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강력하고 비평적인 건축은 힘의 완벽한 해결이 아닌, 구축 행위 자체에 내재된 모순을 표현적으로 명료화하는 과정에서 탄생한다는 핵심 명제를 제시한다. 본 보고서는 사용자의 질의를 순수한 기능적 구축과 순수한 장식적 형식주의 사이에서 양극화되는 현대 건축 담론에 대한 시의적절하고 필연적인 개입으로 설정한다.

 

용어 정의

본론에 앞서 핵심 개념인 '구축(Tectonic)'(구조의 시학)과 '모순(Contradiction)'(생산적인 변증법적 힘)을 간략히 정의하고, 이 둘의 통합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보고서의 구성

 

본 보고서는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구축 이론의 근간이 되는 변증법적 토대를 구축한다. 둘째, 사례 연구를 통해 물질적 발현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 고유의 이론을 위한 제안적 틀을 제시한다.

 

비교 분석 틀

 

아래의 표는 본 보고서가 탐색할 이론적 지형을 명확히 보여주는 개념적 지도를 제공한다.

표 1: 건축적 이원론의 비교 분석 틀

이론가/이론 핵심적 이원성 / 대립 존재론적 지향 핵심적 건축 어휘 비평적 입장
고트프리트 젬퍼 구축적(구조체) vs. 조적적(매스) 공중성, 가벼움 vs. 대지성, 어두움 이음매(The Joint) 제작 과정의 명료화
케네스 프램튼 구축적 vs. 장식적 존재론적 현존 vs. 재현적 이미지 이음매 / 구축 디테일 상품화에 대한 저항
로버트 벤츄리 복합성 & 모순 vs. 단순성 "양자택일"의 배제 vs. "양자포함"의 수용 파사드 / 건축 요소 모더니즘 정통성에 대한 비판
제안 이론 구축적 모순 드러난 긴장 이음매 (물질적, 시간적, 시스템적) 제작과 의미의 통합

 

제1부: 이론적 변증법: 구축 사상과 모순의 계보 추적



제1장 원초적 모순: 구축(Tectonic) 대 조적(Stereotomic)



젬퍼의 근원적 이분법

 

고트프리트 젬퍼(Gottfried Semper)는 비트루비우스의 삼원칙(견고함, 유용성, 아름다움)에서 비평적으로 벗어나, 네 가지 원초적 요소—화로(hearth), 토대(earthwork), 뼈대/지붕(framework/roof), 외피(enclosing membrane)—에 기반한 새로운 인류학적 이론을 정립했다.1 이 네 요소는 다시 두 가지 근본적이고 대립적인 구축 절차로 요약된다. 첫째는 경량의 부재를 조립하는 목공의 **구축(Tectonic)**이며, 둘째는 무거운 부재를 압축하여 쌓아 올리는 토공 및 조적의 **조적(Stereotomic)**이다.1

 

어원과 시적 기원

 

'Tectonic'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tekton(목수/건축가)과 산스크리트어 taksan(목공 기술)에서 유래했으며, 물리적 기술에서 시적 행위로 진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tekton은 시인의 역할을 맡게 된다.2 이는 제작(making)과 의미(meaning)가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초기부터 명확히 한다.

 

존재론적 대립

 

케네스 프램튼(Kenneth Frampton)의 해석에 따르면, 이 두 방식 사이의 대립은 기술적인 것을 넘어 거의 우주론적인 차원을 갖는다. 구축적 구조체는 "공중적(aerial)"이며 가벼움과 하늘을 지향하는 반면, 조적적 매스는 "대지적(telluric)"이며 땅속 깊이 파고들어 어둠과 중력을 지향한다.1 따라서 구축과 조적의 관계는 단순한 재료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건축의 가장 근본적인 모순을 형성하는 철학적 행위이다. 젬퍼는 "매듭(knot)"을 원초적 이음매로, 그리고 이음매 자체를 모든 건물이 자신을 정의하는 "원초적 구축 요소(primordial tectonic element)"로 간주했다.1 이는 연결의 지점, 즉 이음매를 구축적 표현의 핵심 장소로 설정한다.

이러한 구분은 단순한 역사적 분류 체계를 넘어 건축 자체에 내재된 원초적 변증법을 나타낸다. 이는 인류가 하늘을 향한 열망(가벼움, 구조체)과 대지와의 필연적 연결(중력, 매스) 사이에서 겪는 근본적인 모순을 반영한다. 젬퍼가 두 가지 뚜렷한 구축 방식을 식별하고 1, 프램튼이 이를 기술적인 차원을 넘어 "하늘과 땅이라는 두 우주적 대립"을 상징하는 존재론적 행위로 해석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2, 인간의 존재와 건축 행위는 "이러한 대립의 접점"에 위치한다.4 따라서 모든 구축 행위는 이 근본적인 긴장 관계에 참여하는 것이며, 중립적인 선택이 아닌 철학적 입장을 표명하는 것이다. 이는 '모순'이 건축 행위의 본질에 내재되어 있음을 확립하며, 구축적 모순 이론의 강력한 출발점을 제공한다.

 

제2장 구축의 시학: 케네스 프램튼의 비평적 저항



비평적 행위로서의 구축

 

케네스 프램튼은 구축을 비평적 전략으로 재조명하고 재이론화했다. 그는 구축이 건축의 상품화와 건물을 단순한 "장식(scenography)"이나 로버트 벤츄리가 말한 "장식된 헛간(decorated shed)"으로 환원하려는 경향에 저항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

 

구축의 시학

 

프램튼의 핵심 개념인 "구축의 시학(poetics of construction)"은 "만들고 드러내는(making and revealing)" 행위로서의 그리스어 poesis의 의미에 근거한다.1 이는 단순히 건물이 어떻게 지어졌는지를 보여주는 것을 넘어, 구축 행위 자체를 그 논리와 물질성을 표현적으로 드러내는 예술 형식으로 승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존재론적 구축과 재현적 구축

 

구축적 표현은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 존재론적 구축(Ontological Tectonic): 구조적, 물질적 현실이 자명하게 드러나는, 구축된 형태의 직접적이고 유형적인 현존을 의미한다. 건물은 그 자체로 하나의 "사물(thing)"이다.8
  • 재현적 구축(Representational Tectonic): 구축적 형태를 기호나 상징으로 사용하여 실제 구조적 현실과는 분리될 수 있는 구축적 질서를 지시하는 것을 의미한다(예: 시그램 빌딩의 장식적 I-빔).8 이 구분은 건물이 실제로 무엇인지어떻게 보이는지 사이의 모순 가능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구축과 비판적 지역주의

 

프램튼의 구축 이론은 그의 더 넓은 이론적 틀인 비판적 지역주의(Critical Regionalism)와 연결된다. 지형, 기후, 빛과 함께 구축을 강조하는 것은 건축을 특정 장소와 문화에 뿌리내리게 하여 보편적 모더니즘의 "장소성 부재(placelessness)"에 저항하는 방법이다.15 이는 구축적 주장에 정치적, 문화적 차원을 더한다.

프램튼이 "존재론적" 구축을 옹호하는 반면, 커튼월, 다층 조립, 내화 피복과 같은 현대 건축의 현실은 종종 "재현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이는 구축 이론 자체 내에 근본적인 모순을 낳는다. 즉, 진정한 표현에 대한 열망과 구축된 기호의 필연성 사이의 모순이다. 프램튼은 만들기의 행위가 드러나는 "현존"과 "존재론적" 실재의 건축을 주장하지만 11, 현대 건축 관행은 종종 구조와 외피, 기능과 형태를 분리한다. 이로 인해 건축가들은 구조를 외피 위에 재현하는 방식(예: 시그램 빌딩의 I-빔)에 의존하게 되어 재현적 구축을 낳는다.14 이는 구축적 순수성의 이상과 복잡한 다층 구조의 현실 사이에 모순을 야기한다. 따라서 '구축적 모순' 이론은 이를 진정성 달성의 실패로 보는 대신, 이 간극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즉, 하중을 지지하는 코어와 표현적인 외피 사이의 긴장을 의도적으로 활용하여 모순 자체를 건축적 서사의 주제로 삼는 것이다.

 

제3장 역설을 포용한 건축: 헤겔에서 벤츄리까지



생산적 힘으로서의 헤겔 변증법

 

모순을 포용하는 철학적 토대는 헤겔(Hegel)의 변증법에서 찾을 수 있다. 헤겔 변증법은 단순한 공식(정-반-합)이 아니라, 모순이 제거되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역사적, 지적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다.19 헤겔 미학에서 예술은 정신이 자신을 드러내는 핵심적인 방식으로, 모순을 거쳐 더 높은 형태의 자기의식을 성취한다.20

 

벤츄리의 선언: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

 

로버트 벤츄리(Robert Venturi)의 1966년 저서는 이러한 원리를 건축에 직접 적용한 사례로 분석될 수 있다. 그는 정통 모더니즘의 "청교도적 도덕 언어"와 배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비판했다.24

 

"양자포함" 대 "양자택일"

 

벤츄리의 "양자택일(either-or)"을 넘어선 "양자포함(both-and)" 건축에 대한 주장은 핵심적이다. 그는 "순수한" 것보다 "혼성적인", "깨끗한" 것보다 "타협적인" 요소를 옹호하며 "포함을 통한 어려운 통합"을 수용했다.24 이는 모순을 가지고 설계할 수 있는 직접적인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적을수록 많다"에서 "적을수록 지루하다"로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의 유명한 격언 "Less is more"에 대한 벤츄리의 응수 "Less is a bore"는 단순한 해결책에 대한 거부와, 복합성과 건축의 내재적 역설(내/외부, 구조/프로그램 등)을 인정해야만 얻을 수 있는 의미의 풍부함을 주장하는 그의 논지를 요약한다.24

'구축적 모순' 이론의 근본적인 과제는 케네스 프램튼과 로버트 벤츄리 사이의 내재된 충돌을 해결하는 데 있다. 프램튼은 구축의 진정성(구조의 시학)을 옹호하며 벤츄리의 "장식된 헛간"을 피상적인 장식으로 비판한다. 반면, 벤츄리는 종종 파사드 위의 상징적이고 재현적인 수단을 통해 표현되는 모순과 복합성을 옹호한다. 프램튼의 핵심 주장은 구축과 이음매의 현실에 기반한 건축에 있으며 3, 그는 "장식된 헛간"을 명시적으로 비판한다.11 벤츄리의 핵심 주장은 역사적 암시와 상징주의를 통해 복합성과 모순을 포용하는 건축에 있으며, 그의 반나 벤츄리 하우스(Vanna Venturi House)는 이러한 장식적 접근의 대표적인 예이다.26 이 두 입장은 상호 배타적으로 보인다. 하나는 어떻게(구축)를, 다른 하나는 무엇을(의미, 종종 상징적) 우선시한다. 따라서 성공적인 이론은 이 둘을 단순히 결합하는 것을 넘어, 모순을 장식이 아닌 구축 행위 자체를 통해 표현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즉, 모순의 위치를 벤츄리의 표면이 아닌, 구축 논리 내부에서 찾는 것이다. 이어지는 사례 연구들은 이러한 통합을 달성한 예시들로, 물질, 시스템, 상태, 과정, 시간을 통해 역설을 표현하는 건축을 탐구한다.

 

제2부: 발현: 구축적 모순의 사례 연구



제4장 물질성의 모순: 가벼움으로서의 무거움, 투명함으로서의 불투명함



사례 연구 1: 헤르조그 & 드 뫼롱, 도미너스 와이너리 (1997)

 

  • 하이브리드 구축으로서의 개비온 벽: 이 와이너리의 상징적인 개비온(gabion) 벽은 물질적 모순의 완벽한 구현체이다. 이 시스템은 조적적 재료(무겁고 압축적인 현무암)를 구축적 틀(가벼운 강철망 케이지) 안에 조립하여 사용한다.32
  • 이중성의 표현: 이 벽은 동시에 거대하면서도 다공성이며, 단단한 고체이면서도 스크린이다. 멀리서는 하나의 거대한 암석처럼 보이지만, 가까이 다가가면 섬세하고 빛을 거르는 "돌로 짠 바구니"처럼 해체된다.34 이는 지질학적 무게감과 대기적 가벼움 사이의 모순을 창출하며, 단일한 벽이나 유리 스크린으로는 불가능한 방식으로 빛과 온도를 조절한다.33 구축적 표현은 느슨하게 채워진 돌과 케이지의 견고한 그리드 사이의 시각적 긴장감에 있다.

 

사례 연구 2: 카를로 스카르파, 카스텔베키오 박물관 (1964)

 

  • 시간의 이음매로서의 조인트: 프램튼은 스카르파의 작업을 "이음매가 일종의 구축적 응축으로 다뤄지는" "구축적 진정성"의 증거로 평가했다.38 카스텔베키오에서 스카르파의 개입은 역사적 층위들 사이에 의도적이고 명료한 단절을 만들어낸다.38
  • 역사의 모순 드러내기: 스카르파는 완벽하게 통합된 전체를 만드는 대신, 세심하게 제작된 이음매—틈, 강철 삽입, 재료의 전환—를 사용하여 중세 성, 후대의 변형, 그리고 자신의 현대적 개입 사이의 시간적 모순을 표현한다. 구축적 디테일은 역사를 단일한 서사로 해결하지 않고, 그 이음매를 노출시키며 건물을 대화하는 역사적 파편들의 집합체로 기념한다.38 이는 시간의 모순이 이음매라는 구축적 예술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난 사례이다.

 

제5장 시스템의 모순: 구조, 공간, 설비의 해체



사례 연구: 이토 도요, 센다이 미디어테크 (2001)

 

  •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서의 "튜브": 이 건물의 특징은 해초와 같은 13개의 관형 구조물, 즉 "튜브"이다. 이 튜브들은 전통적인 건축 범주를 거부한다. 그것들은 동시에 구조(수직 하중 지지), 수직 동선(계단 및 엘리베이터 수용), 환경 시스템(채광 및 환기 통로), 그리고 공간 구획의 역할을 수행한다.40
  • "떠다니는" 모순: 이토의 "떠다니는 건축" 개념은 구축적 모순을 통해 달성된다. 거대한 바닥 슬래브("플레이트")는 전통적인 기둥 없이, 마치 섬세하고 투명해 보이는 "튜브"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것처럼 보인다.42 횡력 저항 시스템은 튜브와 바닥 슬래브의 하이브리드 구조로, 지진 에너지를 비틀림을 통해 흡수하도록 설계되었다.40 이는 구조, 설비, 공간 사이의 위계적 구분을 단일하고 유동적이며 모순적인 구축 시스템으로 해체시킨다.

 

제6장 상태의 모순: 정적인 형태와 동적인 파사드



사례 연구 1: 장 누벨, 아랍 문화원 (1987)

 

  • 기계적 마슈라비야: 남측 파사드는 전통적인 아랍의 마슈라비야(mashrabiya)를 하이테크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이는 240개의 패널과 27,000개의 빛에 반응하는 카메라 조리개와 같은 다이어프램으로 구성되어, 햇빛을 조절하기 위해 열리고 닫힌다.45
  • 영속성과 반응성의 모순: 이는 건물의 정적이고 영속적인 구조와 그 외피의 역동적이고 반응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태 사이에 구축적 모순을 만들어낸다. 파사드는 문화적으로 상징적인 패턴이자 기능적인 환경 기계로서, 전통 장식과 현대 기술 사이의 긴장을 표현한다.47

 

사례 연구 2: 에이더스, 알 바하르 타워 (2012)

 

  • 반응형 제2의 외피: 이 프로젝트는 2,000개 이상의 개별 컴퓨터 제어 차양 장치가 주 커튼월에서 2미터 떨어진 제2의 외피를 형성하며 동적 개념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52
  • 구축적 분리와 성능: 구축적 표현은 주 외피와 이 역동적이고 성능적인 층의 명확한 분리에 있다. 선형 액추에이터로 작동하고 태양광 발전으로 구동되는 이 시스템은 건물에 부착된 독립적인 구축 프레임이다.52 이는 정적이고 보호받는 내부와 역동적이고 성능적인 외부 사이의 모순을 표현하며, 문화(마슈라비야 패턴)와 기후 반응형 기술이 단일한 동적 구축 어셈블리로 융합된다.54

 

제7장 과정의 모순: 디지털 논리와 물질 현실



사례 연구: 그라마지오 콜러 리서치, 다양한 프로젝트

 

  • "디지털 물질성": 그라마지오 콜러(Gramazio Kohler)의 핵심 개념은 재료와 생산 논리를 디자인 과정에 직접 통합함으로써 나타나는 새로운 미학적, 구축적 표현이다.57 초점은 최종 형태를 디자인하는 것에서 로봇 제작 과정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이동한다.
  • 장식으로서의 툴패스: '웨스트 페스트 파빌리온(West Fest Pavilion)'과 같은 프로젝트에서 로봇 조립의 논리—쌓기, 배치, 로봇 팔의 한계—는 숨겨지지 않고 주된 건축적 표현이 된다.61 이는 디자인 의도와 제작 행위 사이의 구분을 무너뜨린다. 모순은 비물질적인 코드의 논리와 물질(나무, 벽돌, 콘크리트)의 유형적 현실이 융합되어 그들이 "디지털 물질성(Digital Materiality)"이라고 부르는 것을 창조하는 데 있다.59

 

제8장 시간의 모순: 영속성을 위한 건축과 해체를 위한 디자인



해체 용이 설계(DfD)의 부상

 

해체 용이 설계(Design for Deconstruction, DfD)는 건축의 전통적인 영속성에 대한 열망에 근본적으로 도전하는 구축 전략이다. DfD는 쉽게 해체될 수 있는 건물을 설계함으로써 재료의 회수와 재사용을 우선시한다.64

 

사례 연구: 뷰로 SLA & 오버트레더스 W, 피플스 파빌리온 (2017)

 

  • 비영속성의 구축: 이 임시 파빌리온은 전적으로 빌린 재료로 지어졌기 때문에 완전히 가역적인 건설 시스템이 필요했다.68
  • 표현된 가역적 이음매: 접착제나 못과 같은 영구적인 연결 대신, 목재 프레임은 텐션 벨트, 스트랩,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여 조립되었다.68 이러한 연결은 숨겨지지 않고 시각적으로 표현되어 결정적인 구축적 특징이 되었다. 이는 강력한 시간적 모순을 만들어낸다. 즉, 건물의 구축적 디테일이 자신의 해체와 비영속성을 명시적으로 서술하며, 구조물을 기념비가 아닌 "자재 은행"으로 변모시킨다.71

 

제3부: 종합: 새로운 건축 이론을 위한 틀 제안



제9장 구축적 모순 건축의 원칙



분석에서 제안으로

 

이 마지막 장에서는 사례 연구에서 얻은 통찰을 다섯 가지 핵심 원칙으로 종합하여, 사용자 자신의 디자인 이론을 위한 명확하고 실행 가능한 틀을 제공한다.

  1. 표현된 이음매(The Expressed Seam): 이음매를 완벽한 해결의 지점이 아니라 드러난 긴장의 장소로 우선시한다. 이음매는 재료, 역사적 층위, 또는 시스템 간의 모순을 표현할 수 있다 (스카르파로부터 파생).
  2. 하이브리드 재료 조립(The Hybrid Material Assembly): 대립적인 존재론적 특성(무거움/가벼움, 불투명/투명, 자연/인공)을 가진 재료들을 단일한 구축 시스템 내에서 결합하여 새로운 공간적, 대기적 효과를 창출한다 (헤르조그 & 드 뫼롱으로부터 파생).
  3. 다기능 요소(The Multi-Functional Element): 구조, 외피, 설비, 공간 정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일한 구축 요소를 설계함으로써 전통적인 건축 위계를 해체한다 (이토 도요로부터 파생).
  4. 반응형 경계(The Responsive Boundary): 건물 외피를 정적인 장벽이 아닌 역동적이고 동적인 인터페이스로 구상한다. 건물의 안정적인 코어와 반응적이고 성능적인 외피 사이의 모순을 표현한다 (누벨과 에이더스로부터 파생).
  5. 가역적 이음매(The Reversible Joint): 영속성과 순환성 사이의 시간적 모순을 수용한다. 건물의 해체 가능성과 미래 재사용 가능성을 서술하는 이음매와 연결부를 설계하고 표현하여 비영속성의 구축을 창조한다 (DfD와 피플스 파빌리온으로부터 파생).

 

결론: 구축적 모순의 비평적 가치



해체주의에 대한 근거 있는 대안

 

이 결론은 구축적 모순 이론을 해체주의(Deconstructivism)의 반구축적 경향에 대한 강력한 대안으로 제시한다. 해체주의 역시 모순을 포용하지만, 종종 언어적, 철학적 유추를 통해 이를 수행하며, 이는 건축 언어를 해체하는 형식적 장식으로 귀결된다.72 프램튼은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의 작업으로 대표되는 이러한 접근을 건축이 "본질적으로 구축적이거나 제도적인 담론"이 될 가능성을 부정하는 "예술에 대한 선망(art envy)"이라고 비판한다.74

 

프램튼과 벤츄리의 통합

 

제안된 이론은 제1부에서 확인된 핵심 갈등을 해결한다. 이는 벤츄리가 추구했던 복합성과 모호성을 24 부가된 장식이나 역사적 양식의 혼합을 통해서가 아니라, 프램튼이 옹호한 엄격하고 물질 기반의 "구축의 시학"을 통해 달성한다.3

 

최종 제언

 

결론적으로, 모순을 제작 행위 자체—이음매, 재료, 시스템—안에 위치시킴으로써, 구축적 모순은 지적으로 복합적이면서 시적으로 표현적이고, 동시에 구축의 근본적인 현실에 비평적으로 기반을 둔 건축을 위한 길을 제시한다. 이는 긴장을 숨기는 것이 아니라, 예술적이고 기술적인 정밀함으로 그것을 드러내는 데서 가장 깊은 의미를 찾는 건축이다.

참고 자료

  1. The Semperian Paradigm: Developing Issues of Tecton ics Foundation Design,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acsa-arch.org/proceedings/Annual%20Meeting%20Proceedings/ACSA.AM.84/ACSA.AM.84.55.pdf
  2. stereotomic research,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www.arch.ttu.edu/people/faculty/driskill_d/5605%20adv%20design%20dallas%20sum%2004/students/zachary_edwards/stereotomic.htm
  3. Studies in Tectonic Culture - Canadian Centre for Architectur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cca.qc.ca/cca.media/files/10622/9600/Studies_in_Tectonic_Culture.pdf
  4. Between Earth and Sky - VTechWorks - Virginia Tech,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vtechworks.lib.vt.edu/handle/10919/36728
  5. Tectonics & Stereotomy - Open Publishing at UMass Amherst,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openpublishing.library.umass.edu/btes/article/1967/galley/1931/download/
  6. Stereotomic architecture - Artefacts,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artefacts.co.za/main/Buildings/style_det.php?styleid=1717
  7. 1623 STEREOTOMIC versus TECTONIC ARCHITECTURE - design synopsis,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designsynopsis.wordpress.com/2023/10/16/1623-stereotomic-versus-tectonic-architecture/
  8. The Connotation of Tectonics in Architectural Theory - ResearchGat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0085564_The_Connotation_of_Tectonics_in_Architectural_Theory/fulltext/5e76746a92851cf2719d9bb8/The-Connotation-of-Tectonics-in-Architectural-Theory.pdf
  9. Book Review of Studies in Tectonic Culture | tectonicdetail - WordPress.com,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tectonicdetail.wordpress.com/2012/10/11/book-review-of-studies-in-tectonic-culture/
  10. Studies in Tectonic Culture: The Poetics in Construction in Nineteen and Twentieth Century Architecture - Context BD,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contextbd.com/studies-in-tectonic-culture-the-poetics-in-construction-in-nineteen-and-twentieth-century-architecture/
  11. Frampton - The Case For The Tectonic | PDF | Semantics | Martin Heidegger - Scribd,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259747755/Frampton-The-Case-for-the-Tectonic
  12. Frampton - Rappel A L'ordre The Case For The Tectonic | PDF | Ontology - Scribd,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614544213/Frampton-Rappel-a-l-Ordre-the-Case-for-the-Tectonic
  13. Tectonics in Architecture - Coconot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coconote.app/notes/5360976c-a441-49fe-a924-8a1035bbddd0
  14. What is tectonics? [ask] : r/architecture - Reddit,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reddit.com/r/architecture/comments/dp8jos/what_is_tectonics_ask/
  15. Critical regionalism - Wikipedia,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Critical_regionalism
  16. Towards a Critical Regionalism: Six Points for an Architecture of Resistance - Modern in Denver,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modernindenver.com/wp-content/uploads/2015/08/Frampton.pdf
  17. Critical Regionalism,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opendata.uni-halle.de/bitstream/1981185920/12431/1/DIA_Critical%20Regionalism.pdf
  18. On the Grounds of Modern Architecture: An Interview with Kenneth Frampton,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journal.eahn.org/article/id/7529/
  19. Hegel's Aesthetics by Georg Lukacs 1951 - Marxists Internet Archiv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marxists.org/archive/lukacs/works/1951/hegels-aesthetics.htm
  20. Hegel's aesthetics and their influence (Chapter 12) - The Cambridge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cambridge.org/core/books/cambridge-history-of-literary-criticism/hegels-aesthetics-and-their-influence/EF54452C8AEEE3427336901CADCCBE82
  21. Hegel: the beginning of aesthetic theory and the end of art - Manchester Hiv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manchesterhive.com/downloadpdf/9781526137234/9781526137234.00009.pdf
  22. Hegel's Aesthetics -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plato.stanford.edu/entries/hegel-aesthetics/
  23. Hegel's Aesthetics. Introduction,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marxists.org/reference/archive/hegel/works/ae/introduction.htm
  24. Robert Venturi: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 | Interpreted - REBAR,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rebarcollective.wordpress.com/2010/08/13/robert-venturi-complexity-and-contradiction-in-architecture-interpreted/
  25. Book Review: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 - Museum Bookstor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museumbookstore.com/blogs/blog/book-review-complexity-and-contradiction-in-architecture
  26.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 - MoMA,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assets.moma.org/d/pdfs/W1siZiIsIjIwMTkvMDcvMDEvOHI4MnI1aW1qcV9XZWJTYW1wbGVfQ29tcGxleGl0eV9Wb2xfMWFuZDIucGRmIl1d/WebSample_Complexity_Vol_1and2.pdf?sha=de7bd6b30f97ab4e
  27. Postmodern architecture - Wikipedia,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Postmodern_architecture
  28. Venturi's Complexity and Contradictions in Architectur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commons.mtholyoke.edu/architectualblog/sample-page/
  29. REVISITING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 JAKE TAYLOR ARCHITECTUR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jaketaylorarchitecture.com/revisiting-complexity-and-contradiction
  30. (PDF) Studies in Tectonic Culture: The Poetics of Construction in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Architecture Kenneth Frampton John Cava - ResearchGat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4743225_Studies_in_Tectonic_Culture_The_Poetics_of_Construction_in_Nineteenth_and_Twentieth_Century_Architecture_Kenneth_Frampton_John_Cava
  31. Vanna Venturi House by Robert Venturi: Complexity & Contradiction - ArchEyes,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archeyes.com/vanna-venturi-house-by-robert-venturi-complexity-and-contradiction/
  32. Architecture - Dominus Estat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dominusestate.com/architecture/
  33. Herzog & de Meuron,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repository.up.ac.za/bitstreams/6793dc70-5f98-4757-97ad-aa5e0cd13430/download
  34. 137 Dominus Winery - Herzog & de Meuron,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herzogdemeuron.com/projects/137-dominus-winery/
  35. Stone Vintage - Luis Fernández-Galiano | Arquitectura Viva,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arquitecturaviva.com/articles/vendimia-de-piedra
  36. Dominus Winery by Herzog & de Meuron: Shaping Stone with Light | ArchEyes,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archeyes.com/dominus-winery-by-herzog-de-meuron-shaping-stone-with-light/
  37. Dominus Winery Case Study | PDF | Barrel | Masonry - Scribd,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116544464/Dominus-Winery-Case-Study
  38. Carlo Scarpa's Re-design of Castelvecchio in Verona, Italy,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acsa-arch.org/proceedings/Annual%20Meeting%20Proceedings/ACSA.AM.86/ACSA.AM.86.89.pdf
  39. Castelvecchio Museum - Startup Templ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startuptemplesjsu.wordpress.com/wp-content/uploads/2016/02/castelvecchio-by-carlo-scarpa1.pdf
  40. Sendai Mediatheque: Structural Analysis | PDF - Scribd,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489264714/sendai05-pdf
  41. Toyo Ito 2013 Laureate Media Kit - 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pritzkerprize.com/sites/default/files/file_fields/field_files_inline/2013-Pritzker-Prize-Media-Kit-Toyo-Ito.pdf
  42. TOYO ITO (ASSESSMENT 2B — MODEL AND SCALE) | by sharleen dsouza | Medium,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medium.com/@sharleen_dsouza/toyo-ito-assessment-2b-model-and-scale-3c6d867ea03a
  43. sendai mediatheque - WordPress.com,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lolwaalkhaldii.files.wordpress.com/2016/02/lolwa-alkhaldi-term-project.pdf
  44. Sendai Mediathequ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faculty-legacy.arch.tamu.edu/anichols/index_files/courses/arch631/case/2005/sendai05.pdf
  45. Arab World Institute Jean Nouvel | YIMING SU,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yimingsu.files.wordpress.com/2010/12/arab-institute-jean-nouvel.pdf
  46. Arab World Institute (AWI) - Ateliers Jean Nouvel,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jeannouvel.com/en/projects/institut-du-monde-arabe-ima/
  47. AD Classics: Institut du Monde Arabe / Enrique Jan + Jean Nouvel + ...,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hdaily.com/162101/ad-classics-institut-du-monde-arabe-jean-nouvel
  48. Institut Du Monde Arabe / Ateliers Jean Nouvel + Pierre Soria + Gilbert Lezenes + Architecturestudio | Classics On Architecture Lab,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hitecturelab.net/institut-du-monde-arabe-jean-nouvel/
  49. High-Tech for Cultural Exchange – Institut du Monde Arabe in Paris (1987) - Detail,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detail.de/de_en/from-our-archives-high-tech-for-cultural-exchange-institut-du-monde-arabe-in-paris-1987
  50. Façade of Jean Nouvel's Institut du Monde Arabe in Paris. - ResearchGat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Facade-of-Jean-Nouvels-Institut-du-Monde-Arabe-in-Paris_fig1_239734680
  51. The detail of the adaptive façade of the Institute du Monde Arabe - ResearchGat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The-detail-of-the-adaptive-facade-of-the-Institute-du-Monde-Arabe_fig1_271329050
  52. Al Bahar Towers - Data, Photos & Plans - WikiArquitectura,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arquitectura.com/building/al-bahar-towers/
  53. Al Bahar Towers - Kinetic Architecture - YouTub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ZKkgsiEYiYM
  54. Al Bahar Towers Responsive Facade / Aedas - ArchitectureLab,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hitecturelab.net/al-bahar-towers-responsive-facade-aedas/
  55. Al Bahr Towers | Aedas - Arch2O.com,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h2o.com/al-bahr-towers-aedas/
  56. The Al Bahr Towers: Adaptive Facades and Sustainability - RTF | Rethinking The Futur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re-thinkingthefuture.com/know-your-architects/a13189-the-al-bahr-towers-adaptive-facades-and-sustainability/
  57. About - Gramazio Kohler Research - ETH Zürich,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gramaziokohler.arch.ethz.ch/web/e/about/index.html
  58. Digital Materiality in Architecture | Lars Müller Publishers,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lars-mueller-publishers.com/digital-materiality-architecture
  59. Digital by Material. Envisioning an Extended Performative Materiality in the Digital Age of Architecture - City Tech OpenLab,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openlab.citytech.cuny.edu/anzalonearch3631spring2015-/files/2011/06/030713-Kohler-Reading-2.pdf
  60. Digital materiality - RTG 2725 - Urban Future-Making,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urban-future-making.hcu-hamburg.de/agenda/digital-materiality
  61. The Stacked Pavilion - Gramazio Kohler Research - ETH Zürich,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gramaziokohler.arch.ethz.ch/web/e/projekte/165.html
  62. Matthias Kohler: Digital Materiality in Architecture - SCI-Arc,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sciarc.edu/events/lectures/matthias-kohler
  63. 2021 - Gramazio Kohler Research - ETH Zürich,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gramaziokohler.arch.ethz.ch/web/e/publikationen/lehrstuhl/2021.html
  64. design for deconstruction | ukgbc,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ukgbc.org/wp-content/uploads/2024/07/Design-for-Deconstruction.pdf
  65. Design for Disassembly for Residential Construction - Light Hous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light-house.org/wp-content/uploads/2021/04/DfD-Report-Final.pdf
  66. DESIGN FOR DECONSTRUCTION - Lifecycle Building Challenge,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lifecyclebuilding.org/docs/DFD.pdf
  67. Design for Deconstruction in the Design Process: State of the Art - MDPI,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2075-5309/8/11/150
  68. People's Pavilion "has almost no ecological footprint" say designers,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dezeen.com/2017/10/27/peoples-pavilion-dutch-design-week-low-ecological-footprint-bureau-sla-overtreders-w/
  69. People's Pavilion: Bureau SLA| Photo: ©Filip Dujardin - TU Delft,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filelist.tudelft.nl/BK/Onderzoek/Onderzoeksthemas/Circular_Built_Environment/Circular_Impuls_Initiative/Circular_Design_Atlas/Atlas_BES2023_Peoples_Pavilion.pdf
  70. Dutch Design Week pavilion will feature recycled plastic shingles and borrowed materials,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dezeen.com/2017/09/28/dutch-design-week-ddw-peoples-pavilion-bureau-sla-overtreders-w/
  71. A guide to reversible building design (with 4 examples) - University of the Built Environment,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ube.ac.uk/whats-happening/articles/reversible-design/
  72. Deconstructivism - Wikipedia,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Deconstructivism
  73. Deconstructivism and Architecture Movement Overview - The Art Story,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artstory.org/movement/deconstructivism/
  74. Reflections on the Autonomy of Architecture: - A Critique of Contemporary Production - Kenneth Frampton -.:: GEOCITIES.ws ::.,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www.geocities.ws/mitchellmosesstudio/frampton.pdf
  75. The Technology of Axonometry in 1960s Britain: Kenneth Frampton and Peter Eisenman - sahanz, 10월 17, 2025에 액세스, https://www.sahanz.net/wp-content/uploads/SAHANZ18_paper_Farrah.pd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