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새로운 근본 문제의 제기
존 헤이덕(John Hejduk)의 나인 스퀘어 그리드(Nine-Square Grid)는 단순한 디자인 연습 과제를 넘어, 전후(戰後) 건축 교육이 직면한 위기감에 대한 급진적인 교육학적 응답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문제의 핵심 목적은 건축을 부수적이고 외적인 요소들, 즉 대지, 프로그램, 클라이언트, 사회적 이슈 등으로부터 분리하여 건축 고유의 "제1원칙"—공간 조직의 내적 통사론(syntax)과 문법—을 고립시키고 탐구하는 데 있었다.1
전후 교육학적 맥락
1950년대 초반 미국 건축 교육계는 기존의 보자르(Beaux-Arts) 전통의 잔재와 유럽 모더니즘에 대한 교조적이고 기능주의적인 해석 모두에 대한 불만으로 가득 차 있었다.2 젊은 교육자들은 건축이라는 학문을 위한 새롭고 엄격한 지적 토대를 모색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나인 스퀘어 그리드는 탄생했다.
'텍사스 레인저스'와 제1원칙의 탐구
나인 스퀘어 그리드의 등장은 1954년에서 1956년 사이 오스틴의 텍사스 대학교 건축대학에서 존 헤이덕, 콜린 로(Colin Rowe), 베른하르트 회슬리(Bernhard Hoesli), 로버트 슬러츠키(Robert Slutzky) 등이 포함된 '텍사스 레인저스(Texas Rangers)'라 불리는 그룹이 개발한 혁신적인 커리큘럼의 일부였다.3 이 그룹의 목표는 순전히 기능적이거나 양식적인 관심사에서 벗어나, 건축 학문 자체의 지적 내용에 기반한 새로운 교육학을 정립하는 것이었다.2 헤이덕의 구체적인 목표는 점, 선, 면, 볼륨과 같은 근본적인 요소에 집중하여 건축의 "제1원칙"을 찾는 것이었다.1
철학적 도구로서의 그리드
나인 스퀘어 그리드는 학생들로 하여금 건축 형태의 순수한 통사론과 마주하게 하기 위한 "부품 키트(kit-of-parts)"이자 "중립적인 게임판(neutral game-board)"으로 고안되었다.7 미리 주어진 추상적인 '새장(cage)'을 제공함으로써, 이 문제는 무(無)에서부터 창조해야 하는 부담을 덜어주는 대신, 고정된 프레임과 그 안에 추가되는 요소들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에 학생들의 주의를 집중시켰다.7 이를 통해 평면 다이어그램은 건축 작업의 개념적 토대로서 확립되었다.7
이러한 접근법의 기저에는 단순히 건축 원리를 가르치는 것을 넘어, 학생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선입견을 적극적으로 지우려는 의도가 있었다. 당시 교육계는 엄격함이 부족하다고 여겨졌으며, 제약이 없는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박공지붕과 같은 도상학적 요소나 자쿠지 같은 편의 시설, 혹은 순수한 기능적 해결책에 이끌리는 경향이 있었다.7 나인 스퀘어 문제는 의도적으로 이러한 모든 요소를 제거했다. 대지, 클라이언트, 기능, 도상학이 부재하는 "비물질성(immateriality)"은 학생들에게 순수한 형태와의 대면을 강요했다.8 이러한 제거 과정은 기존의 지식을 버리고 직관적이며 언어 이전의 접근을 장려했던 바우하우스 예비과정(Vorkurs)의 목표와 유사하다.9 이는 건축을 '영도(zero degree)'로 되돌리는 행위였다. 따라서 그리드는 구성적인 연습일 뿐만 아니라 해체적인 연습이기도 했다. 학생들의 '집'이나 '건물'에 대한 기존 이해를 점, 선, 면과 같은 추상적 구성 요소로 분해한 뒤, 새로운 내적 논리에 따라 재조립하도록 유도했다. 즉, 의미론이나 실용론보다 통사론에 초점을 맞춘 특정 종류의 건축적 사고를 생산하기 위해 고안된 교육학적 필터였던 것이다.
II. 다이어그램의 계보: 지적 기원과 형성적 영향
나인 스퀘어 그리드는 임의적인 발명품이 아니라, 역사 분석, 예술 이론, 모더니즘 교육학을 정교하게 종합한 결과물이었다. 이 섹션에서는 그리드의 지적 계보를 상세히 추적하여 그 형성 과정을 밝힌다.
로와 비트코버를 경유한 팔라디오의 선례
헤이덕이 이 문제를 정립하는 데 가장 직접적이고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콜린 로가 1947년에 발표한 에세이 「이상적 빌라의 수학(The Mathematics of the Ideal Villa)」이었다.10 로는 루돌프 비트코버(Rudolf Wittkower)가 저서 『인문주의 시대의 건축 원리(Architectural Principles in the Age of Humanism)』에서 제시한 다이어그램을 바탕으로, 안드레아 팔라디오(Andrea Palladio)의 빌라들을 아홉 개의 정사각형 격자, 즉 나인 스퀘어 그리드의 변형으로 환원하여 분석했다.7 이러한 분석은 단순하고 추상적인 다이어그램이 풍부하고 복잡한 공간 조직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1 헤이덕의 그리드는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메종 도미노(Maison Domino)'를 세 겹으로 쌓아 팔라디오 빌라의 기본 '파티(parti)'에 맞춘 것으로, 로의 분석 방법을 교육학적으로 구체화한 것이었다.10 이를 통해 모더니즘과 르네상스를 공통된 형식 논리로 연결하는 "초역사적 형태(transhistorical figure)"가 탄생했다.10
바우하우스의 유산과 게슈탈트 심리학
텍사스 대학교의 커리큘럼은 요제프 알버스(Josef Albers)의 제자였던 로버트 슬러츠키와 리 허쉬(Lee Hirsche)를 교수로 초빙하면서 바우하우스 교육학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었다.10 바우하우스 예비과정은 재료, 색, 형태의 탐구를 통해 "행하며 배우는(learning by doing)" 것을 강조했으며, 이는 학생들이 관습적인 아카데미의 제약에서 벗어나 근본을 탐구하도록 유도한 헤이덕의 방법론과 목표를 공유한다.12 또 다른 중요한 영향은 독일 게슈탈트(Gestalt) 이론의 원리를 형태 심리학에 적용한 미술사학자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에게서 왔다.7 나인 스퀘어 그리드는 중립적인 틀 안에 '중심', '가장자리', '모서리'라는 "자연적 위계(natural hierarchy)"를 내재하고 있어, 게슈탈트 원리를 탐구하기에 이상적인 기하학적 형식으로 간주되었다.7 따라서 구성적 결정은 이 미리 존재하는 지각의 장(perceptual field)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현상적 투명성: 공간적 목표
이 연습의 궁극적인 공간적 목표는 콜린 로와 로버트 슬러츠키가 공동으로 집필한 기념비적인 에세이에서 명료하게 제시된 "현상적 투명성(Phenomenal Transparency)"의 개념을 탐구하는 것이었다.7 이 개념은 유리를 통해 물리적으로 들여다보는 "실재적 투명성(Literal Transparency)"과 대조된다. 현상적 투명성이란 완벽한 외피로 공간을 규정하는 대신, 가장자리의 상응과 추론을 통해 다층적이고 모호하며 상호 관입하는 공간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7 기둥(점)과 벽(면)이라는 추상적 요소로 구성된 그리드는 이러한 정교한 공간 관계를 탐구하기 위한 "이상적인 매개체(ideal vehicle)"가 되었다.7
나인 스퀘어 그리드는 역사주의적 모방에 의존하지 않고 건축사로부터 배우는 방법을 모색하던 20세기 중반 모더니스트들의 핵심적인 딜레마를 해결하는 교육적 장치였다. 정통 모더니즘은 반(反)역사적 입장을 취했으나, 1950년대에 이르러 이는 학문적 풍요로움을 잃게 만드는 막다른 길로 여겨졌다.11 콜린 로가 팔라디오와 르 코르뷔지에를 분석한 방식은 혁명적이었는데, 그는 거대한 역사적, 양식적 차이를 무시하고 순전히 형식적, 공간적 근거 위에서 두 건축가를 비교했다.10 그는 모더니즘 건축을 "다른 역사적 양식과 같은 하나의 양식"으로 취급했다.17 헤이덕의 그리드는 이러한 통찰을 교육적으로 실행에 옮긴 것이다. 그는 팔라디오의 나인 스퀘어라는 역사적 다이어그램을 가져오되, 재료, 장식, 문화적 맥락 등 모든 역사적 특수성을 제거했다.1 이를 통해 "역사의 비역사적 도구 상자(ahistorical toolbox of history)"가 만들어졌다.10 학생들은 팔라디오라는 깊이 있는 건축적 선례와 관계를 맺으면서도, 점, 선, 면과 같은 완전히 추상적이고 모더니즘적인 언어로 작업해야만 했다. 결과적으로 그리드는 모더니즘이 역사를 모방할 양식의 원천이 아니라 추상적인 조직 원리의 보고(寶庫)로 "회복"할 수 있게 해주었다.2 이는 역사적 깊이에 대한 갈망과 추상에 대한 모더니즘적 헌신 사이의 긴장을 해소하는 종합적인 해결책이었으며, 전후 시대의 핵심적인 지적 과제에 대한 응답이었다.
III. 문제의 메커니즘: 건축 형태의 문법
이 섹션에서는 연습 과제 자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규칙, 순서, 표현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이 어떻게 건축적 "문법"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구축하도록 설계되었는지 분석할 것이다.
게임의 규칙
이 연습은 주어진 조건에서 시작된다. 학생들에게는 16개의 기둥으로 정의된 "미리 존재하는 나인 스퀘어 새장"이 주어진다.7 이것이 고정된 맥락, 즉 "중립적인 게임판"이다.7 이후 학생들은 이 새장 안에 추가하고 배열할 수 있는 "부품 키트", 즉 제한된 종류의 건축 요소(패널, 볼륨 등)를 받는다.7 핵심 과제는 새장의 기둥(점)과 벽(선/면) 사이의 "통사론적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7 초점은 구성과 암시적인 공간 형태의 창조에 맞추어져 있다.7
점진적 복잡성: 구조화된 탐구
이 문제는 단일 과제가 아니라 점진적으로 복잡해지는 일련의 탐구 과정으로 구성된다. 헤이덕 자신이 1954년에 작성한 문제 설명서는 명확하고 다단계적인 과정을 보여준다.18 이 순서는 전체 패널 조작에서 시작하여 반 패널, 곡선 패널로 이동하고, 이후 이를 다양한 각도(45°, 60°)로 결합하는 단계로 나아간다.18 후반 단계에서는 큐브나 원기둥과 같은 볼륨과 계단, 경사로와 같은 순환 요소를 도입하여 학생들의 건축 어휘를 체계적으로 확장시킨다.18 이 과정은 바닥, 벽, 지붕에 대한 복잡성의 연속체를 따라 진행되는 총 아홉 개의 구성물을 만드는 것으로 정점에 달한다.19
표 1: 나인 스퀘어 그리드 연습의 점진적 단계 (1954년경 기준)
| 단계 | 문제 설명 (Hejduk, 1954 기반) | 도입되는 핵심 건축 개념 |
| 1 | 초기 설정: 16개 기둥으로 정의된 9칸 그리드. | 중립적 프레임; 공간 속의 점. |
| 2 | 평면 조작 (직교): 전체 패널, 이후 반 패널(수평/수직) 추가. | 선과 면; 공간 분할; 솔리드/보이드. |
| 3 | 평면 조작 (곡선): 곡선 패널과 반원 추가. | 오목함/볼록함; 형태의 대조. |
| 4 | 평면 조작 (회전): 45° 또는 60°로 전체 패널 추가. | 동적 긴장감; 직교 그리드의 파괴. |
| 5 | 복합 조합: 전체, 반, 곡선, 회전 패널 결합. | 레이어링; 현상적 투명성. |
| 6 | 분리: 기둥 프레임에서 떨어져 시스템 배치 (접촉하지 않음). | 요소 간의 긴장; 근접성을 통한 공간 정의. |
| 7 | 볼륨 도입: 다양한 크기의 볼륨(정육면체, 원, 삼각형) 생성 및 결합. | 매스(Mass)와 볼륨; 포지티브/네거티브 공간. |
| 8 | 순환: 계단과 경사로(직선, U형, 원형) 구축. | 공간을 통한 움직임; 수직적 연결. |
표현의 삼각구도
이 연습은 세 가지 표현 방식 사이의 끊임없는 번역을 요구한다.18
- 평면: 순차적인 디자인 결정이 이루어지는 개념적 "게임판".7
- 축측투영(Axonometric): 헤이덕은 공간을 평평하게 만들어 구성의 2차원적이고 추상적인 특성을 강조하는 특정 90도 또는 등각투영법을 선호했다. 이는 큐비즘의 얕은 공간감과 유사하며, 평면 다이어그램의 개념적 우선순위를 강화한다.1
- 모델: 2차원에서 개발된 공간적 아이디어를 3차원으로 검증하는 도구. 이는 "제작의 아이디어"와 드로잉의 물리적 함의를 드러낸다.18
IV. 교육학에서 실무로: 헤이덕 작품 속의 그리드
이 섹션에서는 나인 스퀘어 그리드가 단지 교육 도구에 그치지 않고, 10년 이상에 걸친 헤이덕 자신의 건축적 탐구의 생성적 핵심이었음을 보여준다. 그의 주요 프로젝트들을 통해 그리드의 논리가 어떻게 탐구되고, 질문을 던지고, 궁극적으로 초월되었는지를 추적할 것이다.
텍사스 하우스 (1954-1963): 연구로서의 그리드
헤이덕의 일곱 채의 "텍사스 하우스(Texas Houses)"는 나인 스퀘어 그리드의 제약 조건 내에 잠재된 공간적 가능성을 직접적이고 엄격하게 탐구한 결과물이다.7 이 프로젝트들은 그가 새롭게 시작한 교육학적 초점의 이론적 토대를 스스로 명확히 하기 위한 방법이었다.7 각 주택은 주제에 대한 변주로서, 수평적 요소(대지, 평면, 지붕)와 수직적 요소(기둥 그리드, 수직면) 사이의 관계를 방법론적으로 탐구한다.21 이 연작은 헤이덕이 자신의 교육적 연습 과제를 건축 연구의 한 형태로 활용했음을 보여준다.
다이아몬드 하우스 (1962-1967): 장(Field)의 회전
이 연작은 나인 스퀘어 문제로부터의 비판적 진화, 즉 "갑작스러운 이탈(sudden drift)"을 보여준다.23 헤이덕은 기둥과 평면으로 이루어진 직교 그리드를 가져와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의 다이아몬드 형태 캔버스에서 영감을 받아 전체 캔버스를 45도 회전시킨다.1 이 회전은 원래 그리드의 안정적이고 위계적인 공간을 깨뜨리고, 주변부의 긴장을 고조시키며, 평면의 경계를 넘어 확장되는 장(field)을 암시한다.1 이 프로젝트는 새롭게 회전된 장 안에서 기둥(하우스 A), 평면(하우스 B), 그리고 생물 형태의 형상(뮤지엄 C)이 갖는 형식-공간적 가능성을 탐구한다.23
월 하우스 (1968-1974): 그리드의 폭발
월 하우스(Wall House) 연작은 그리드 논리의 정점이자 급진적인 해체를 의미한다. 그리드가 요소들을 일관된 전체로 통합했다면, 월 하우스는 그것들을 폭발시킨다.24 기능적 구성 요소(방)들은 서로 분리된 개별적인 생물 형태의 볼륨으로 고립되어, 하나의 지배적이고 독립적인 벽에 매달려 있다.1 한때 그리드 안의 하나의 요소에 불과했던 벽은 이제 주된 조직의 기준점으로 격상된다. 즉, 주택의 파편들을 분리하는 동시에 연결하는 "통과의 선"이자 "현재의 순간"이 되는 것이다.25
헤이덕의 건축적 진화는 나인 스퀘어 그리드의 진정한 힘이 그것이 만들어낸 해결책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노출시킨 새롭고 더 복잡한 문제들에 있었음을 드러낸다. 그의 경력은 그리드 자체가 만들어낸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으로 읽을 수 있다. 텍사스 하우스는 그리드의 규칙 내에서 한계를 탐구했다. 이들은 시스템을 완성했지만, 동시에 정면성, 층화, 안정된 중심이라는 내재적 제약을 드러냈다.21 다이아몬드 하우스는 이러한 제약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이었다. 45도 회전은 그리드로부터 물려받은 "정면성과 공간의 수평적 층화라는 편견"을 깨기 위해 고안된 구체적인 건축적 '수(move)'였다.23 그리드가 안정성이라는 문제를 제기했다면, 다이아몬드 하우스는 회전을 해결책으로 제안한 것이다. 월 하우스는 그리드가 제기한 더 깊은 문제, 즉 연결 자체의 본질에 응답한다. 그리드는 요소들(기둥, 벽, 공간)을 긴장감 있는 통합된 장 안에 유지한다. 월 하우스는 "이 연결들을 끊으면 어떻게 될까?"라고 묻는다. 그것은 그리드의 구성 요소들을 원자화하고, 단일한 벽에 의해 조직된 새롭고 급진적인 위계 속에서 재조립한다.25 따라서 헤이덕의 작품 세계는 그리드로부터의 선형적인 발전이 아니라, 그것과의 변증법적 관계 맺음이다. 그리드는 기초적인 정립(thesis)이었고, 이는 다이아몬드 회전이라는 반정립(antithesis)을 낳았으며, 최종적으로 월 하우스라는 급진적인 새로운 종합(synthesis)으로 이어졌다. 나인 스퀘어 그리드는 그의 초기 경력 전체를 위한 문제 생성 엔진이었던 것이다.
V. 본질적인 해답: 로나 맥뉴어와 문제의 신격화
이 섹션에서는 1976년 로나 맥뉴어(Lorna McNeur)의 학생 작품이 갖는 독특한 위상을 분석한다. 헤이덕은 이 작품을 "본질적인(quintessential)" 해답이라고 칭하며, 그 이후로는 이 문제를 더 이상 가르칠 필요가 없다고 느꼈다고 공언했다. 이 사례 연구는 그녀의 해석이 왜 그토록 결정적인 것으로 여겨졌는지 탐구한다.
맥락
1976년, 쿠퍼 유니언(The Cooper Union) 1학년이었던 로나 맥뉴어는 나인 스퀘어 그리드 문제에 대한 모델을 제작했다.28
헤이덕의 선언
그녀의 작품이 "본질적인 나인 스퀘어 그리드 해답"이라는 헤이덕의 발언은 이 연습의 역사에서 중추적인 순간이다.28 이는 그의 관점에서 이 문제의 교육학적 잠재력이 완전히 실현되고 소진되었음을 시사한다.
'본질적' 특성의 분석
시각 자료가 제한적이지만, 그녀의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을 종합해 보면, 맥뉴어 자신은 1년간의 탐구를 "건축의 신비로운 구조를 이루는 단일 요소들의 단순함을 발견하는 것"이라고 묘사했다.31 그녀의 해답은 아마도 이 연습의 핵심 목표들을 완벽하게 종합한 것으로 보인다.
- 통사론적 명료성: 기본 요소들(그리드, 프레임, 기둥, 보, 패널) 사이의 명확하고 판독 가능한 관계.10
- 공간적 복잡성: 현상적 투명성의 본질인 다층적이고 모호하며 상호 관입하는 공간의 성공적인 창출.7
- 형식적 무결성: "그것이 탄생한 생각의 무결성을 존중하는" 디자인으로, 문제의 이론적 토대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줌.31
현재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 소장된 이 모델은 "지속적인 적합성과 지적 엄격함"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29
맥뉴어의 프로젝트는 단순히 문제를 해결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종결점에 이를 정도로 완성시켰다. 이 작품은 궁극적인 교육적 사례가 되었고, 열린 탐구였던 연습 과제를 정전(canonical)적인 답을 가진 해결된 문제로 변모시켰다. 교육학적 문제는 다양한 탐구를 생성하는 한 '살아있다'. 그러나 헤이덕이 "그 이후로는 더 이상 가르칠 필요가 없었다"고 한 발언은 의미심장하다.29 이는 맥뉴어의 모델이 그가 가르치고자 했던 모든 원리를 너무나 완벽하게 구현하여, 문제에 내재된 모든 암묵적인 질문에 사실상 답을 해버렸음을 시사한다. 이로써 이 프로젝트는 질문이 아닌 사례가 되었다. "그리드 안에서 가능한 공간적 관계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하나의 정답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러한 신격화는 역설적으로 이후 다른 학교에서 이 연습이 희석되는 데 기여했을 수 있다. '완벽한' 해답이 존재하게 되면, 연습은 발견의 행위가 아닌 모방의 행위가 될 위험에 처한다. 이를 인지한 헤이덕은 이제 규범화된 나인 스퀘어 그리드를 뒤로하고 새로운 교육학적 문제로 나아갈 수 있었던 것이다.
VI. 전파, 변형, 그리고 비판
이 섹션에서는 나인 스퀘어 그리드가 텍사스 대학교와 쿠퍼 유니언을 넘어 전 세계 건축 교육의 보편적인 특징으로 자리 잡게 된 유산을 검토한다. 이 연습이 어떻게 각색되고 재해석되었는지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그것이 지닌 지속적인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다.
세계적인 채택과 다양한 해석
1970년대부터 이 연습은 전 세계 건축대학에서 1학년 스튜디오 과제로 널리 복제되었다.10 그러나 교육학적 해석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종종 팔라디오 및 콜린 로와의 연결점, 즉 건축사와의 깊고 모호한 관계가 제거된 채, 순전히 형식적이고 비역사적인 구성 연습으로 가르쳐졌다.10 이는 "이 다이어그램 형태의 생존과 회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11
교육학에 대한 비판적 평가
- 강점: 이 연습은 그리드, 프레임, 기둥, 보, 패널 등 기본적인 건축 어휘와 공간 구성 개념을 소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10 또한 2차원과 3차원 표현 사이에서 아이디어를 번역하는 학생의 능력을 구축하고 모델 제작 기술을 향상시킨다.19
- 약점과 이분법: 비평가들은 이 연습이 이론적 입력에 의한 합리적 근거가 부족해 보이는 직관적이고 개념적인 형태 제작 방식을 조장한다는 중심적인 이분법을 지적한다.19 사회적, 환경적, 기능적 제약과 같은 현실 세계의 제약으로부터 추상화되었다는 점은 중요한 한계로 간주된다.1 이는 지나치게 형식주의적이고 자기참조적인 시스템으로 인식될 수 있다.11
디지털 시대의 그리드: 현대적 재해석
현대에는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여 이 연습을 업데이트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인 큐브 VR(Nine Cube VR)"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사례이다.34 이러한 접근법은 전통적인 방법의 몇 가지 한계를 해결한다. 물리적 모델 제작의 지루함을 극복하고, 더 빠른 반복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공예 기술보다는 아이디어 구상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34 결정적으로, 가상현실(VR)은 학생의 "공간적 현존감(spatial presence)"을 향상시켜, 소규모 추상 모델과 실제 규모의 건축 공간 경험 사이의 간극을 메워준다. 이는 원래 연습이 지닌 핵심적인 교육학적 과제 중 하나였다.34
VII. 결론: 추상적 통사론에서 서사적 크로노토프로
이 보고서는 나인 스퀘어 그리드의 궁극적인 중요성이 헤이덕의 전 작업 세계를 위한 기초 문법으로서의 역할에 있음을 주장하며 결론을 맺는다. 그리드를 통해 개발된 추상 언어는 그의 후기 경력에 나타나는 복잡하고 시적이며 서사적인 건축을 위한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었다. 이러한 전환은 "크로노토프(chronotope)"라는 이론적 렌즈를 통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기초 언어로서의 그리드
결론적으로, 나인 스퀘어 그리드는 헤이덕에게 있어 "기본적인 건축 구성 방법(Basic architectonic construction method)"이었다.2 그 목적은 건축을 본질적인 요소로 환원한 다음, 그 재조립을 탐구하여 견고하고 유연한 건축 언어를 창조하는 것이었다.2 통사론과 형식적 관계에 기반을 둔 이 언어는 이후 모든 작업의 필수적인 토대가 되었다.
서사로의 도약: 가면극(Masques)
결론은 헤이덕의 후기 작업, 특히 '가면극'(예: 랭커스터/하노버 가면극, 베를린 가면극, 희생자들)으로 전환된다.35 이 프로젝트들은 깊이 있는 서사적, 시적, 우화적 성격이 특징이다. 이들은 특정하고 종종 역사적으로 의미심장한 풍경 속에서 의식을 수행하고 이야기를 전개하는 "등장인물"과 "객체"들로 채워져 있다.36
둘의 종합: 헤이덕의 크로노토프
그리드의 추상적 형식주의와 가면극의 풍부한 서사 사이의 명백한 간극을 메우기 위해, 이 보고서는 K. 마이클 헤이스(K. Michael Hays)가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의 문학 개념인 "크로노토프"를 헤이덕의 작업에 적용한 것을 소개한다.43 크로노토프는 서사에서 시간(chronos)과 공간(topos)의 본질적인 융합을 의미하며, 여기서 공간은 시간, 줄거리, 역사의 움직임으로 채워진다.47
이 틀 안에서 나인 스퀘어 그리드는 헤이덕의 토포스(topos), 즉 순수하고 추상적이며 비시간적인 공간과 그곳에 거주하는 본질적인 등장인물(기둥, 벽, 면)의 개발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무엇"과 "어디"를 설정한다. 반면, 가면극은 크로노스(chronos), 즉 서사, 시간, 기억, 의식의 도입을 의미한다. 헤이덕은 그리드에서 단련된 추상적 등장인물들을 가져와 그들이 행동하고 상호작용하며 이야기를 생성할 수 있는 특정 시공간인 "크로노토프"에 배치한다.44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형식주의자 헤이덕과 시인 헤이덕 사이의 잘못된 이분법을 해소한다. 이는 일관된 평생의 작업을 드러낸다. 나인 스퀘어 그리드는 알파벳과 문법을 공들여 창조하는 과정이었으며, 헤이덕은 후기 경력에서 이를 사용하여 삶, 죽음, 기억, 그리고 인간 조건에 대한 심오한 건축적 시를 썼다. 그리드는 끝이 아니라, 필수적인 시작이었다.
참고 자료
- John Hejduk - The Architectural League of New York,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archleague.org/article/200-years-john-hejduk/
- The Language of Space: The Unwritten Politics of the Theory and Criticism of Architecture,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acsa-arch.org/proceedings/Annual%20Meeting%20Proceedings/ACSA.AM.84/ACSA.AM.84.64.pdf
- John Hejduk and the Architectural Design Pedagogy: Cooper Union 1964-2000,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92042032_John_Hejduk_and_the_Architectural_Design_Pedagogy_Cooper_Union_1964-2000
- John Hejduk | Architectuul,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architectuul.com/architect/john-hejduk
- Texas Rangers (architects) - Wikipedia,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Texas_Rangers_(architects)
- The Texas Rangers: Notes from an Architectural Underground - Google Books,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ooks.google.com/books/about/The_Texas_Rangers.html?id=bHDNRxfIQMkC
- Kit-of-Parts Conceptualism: Abstracting Architecture in the American Academy,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harvarddesignmagazine.org/articles/kit-of-parts-conceptualism-abstracting-architecture-in-the-american-academy/
- Eisenman-Nine Square Grid PDF - Scribd,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393136035/Eisenman-Nine-square-grid-pdf
- Towards a Tangible Pedagogy - Articles - bauhaus imaginista,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bauhaus-imaginista.org/articles/6019/towards-a-tangible-pedagogy
- The Nine-Square Grid —,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universitairestichting.be/sites/default/files/9590-article_text-47365-2-10-20220311_1.pdf
- The Nine-Square Grid: The Surviving Image of an Architecture without Content,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59153172_The_Nine-Square_Grid_The_Surviving_Image_of_an_Architecture_without_Content
- Josef Albers, Eva Hesse, and the Imperative of Teaching – Tate Papers,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tate.org.uk/research/tate-papers/07/josef-albers-eva-hesse-and-the-imperative-of-teaching
- Josef Albers's preliminary course - Bauhaus Kooperation,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auhauskooperation.com/knowledge/the-bauhaus/training/preliminary-course/josef-alberss-preliminary-course
- The Bauhaus and the teaching of color - CACO,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houseofcaco.com/en/blogs/magazine/la-bauhaus-y-el-color
- VORKURS,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thiago-silvino-kas5.squarespace.com/s/VORKURS_rituals.pdf
- Exhibitions: Slutzky - Cooper Union School of Architecture,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archweb.cooper.edu/exhibitions/slutzky2.html
- The Texas Rangers: notes from an architectural underground by Alexander Caragonne with an introduction by Charles W Moore MIT Pr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Assessment,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ambridge.org/core/services/aop-cambridge-core/content/view/4230CA1045FFB26E2582E1B1C208A940/S1359135500000178a.pdf/the-texas-rangers-notes-from-an-architectural-underground-by-alexander-caragonne-with-an-introduction-by-charles-w-moore-mit-press-cambridge-massachusetts-1995-isbn-0-262-03218-x442pp-160-illus-price-.pdf
- 1954 Hejduk Nine Square Grid Problem | PDF - Scribd,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708500343/1954-Hejduk-Nine-Square-Grid-Problem
- (PDF) 9 SQUARES AS A BASIC DESIGN EXERCISE -A CRITIQUE - ResearchGate,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34535186_9_SQUARES_AS_A_BASIC_DESIGN_EXERCISE_-A_CRITIQUE
- John Hejduk: Three Projects | cooperedu - Cooper Union,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ooper.edu/architecture/exhibitions/three-projects-hejduks-diamond-thesis
- In My Father's House Are Many Mansions: On John Hejduk's Texas Houses Peter Eisenman - Burning Farm,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urning.farm/downloads/250730_BurningFarm_22_Eisenman.pdf
- In My Father's House Are Many Mansions - Burning Farm,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urning.farm/essays/in-my-father-s-house-are-many-mansions
- Working It Out: On John Hejduk's Diamond Configurations - Architectural Histories,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journal.eahn.org/article/id/7485/
- EVOLUTION OF FORM | cooperedu - Cooper Union,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ooper.edu/project/evolution-form
- John Hejduk. Wall House 2 (A. E. Bye House) Project , Ridgefield, Connecticut (Isometric). 1973 | MoMA,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810
- The Wall House II by John Hejduk: A Structural Symphony - ArchEyes,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archeyes.com/the-wall-house-ii-by-john-hejduk-a-structural-symphony/
- AD Classics: Wall House 2 / John Hejduk, Thomas Muller/van Raimann Architekten & Otonomo Architecten | ArchDaily,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hdaily.com/205541/ad-classics-wall-house-2-john-hejduk
- NINE SQUARE GRID: Lorna McNeur's interpretation of John Hejduk's project - YouTube,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K5b59LaakMU
- Emeritus Fellow's architectural model joins MoMA's prestigious collection | Lucy Cavendish,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lucy.cam.ac.uk/news/lorna-mcneur-architectural-model-joins-moma
- Former Department Lecturer Lorna McNeur's Architectural Model Acquired by MoMA,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t.cam.ac.uk/news/former-department-lecturer-lorna-mcneurs-architectural-model-acquired-moma
- Nine Square Grid article - Wixstatic.com,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docs.wixstatic.com/ugd/c7effb_d5be320a79a8421d8e6201bc37f1bc14.pdf?index=true
- The Nine-Square Grid. The Surviving Image of an Architecture without Content.,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fondationuniversitaire.be/en/content/nine-square-grid-surviving-image-architecture-without-content
- EinStein: An Exercise in Spatial Composition - Blanca Pujals - A*Desk,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a-desk.org/en/magazine/einstein-un-ejercicio-de-composicion-espacial/
- the “nine-square grid” revisited: 9-cube vr - an exploratory virtual reality instruction tool for foundation studios - CumInCAD,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papers.cumincad.org/data/works/att/caadria2018_066.pdf
- Drawing, Writing, Embodying: John Hejduk's Masques Of Architecture - VTechWorks,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vtechworks.lib.vt.edu/items/0fb3e890-a5fc-4452-b036-402502949d8a
- 'The unacceptability of the erasures' John Hejduk's texts for the 'Berlin Masque' - TU Delft Research Portal,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research.tudelft.nl/files/68467568/A.SIOLI_TEXT_Special_Issue.pdf
- The city as a theatre of characters. John Hejduk's Masques - ResearchGate,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53281552_The_city_as_a_theatre_of_characters_John_Hejduk's_Masques
- The Lancaster/Hanover Masque - Canadian Centre for Architecture,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ca.qc.ca/en/events/34395/the-lancasterhanover-masque
- 'The unacceptability of the erasures': John Hejduk's texts for the 'Berlin Masque',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53088538_'The_unacceptability_of_the_erasures'_John_Hejduk's_texts_for_the_'Berlin_Masque'
- A Growing, Incremental Place – Incremental Time: “Victims”, a Project by John Hejduk (1984) - Socks Studio,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socks-studio.com/2015/11/01/a-growing-incremental-place-incremental-time-victims-a-project-by-john-hejduk-1984/
- Lost History,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acsa-arch.org/proceedings/Annual%20Meeting%20Proceedings/ACSA.AM.86/ACSA.AM.86.66.pdf
- John Hejduk's Pursuit of an Architectural Ethos - ResearchGate,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95824716_John_Hejduk's_Pursuit_of_an_Architectural_Ethos
- Hejduk's Chronotope - K. Michael Hays - Google Books,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books.google.com/books/about/Hejduk_s_Chronotope.html?id=yNYxkBkZlL8C
- Hejduk's chronotope / K. Michael Hays, editor. - Squarespace,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static1.squarespace.com/static/58234e7f9de4bb39337cc292/t/678034684e5afb5adcabacde/1736455276134/Hays_Hejduk%27s+Chronotope_1996.pdf
- Hejduk's Chronotope - Canadian Centre for Architecture,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ca.qc.ca/en/events/37494/hejduks-chronotope
- Hejduk's Chronotope | PDF - Scribd,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675244952/Hejduk-s-chronotope
- What is the Chronotope? | Definition, Examples & Analysis - Perlego,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perlego.com/knowledge/study-guides/what-is-the-chronotope/
Chronotope - Wikipedia, 10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Chronot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