확한 예시다.
제4부: 구조 및 서사 전통에 대한 현대적 재평가
이 장에서는 20세기의 중요한 이론과 작품들이 오늘날의 도전에 비추어 어떻게 재해석되고 재맥락화되는지 탐구하며, 순수하게 디지털적이거나 장식적인 접근법에 대한 지속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4.1. 결합부의 시학: 카를로 스카르파의 역사와의 대화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의 작업은 모더니즘 원칙과 장인적 기법의 대가다운 융합으로 평가되며, 장인정신, 재료, 역사적 맥락에 대한 깊은 존중을 보여준다.52 그의 접근법의 핵심은 **결합부(joinery)**와 **요소들 간의 협상(negotiation)**에 중점을 둔 '형태에 대한 일반적 태도'로 규정된다.53
그의 디테일은 '구조적 응축(tectonic condensation)'으로, 결합부가 전체를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55 그의 작업은 새것과 낡은 것, 서로 다른 재료, 공간 등 분리된 요소들 간의 대화이며, 국지적인 협상을 통해 대립을 해결한다.53 이는 건축물 자체의 역사와 구축 방식을 전달하는 다층적이고 중첩적인 건축을 만들어낸다.56
카스텔베키오 박물관(Castelvecchio Museum) 개조 프로젝트는 이러한 접근법의 정수를 보여준다. 스카르파의 개입은 단순한 복원이 아니라, 이전의 파시스트 시대 복원을 포함한 건물의 복잡한 역사에 대한 비판적 해석이다.57 그는 의도적인 단절, 선택적 철거, 그리고 역사적 잔재와 현대적 부재의 신중한 구성을 통해 방문객을 위한 서사적 경로를 창조하여, 그들을 '발견의 행위'에 능동적으로 참여시킨다.59 칸그란데(Cangrande) 기마상의 배치와 *사첼로(sacello)*의 디자인은 이 서사의 핵심적인 순간들이다.57 스카르파의 '결합부에 대한 숭배'는 디지털 형식주의가 만들어내는 매끄럽고 분화되지 않은 표면에 대한 강력한 이론적, 미학적 대안 서사를 제공한다. 파라메트리시즘이 연속적인 형태를 추구하는 반면 4, 스카르파의 방법론은 정반대로, 분리된 부분들 사이의 연결, 틈, 결합의 순간을 기념함으로써 차이를 명료하게 표현한다.53
4.2. 비판적 지역주의의 지속적인 타당성: 구조와 장소
케네스 프램톤(Kenneth Frampton)의 영향력 있는 이론,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표피적, 이미지 중심적 경향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구조학(tectonics)**에 대한 그의 집중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19 프램톤은 건축이 근본적으로 '구축적 공예(constructional craft)'이며, 그 의미는 '구축의 시학(poetics of construction)'에서 파생된다고 주장한다.61
그의 이론적 틀은 토포스(topos, 장소), 티포스(typos, 유형), 그리고 *텍토닉(tectonic, 구축)*이라는 세 가지 벡터의 상호작용에 기반하며, 이는 세계화가 초래하는 장소성의 상실에 저항하는 의미 있는 건축의 토대가 된다.62 프램톤의 '비판적 지역주의(Critical Regionalism)'는 디지털 패러다임이 낳는 보편적이고 균질한 해결책에 대한 강력한 비판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그의 촉각성, 물질성, 장소 특정성에 대한 강조는 가상 디자인의 비물질성과 글로벌 '스타키텍처'의 스펙터클에 대한 중요한 균형추 역할을 한다. 프램톤의 이론은 디지털 실천을 비판하는 것을 넘어, 디지털 실천을 위한 비판적 틀을 제공한다. 그의 구조학적 렌즈를 통해 AI 기반 디자인이나 디지털 물성과 같은 새로운 '구축' 방식을 평가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건축을 단지 신기함이 아닌, 그 구조적 진실성에 기반하여 평가하는 이론적 언어를 제공한다.
제5부: 집중 담론: 현대 한국 건축 이론
이 장에서는 특정 국가적 맥락 안에서 세계적인 건축 이론이 어떻게 해석, 경합, 통합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연구를 제공하며, 비유럽중심적 학위 논문 연구의 모델을 제시한다.
한국 현대 건축 이론의 핵심에는 전쟁 이후 급격하고 서구 지향적인 근대화를 겪으며 지속된 '전통성'에 대한 논쟁이 자리 잡고 있다.63 이 과정에서 유교나 풍수와 같이 전근대 건축 실천에 깊이 통합되어 있던 전통과의 단절이 발생했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65
1990년대 이후 '4.3 그룹'과 같은 건축가 집단과 승효상, 우경국과 같은 건축가들을 중심으로, 전통 모티프의 피상적 적용을 넘어 전통과 현대성의 변증법적 통합을 시도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64 이는 '마당'과 같은 전통적 공간 개념을 현대 건축 언어 안에서 비판적으로 재해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67
배형민과 같은 비평가들의 작업은 지난 한 세기 동안 한국 건축과 도시주의의 변모를 추적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66 그의 분석은 "개인 건축가의 주관적 아이디어와 사회의 객관적 구조", 즉 '구조화된 장(structured field)'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며, 개별 디자인 선택을 더 넓은 사회적, 역사적 힘과 연결하는 정교한 분석 모델을 제공한다.66
한국의 건축 담론은 프램톤의 비판적 지역주의와 보편화하는 근대성의 힘 사이의 세계적 긴장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과거의 모방이나 서구의 복제품이 아닌 현대 한국 건축을 정의하려는 노력은 이 근본적인 이론적 논쟁의 지역화된 버전이다.68 한국 건축가들이 전통적 공간 유형을 재해석하고 장소성에 주목하는 방식은 프램톤 이론의 실질적인 적용 사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현대 한국 건축 이론과 실천은 21세기 비판적 지역주의의 가능성과 도전에 대한 중요한 실제 실험 사례로 연구될 수 있다.
결론: 학위 논문 연구 방향 설정
본 보고서는 현대 건축 이론이 계산적 패러다임, 포스트-휴먼 전환, 비판적 전환이라는 세 가지 주요 흐름의 교차점에서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였다. 이 결론은 분석된 내용을 종합하여 대학원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핵심적 긴장 관계의 종합
현재 건축 이론의 핵심적인 논쟁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변증법적 긴장 관계 속에서 전개된다.
- 가상 대 구조 (The Virtual vs. The Tectonic): 이미지 기반의 AI 생성물과 '디지털 물성' 또는 프램톤의 '구조학'이 강조하는 물질적 현실 사이의 긴장.
- 행위성 대 저자성 (Agency vs. Authorship): 객체지향 존재론과 신유물론이 제기하는 비인간 행위성에 대한 철학적 인식과, AI 시대에 제기되는 인간 저자성의 실질적/법적 문제 사이의 충돌.
- 보편 대 장소 특정성 (The Universal vs. The Situated): AI, 파라메트리시즘과 같은 글로벌 기술 시스템의 보편성과, 탈식민주의, 사회 정의, 비판적 지역주의가 요구하는 사회적, 문화적으로 특화된 건축 사이의 대립.
제안 연구 분야
이러한 긴장 관계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은 상위 수준의 연구 질문들을 제안할 수 있다.
- (계산적 패러다임) 구조적 표현의 원리를 어떻게 생성형 AI에 부호화하여 시각적으로 매력적일 뿐만 아니라 재료적, 구조적으로 지능적인 디자인을 만들 수 있는가?
- (포스트-휴먼 전환) 신유물론적 틀을 사용하여, 산업 건물의 적응형 재사용을 건축가와 기존 구조물의 물질적 쇠퇴 및 역사적 흔적이 갖는 '행위성' 사이의 협상 과정으로 분석할 수 있는가?
- (비판적 전환) 기억의 장소 개념을 활용하여 특정 도시의 전후 재건 과정을 분석하고, 새로운 도시 구조 속에서 어떤 기억이 보존되고 어떤 기억이 지워졌는지 그 정치적 선택을 드러낼 수 있는가?
방법론적 지침
다양한 연구 질문에 적합한 연구 방법론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기술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는 사례 연구 및 프로토타이핑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철학적 개념을 다루는 연구는 문헌 분석 및 이론적 탐구가 중심이 될 것이다. 사회적, 역사적 현상을 다루는 연구는 질적 연구, 해석적 연구, 역사 및 아카이브 연구가 적합하다.1
다음 표는 본 보고서에서 논의된 주요 이론적 경향과 잠재적 연구 방향을 요약하여, 대학원생들이 자신의 연구 프로젝트를 구상하는 데 실용적인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는 광범위한 조사를 연구를 위한 실행 가능한 로드맵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이론 동향 및 잠재적 연구 분야
| 이론적 경향/패러다임 | 주요 주창자/문헌 | 핵심 개념 | 주요 연구 방법 | 잠재적 논문 주제 (예시 질문) |
| 디지털 물성 | 그라마지오 콜러 리서치 | 정보화된 물질, 로봇 공예, 공정 중심 디자인 | 사례 연구, 프로토타이핑, 실험 | 로봇 제작 기술이 지역 재료와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형태의 지역성(vernacular)을 개발할 수 있는가? |
| 생성형 AI와 저자성 | (다수) | 공동 저자, 프로세스 큐레이팅, 의미론적 구조학 | 이론 연구, 비평 분석, 디자인 실험 | AI 시대에 건축가의 창의성은 어떻게 재정의되며, 이는 건축 교육에 어떤 변화를 요구하는가? |
| 객체지향 존재론 (OOO) | 그레이엄 하먼, 『Architecture and Objects』 | 물러남(Withdrawal), 제로화(Zeroing), 실재 객체 | 철학적 분석, 비평적 해석 | OOO에 기반하여 미니멀리즘 주택에서의 '기능' 개념을 비판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가? |
| 신유물론 | (다수) | 물질의 행위성, 인간-비인간 연결망, 생태학적 사유 | 사례 연구, 질적 연구, 현장 조사 | 적응형 재사용 프로젝트에서 기존 건물의 '물질적 행위성'이 새로운 디자인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 탈식민주의 이론 | 알레산드로 페티, 마리-루이즈 리차즈 | 내부 식민화, 지식의 장소, 캐논 비판 | 역사/아카이브 연구, 교육학 비평 | 특정 건축 대학의 교육과정을 탈식민주의적 렌즈를 통해 분석하고 대안적 교육 모델을 제안할 수 있는가? |
| 기억과 트라우마 이론 | 다니엘 리베스킨트, 모리스 알박스, 피에르 노라 | 집단 기억, 기억의 장소, 트라우마의 건축화 | 사례 연구, 기호학 분석, 현상학적 분석 | 기억의 장소 개념을 통해 특정 도시의 전후 재건을 분석하고, 기억의 정치학을 어떻게 드러내는가? |
| 구조 문화 (Tectonic Culture) | 케네스 프램톤, 『Studies in Tectonic Culture』 | 구축의 시학, 비판적 지역주의, 토포스/티포스/텍토닉 | 역사/이론 연구, 건축물 분석 | 프램톤의 구조학 이론을 현대 디지털 건축물 분석에 적용하여 그 '구축적 진실성'을 평가할 수 있는가? |
| 스카르파의 재해석 | 카를로 스카르파 | 결합부의 시학, 역사와의 대화, 물질성 | 건축물 심층 분석, 도면 분석 | 카를로 스카르파의 '결합부' 디자인 원리를 디지털 제작 방식에 적용하여 새로운 구조적 표현을 탐구할 수 있는가? |
참고 자료
- spacestudies.co.uk,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spacestudies.co.uk/blog/common-types-of-research-methodology-in-architecture/#:~:text=There%20are%20different%20types%20of,applications%2C%20advantages%2C%20and%20limitations.
- Architectural Research Methods Table | PDF - Slideshar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slideshare.net/slideshow/architectural-research-methods-table/3665899
- Common Types of Research Methodology in Architecture - Space Studies,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spacestudies.co.uk/blog/common-types-of-research-methodology-in-architecture/
- Parametricism - Wikipedia,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Parametricism
- Parametricism – A New Global Style for Architecture and Urban ...,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patrikschumacher.com/parametricism-a-new-global-style-for-architecture-and-urban-design/
- Digital Materiality in Architecture | Lars Müller Publishers,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lars-mueller-publishers.com/digital-materiality-architecture
- Visiting Lecture | Fabio Gramazio: Digital Materiality | cooperedu - Cooper Union,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cooper.edu/events-and-exhibitions/events/visiting-lecture-fabio-gramazio-digital-materiality
- Digital by Material. Envisioning an Extended Performative Materiality in the Digital Age of Architecture - City Tech OpenLab,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openlab.citytech.cuny.edu/anzalonearch3631spring2015-/files/2011/06/030713-Kohler-Reading-2.pdf
- Digital Materiality in Architecture | PDF | Design | Robot - Scribd,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282123202/Digital-Materiality-in-Architecture
- Gramazio Kohler Research,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gramaziokohler.arch.ethz.ch/
- Review | Fabio Gramazio | Gramazio Kohler Research ETH Zurich - en - Sto-Stiftung,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sto-stiftung.de/en/home/press/article/review-fabio-gramazio-gramazio-kohler-research-eth-zurich
- Effect of Material and Process Specific Factors on the Strength of Printed Parts in Fused Filament Fabrication: A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 MDPI,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1996-1944/12/10/1664
- How to Use AI Architecture Generator in 2025? - Neuroject,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neuroject.com/ai-architecture-generator/
- AI in Architecture: Trends, Tips, and Examples in 2025 - gb&d magazin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gbdmagazine.com/ai-in-architecture/
- A Review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nhancing Architectural Design Efficiency - MDPI,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2076-3417/15/3/1476
- Design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eflections on Authorship, Intentionality, and Creativity in Contemporary Architectural EducationDiseño con Inteligencia Artificial: Reflexiones sobre Autoría, Intencionalidad y Creatividad en la Formación Arquitectónica Contemporánea - ResearchGat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94231319_Designing_with_Artificial_Intelligence_Reflections_on_Authorship_Intentionality_and_Creativity_in_Contemporary_Architectural_EducationDiseno_con_Inteligencia_Artificial_Reflexiones_sobre_Autoria_Inten
- 59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WITH A FOCUS ON CULTURAL AND SEMANTIC ASPECTS Hidayet - Jomard Publishing,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jomardpublishing.com/UploadFiles/Files/journals/NDI/SI2024/SoftaogluH.pdf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Authorship of the Architect - Des Fagan,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www.desfagan.co.uk/home/ai-and-the-authorship-of-the-architect/
- Studies in Tectonic Culture: The Poetics in Construction in Nineteen and Twentieth Century Architecture - Context BD,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ntextbd.com/studies-in-tectonic-culture-the-poetics-in-construction-in-nineteen-and-twentieth-century-architecture/
- Studies in Tectonic Culture: The Poetics of Construction in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Architecture by Kenneth Frampton, Paperback | Barnes & Noble®,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barnesandnoble.com/w/studies-in-tectonic-culture-kenneth-frampton/1103854319
- Graham Harman – Landscape Architecture Platform | Landezin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landezine.com/topics/thinkers-practitioners/graham-harman/
- Graham Harman - Wikipedia,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Graham_Harman
- OOO: The Inner Surplus of Meaning – Landscape Architecture Platform | Landezin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landezine.com/ooo-the-inner-surplus-of-meaning/
- Full article: Waking the ruin: Graham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photogrammetry and the dami of Imbros,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23311983.2025.2457225
- Discussing the object-oriented ontology of Harman and the changing status of architectural object - DergiPark,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dergipark.org.tr/tr/download/article-file/3510099
- New Materialism in Architecture: Embracing Material Agency and Ecological Thinking -,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gettherapybirmingham.com/new-materialism-in-architecture-embracing-material-agency-and-ecological-thinking/
- What lies beneath? The material agency and politics of the ...,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53804017_What_lies_beneath_The_material_agency_and_politics_of_the_underground_in_urban_regeneration
- DARK ECOLOGY: OBSCURITIES ILLUMINATED - DiVA portal,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uu.diva-portal.org/smash/get/diva2:1844031/FULLTEXT01.pdf
- Timothy Morton - Wikipedia,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Timothy_Morton
- What Is Dark Ecology? - Sonic Acts | Archiv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sonicacts.com/archive/what-is-dark-ecology
- Timothy Morton: Haunted Houses - SCI-Arc,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sciarc.edu/events/lectures/timothy-morton-haunted-houses
- What Is Timothy Morton's Dark Ecology? - TheCollector,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collector.com/what-is-timothy-morton-dark-ecology/
- Object-oriented ontology - Wikipedia,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Object-oriented_ontology
- Top 3 Architecture Trends for 2025 | METALCON,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metalcon.com/blog/latest-architecture-trends-to-know-in-2025/
- (PDF) Adaptive Reuse Architecture Documentation and Analysis - ResearchGat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09519831_Adaptive_Reuse_Architecture_Documentation_and_Analysis
- Decolonizing Architectural Pedagogies Chaired by Harriet Harriss, Dean of Architecture at Pratt Institute, and John Harris, Dir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architecture.ou.edu/wp-content/uploads/2019/07/Decolonising-Architectural-Pedagogies-1.pdf
- Decolonizing Architecture: Internal colonization and the countryside ...,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e-flux.com/announcements/448903/decolonizing-architecture-internal-colonization-and-the-countryside
- An overview of social justice architecture - RTF | Rethinking The Futur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thinkingthefuture.com/architectural-styles/a7490-an-overview-of-social-justice-architecture/
- HOUSING DESIGN - A SOCIAL THEORY - Office of Justice Programs,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ojp.gov/ncjrs/virtual-library/abstracts/housing-design-social-theory
- Architectural Memory - DiVA portal,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diva-portal.org/smash/get/diva2:1973178/FULLTEXT01.pdf
- The role of architectural reconstruction in a post-war context: the case of Mosul,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61803820_The_role_of_architectural_reconstruction_in_a_post-war_context_the_case_of_Mosul
- The Reflection of Collective Memory in Architectural Studies - فرهنگ معماری و شهرسازی اسلامی,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iauj-tabriziau.ir/article-1-261-en.html
- Architecture and the Social Frameworks of Memory: A Postscript to Maurice Halbwachs' “Collective Memory” - DOAJ,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doaj.org/article/31eda872dcb048299cb5d8038209b542
- Lieu de mémoire - The Art and Popular Culture Encyclopedia,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artandpopularculture.com/Les_Lieux_de_M%C3%A9moire
- Lieu de mémoire - Wikipedia,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Lieu_de_m%C3%A9moire
- www.sciencepublishinggroup.com,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sciencepublishinggroup.com/article/10.11648/j.ijp.20210904.16#:~:text=In%20the%20end%2C%20Nora%20makes,of%20selective%20forgetting%20or%20memory.
- How Daniel Libeskind Commemorated Tragedy in 5 Holocaust Memorials - Arch2O.com,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h2o.com/holocaust-memorial-daniel-libeskind/
- The Architecture of Trauma: Daniel Libeskind in New York City and Berlin - Bankert, Kelsey,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abebooks.com/9781482777987/Architecture-Trauma-Daniel-Libeskind-New-1482777983/plp
- Architecture of Memory: The Jewish Museum in Berlin - Lines-Hub,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thelineshub.com/architecture-of-memory-the-jewish-museum-in-berlin/
- How do post-war architectural designs reflect the trauma and devastation of conflict? - RTF,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re-thinkingthefuture.com/architectural-community/a13472-how-do-post-war-architectural-designs-reflect-the-trauma-and-devastation-of-conflict/
- (PDF) Urban Memory After War: Ruins and Reconstructions in Post-Yugoslav Cities,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58489531_Urban_Memory_After_War_Ruins_and_Reconstructions_in_Post-Yugoslav_Cities
- Italian Modernism: Carlo Scarpa and the Architecture of Geometry, Water and Light,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modernismweek.com/2025/films-lectures/italian-modernism-carlo-scarpa-and-architecture/
- Carlo Scarpa Connections in Design: A Generic Attitude by Ellen C. Soroka - DSpace@MIT,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dspace.mit.edu/bitstream/handle/1721.1/29840/06775230-MIT.pdf?sequence=2
- Carlo Scarpa Connections in Design: A Generic ... - DSpace@MIT,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dspace.mit.edu/bitstream/handle/1721.1/29840/06775230-MIT.pdf
- 1-frampton-on-scarpa-adoration-of-joint.pdf - WordPress.com,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doarch331sp16arlt.files.wordpress.com/2016/01/1-frampton-on-scarpa-adoration-of-joint.pdf
- Carlo Scarpa – Layers - Edition Axel Menges,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www.axelmenges.de/buch/Schultz,Scarpa.pdf
- Scarpa's Castelvecchio - eScholarship.org,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escholarship.org/content/qt6ws3f5zn/qt6ws3f5zn_noSplash_da814602ba72fdd234886d0b2616bea6.pdf?t=krnf0b
- Recreating the Past: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Refashioning of the Medieval Castle of Castelvecchio in Verona under th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journals.flvc.org/athanor/article/download/126691/126244/207556
- Carlo Scarpa's Re-design of Castelvecchio in Verona, Italy,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acsa-arch.org/proceedings/Annual%20Meeting%20Proceedings/ACSA.AM.86/ACSA.AM.86.89.pdf
- (Left). Castelvecchio Museum's plan of the exhibition area of the... | Download Scientific Diagram - ResearchGate,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Left-Castelvecchio-Museums-plan-of-the-exhibition-area-of-the-statue-of-Cangrande_fig1_371925343
- Book Review of Studies in Tectonic Culture | tectonicdetail - WordPress.com,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tectonicdetail.wordpress.com/2012/10/11/book-review-of-studies-in-tectonic-culture/
- Kenneth Frampton Studies in Tectonic Culture Introduction | PDF | Space - Scribd,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783313087/kenneth-frampton-studies-in-tectonic-culture-introduction
- Appreciating 'Ugly' Late 20th Century Architecture in Korea,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anthony.sogang.ac.kr/transactions/VOL97/Vol.97_6_Nate%20Kornegay_Late%2020th%20Century%20Architecture%20in%20Korea.pdf
- Historical sustainability and the embodiment of 'traditionality' in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sbt-durabi.org/articles/pdf/dQrk/durabi-2025-016-03-7.pdf
- KOREAN AND WESTERN ARCHITECTURAL TRADITIONS IN COMPARISON A THESIS SUBMITTED TO THE GRADU,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td.lib.metu.edu.tr/upload/12623158/index.pdf
-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Modern Korea / Inha Jung - HKU Press,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hkupress.hku.hk/image/catalog/pdf-preview/9789888208029.pdf
- How Contemporary South Korean Architecture Is Making a Name for Itself - modlar.com,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modlar.com/news/225/how-contemporary-south-korean-architecture-is-making-a-name-for-itself/
- On the Grounds of Modern Architecture: An Interview with Kenneth Frampton,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journal.eahn.org/article/id/7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