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ain.py

import uvicorn
from fastapi import FastAPI, UploadFile, File, HTTPException
from fastapi.responses import FileResponse, HTMLResponse
from fastapi.staticfiles import StaticFiles
from rembg import remove
from PIL import Image
import io
import os
import datetime
import uuid # 고유 파일명 생성을 위해 추가
import sqlite3
import logging # 로깅 추가

# --- 설정 ---
app = FastAPI()

# 환경 변수 사용 (또는 기본값)
UPLOAD_DIR = os.getenv("UPLOAD_DIR", "uploads")
PROCESSED_DIR = os.getenv("PROCESSED_DIR", "processed")
DB_NAME = os.getenv("DB_NAME", "image_db.sqlite")
MAX_FILE_SIZE_MB = int(os.getenv("MAX_FILE_SIZE_MB", "10")) # 최대 파일 크기 10MB
ALLOWED_EXTENSIONS = {"png", "jpg", "jpeg", "gif", "webp"} # 허용된 확장자

# 로깅 설정
logging.basicConfig(level=logging.INFO, format='%(asctime)s - %(levelname)s - %(message)s')
logger = logging.getLogger(__name__)

# 업로드/처리된 이미지를 저장할 폴더 생성
os.makedirs(UPLOAD_DIR, exist_ok=True)
os.makedirs(PROCESSED_DIR, exist_ok=True)

# --- DB 설정 ---
def init_db():
    conn = None
    try:
        conn = sqlite3.connect(DB_NAME)
        cursor = conn.cursor()
        cursor.execute('''
        CREATE TABLE IF NOT EXISTS images (
            id INTEGER PRIMARY KEY AUTOINCREMENT,
            original_filename TEXT NOT NULL, # 원본 업로드 시의 파일명 (클라이언트 기준)
            original_server_path TEXT NOT NULL, # 서버에 저장된 원본 파일의 경로
            processed_server_path TEXT NOT NULL, # 서버에 저장된 처리된 파일의 경로
            processed_url TEXT NOT NULL, #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처리된 이미지 URL
            uploaded_at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
        )
        ''')
        conn.commit()
        logger.info(f"Database {DB_NAME} initialized.")
    except sqlite3.Error as e:
        logger.error(f"Error initializing database: {e}")
    finally:
        if conn:
            conn.close()

init_db()

# --- 헬퍼 함수 ---
def allowed_file(filename):
    return '.' in filename and \
           filename.rsplit('.', 1)[1].lower() in ALLOWED_EXTENSIONS

# 이미지 파일의 매직 넘버(시그니처) 검사 (일부 주요 이미지 형식만)
def is_valid_image(file_content):
    if file_content.startswith(b'\x89PNG\r\n\x1a\n'): # PNG
        return True
    if file_content.startswith(b'\xFF\xD8\xFF'): # JPEG
        return True
    if file_content.startswith(b'GIF87a') or file_content.startswith(b'GIF89a'): # GIF
        return True
    if file_content.startswith(b'RIFF') and b'WEBP' in file_content: # WEBP (간단 검사)
        return True
    return False

# --- API 엔드포인트 ---
app.mount("/static", StaticFiles(directory="static"), name="static")
app.mount("/processed_images", StaticFiles(directory=PROCESSED_DIR), name="processed_images") # URL 경로 변경

@app.post("/process-image/")
async def process_image_endpoint(file: UploadFile = File(...)):
    if not file.filename:
        raise HTTPException(status_code=400, detail="파일 이름이 없습니다.")

    # 1. 파일 확장자 검사
    if not allowed_file(file.filename):
        logger.warning(f"업로드 거부: 허용되지 않는 확장자 - {file.filename}")
        raise HTTPException(status_code=400, detail="허용되지 않는 이미지 파일 형식입니다. (png, jpg, jpeg, gif, webp만 가능)")

    # 2. 파일 크기 제한
    file_content = await file.read()
    if len(file_content) > MAX_FILE_SIZE_MB * 1024 * 1024:
        logger.warning(f"업로드 거부: 파일 크기 초과 - {file.filename} ({len(file_content) / (1024*1024):.2f} MB)")
        raise HTTPException(status_code=413, detail=f"파일 크기는 {MAX_FILE_SIZE_MB}MB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 3. 파일 시그니처 검사
    if not is_valid_image(file_content):
        logger.warning(f"업로드 거부: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 시그니처 - {file.filename}")
        raise HTTPException(status_code=400, detail="유효하지 않은 이미지 파일입니다.")

    # 4. 고유한 파일 이름 생성 (UUID 사용)
    file_extension = file.filename.rsplit('.', 1)[1].lower()
    unique_id = str(uuid.uuid4())
    original_server_filename = f"{unique_id}_original.{file_extension}"
    processed_server_filename = f"{unique_id}_processed.png" # rembg는 PNG로 출력하므로 고정

    original_server_path = os.path.join(UPLOAD_DIR, original_server_filename)
    processed_server_path = os.path.join(PROCESSED_DIR, processed_server_filename)
    
    #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수 있는 URL (StaticFiles 마운트 경로와 일치)
    processed_client_url = f"/processed_images/{processed_server_filename}"

    # 5. 원본 이미지 저장
    try:
        with open(original_server_path, "wb") as f:
            f.write(file_content)
        logger.info(f"원본 이미지 저장: {original_server_path}")
    except IOError as e:
        logger.error(f"원본 이미지 저장 오류: {e}")
        raise HTTPException(status_code=500, detail="원본 이미지 저장에 실패했습니다.")

    # 6. 이미지 배경 제거
    try:
        output_bytes = remove(file_content)
        output_image = Image.open(io.BytesIO(output_bytes))
        
        # 7. 결과 이미지 저장
        output_image.save(processed_server_path)
        logger.info(f"처리된 이미지 저장: {processed_server_path}")

        # 8. 데이터베이스에 파일 정보 저장
        conn = None
        try:
            conn = sqlite3.connect(DB_NAME)
            cursor = conn.cursor()
            cursor.execute(
                "INSERT INTO images (original_filename, original_server_path, processed_server_path, processed_url) VALUES (?, ?, ?, ?)",
                (file.filename, original_server_path, processed_server_path, processed_client_url)
            )
            conn.commit()
            logger.info(f"DB에 이미지 정보 저장 완료: {processed_client_url}")
        except sqlite3.Error as db_e:
            logger.error(f"DB 저장 오류: {db_e}")
            raise HTTPException(status_code=500, detail="데이터베이스 저장에 실패했습니다.")
        finally:
            if conn:
                conn.close()

        # 9. 클라이언트에 결과 반환
        return {
            "message": "처리 완료",
            "original_url": original_server_path, # 개발 편의상 제공, 실제 서비스에서는 보안상 내부 경로 노출 지양
            "processed_url": processed_client_url
        }
        
    except Exception as e:
        logger.error(f"이미지 처리 중 오류 발생: {e}", exc_info=True)
        # 이미 원본 파일이 저장되었을 수 있으므로 정리 (선택 사항, 복잡해질 수 있음)
        # if os.path.exists(original_server_path): os.remove(original_server_path)
        raise HTTPException(status_code=500, detail="이미지 처리 중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app.get("/", response_class=HTMLResponse)
async def read_index():
    with open('static/index.html', 'r', encoding='utf-8') as f:
        return HTMLResponse(content=f.read())

# --- 서버 실행 ---
if __name__ == "__main__":
    uvicorn.run(app, host="0.0.0.0", port=8000)

서론: 현대 건축 이론 지형도 그리기

 

현대 건축 이론은 모더니즘이나 포스트모더니즘과 같은 단일 패러다임이 지배하던 시대를 지나, 명확한 중심 없이 다양한 담론이 공존하는 '포스트-패러다임(post-paradigm)'적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지형 속에서 오늘날 가장 의미 있는 학술적 탐구는 크게 세 가지 지적 흐름의 합류점에서 나타난다. 바로 계산적 패러다임(The Computational Paradigm), 포스트-휴먼 전환(The Post-Human Turn), 그리고 **비판적 전환(The Critical Turn)**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흐름은 서로 분리된 경향이 아니라, 상호 정보를 제공하고 도전하며 깊이 연관된 탐구 분야를 형성한다.

본 보고서는 이 세 가지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현대 건축 이론의 지형도를 그리고자 한다. 계산적 패러다임은 디자인의 개념 자체를 재정의하고 있으며, 포스트-휴먼 전환은 인간 중심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비인간 행위자(non-human actor)의 역할을 조명한다. 비판적 전환은 건축을 사회적, 정치적 실천의 장으로 이끌며 그 역할을 재고하게 한다. 이 분야의 성공적인 석사 학위 논문은 기술, 철학, 그리고 사회-정치적 참여 사이의 복잡한 교차점을 탐색해야 함을 주장할 것이다. 또한, 포괄적인 세계관을 구축하기 위해 역사적 선례를 재평가하고, 한국 건축계에서 부상하는 담론과 같은 비서구적 논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본 보고서는 최신 학술 논문, 산업 보고서, 철학 텍스트를 종합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분야에 대한 일관된 지도를 구축하는 방식을 취한다.1 이를 통해 건축 이론 분야의 대학원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틀과 통찰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1부: 계산적 패러다임과 디자인의 재정의

 

이 장에서는 디지털 도구가 수동적 도구에서 디자인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행위자로 진화하면서 형태, 재료, 저자성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는 현상을 분석한다.

 

1.1. 파라메트리시즘에서 포스트-파라메트리시즘으로: 알고리즘 형태의 유산

 

파라메트리시즘(Parametricism)은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Zaha Hadid Architects)의 파트너였던 파트리크 슈마허(Patrik Schumacher)에 의해 모더니즘의 후계자로 자리매김한 지배적인 아방가르드 스타일로 정의된다.4 그 핵심 교리는 경직된 기하학적 형태(사각형, 원 등)와 단순 반복을 피하고(부정적 휴리스틱), 파라미터를 통해 가변적이고 상호 적응하며 점진적으로 분화하는 시스템을 추구하는 것(긍정적 휴리스틱)이다.4 이러한 스타일의 등장은 포드주의(Fordism) 시대의 대량 생산에서 포스트-포드주의(Post-Fordism) 시대의 대량 맞춤 생산으로의 사회-경제적 전환과 깊은 관련이 있다.4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가 수행한 대규모 도시 마스터플랜들은 파라메트리시즘이 복잡한 프로그램적 요구를 어떻게 조직하고 표현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5 이러한 작업은 파라메트릭 모델링과 스크립팅(예: Rhino-script)과 같은 진보된 계산 도구에 전적으로 의존하며 발전해왔다.5

그러나 초기 파라메트리시즘은 종종 순수한 형태 탐구나 기술적 유희에 머물러 비정치적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포스트-파라메트리시즘'적 논의가 등장하며, 알고리즘 디자인의 역할을 단순한 형태 생성을 넘어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제작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복합성의 차원으로 확장시키고 있다. 이는 파라메트리시즘이 건축을 변수와 규칙의 시스템으로 정상화함으로써, AI가 건축 분야에 통합될 수 있는 개념적,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음을 시사한다. 즉, AI는 파라메트릭 프로젝트의 논리적 계승자로 볼 수 있으며, 기하학적 변수뿐만 아니라 언어적 프롬프트와 같은 의미론적 변수까지 다루는 '파라메트리시즘 2.0'으로 이해될 수 있다.

 

1.2. 디지털 물성과 로봇 공예: 데이터와 물질의 통합

 

'디지털 물성(Digital Materiality)'은 그라마지오 콜러 리서치(Gramazio Kohler Research)가 개척한 개념으로, 디지털 제작이 데이터와 물질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는 주장에 기반한다.6 이 접근법에서 물질은 디지털 정보에 의해 '정보화된 물질(informed material)'이 되며, 건축가의 관심은 최종 형태의 디자인에서 생산 과정 자체의 디자인으로 이동한다.8

이러한 연구의 중심에는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urich)의 컴퓨터 제어 산업용 로봇을 활용한 연구 시설이 있다.6 이들은 로봇 제조 기술을 통해 디자인 데이터로부터 직접 혁신적인 건축 기법과 새로운 건축적 표현을 탐구한다.7 흙 기반 재료를 사용한 '임팩트 프린팅(Impact Printing)'이나 드론을 활용한 '공중 건설(Aerial Construction)'과 같은 프로젝트는 이러한 아이디어를 급진적으로 확장한 사례다.10

이 접근법은 디지털 프로세스를 통해 벽돌이나 목재와 같은 전통적인 재료를 재해석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부여한다.10 그 결과, 디지털 질서의 논리와 재료 고유의 속성이 대화하며 새로운 '감각성(sensuality)'을 창출한다.9 관찰자는 직관적으로 이해되는 재료의 물성과 프로그래밍된 디자인 논리 사이의 긴장감을 경험하게 된다.9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물성 개념은 현재의 생성형 AI 미학과 근본적인 긴장 관계를 형성한다. 디지털 물성이 재료의 물리적 거동, 허용 오차, 고유한 특성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반면 8, 현재의 생성형 AI는 주로 2D 시각 데이터로 학습되어 물리적 제약과 무관하게 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이다.13 이 간극을 메우는 것, 즉 AI의 의미론적, 시각적 생성 능력과 로봇 제작의 물리적, 구조적 논리를 연결하는 것이 오늘날 건축 연구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1.3. 알고리즘 공동 저자: 생성형 AI와 건축적 의도의 위기

 

생성형 AI(Generative AI)의 등장은 건축계에 단순한 도구를 넘어 '공동 저자적 행위자(co-authorial agent)'로서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15 AI의 활용 범위는 미드저니(Midjourney), DALL-E와 같은 텍스트-이미지 변환 모델을 사용한 초기 컨셉 디자인과 시각화에서부터 13, 데이터 분석, 디자인 최적화, 프로세스 자동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15

생성형 AI는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고 신속한 프로토타이핑과 실시간 타당성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축의 작업 흐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13 특히 중요한 변화는 디자인의 중심이 '그리는 행위'에서 '쓰는 행위'로 이동한다는 점이다. 건축가는 이제 AI를 유도하기 위해 정교한 프롬프트(prompt)를 작성해야 하므로, 기호학과 의미론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17

이러한 변화는 건축가의 전통적인 저자성에 대한 이론적 위기를 초래한다. 르네상스 이래로 확립된 '창조주적(demiurgic)' 설계자로서의 역할은 도전을 받게 되며 16, 건축가는 무(無)에서 형태를 창조하는 대신 AI의 결과물을 선택,引导, 해석하는 '프로세스의 큐레이터(curator of processes)'로 변모한다.16 이는 지적 재산권과 직업적 책임에 관한 법적, 윤리적 질문을 제기하며, 미국 건축사 등록 위원회(NCARB)는 AI가 도구일 뿐 최종 책임은 건축가에게 있음을 강조하는 지침을 발표하기도 했다.15

동시에, AI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방대한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알고리즘은 표준화된 미학 코드를 재생산하여 형태적 획일화를 초래하거나, 건축가가 알고리즘의 결과물에 종속될 위험이 있다.16 이러한 맥락에서, AI 시대의 건축적 표현은 새로운 이해를 요구한다. 케네스 프램톤(Kenneth Frampton)의 구조학 이론이 재료를 결합하는 예술에서 표현의 시학을 찾았다면 19, 생성형 AI 시대에는 언어적 프롬프트를 구성하는 행위 자체가 '구조적' 행위가 된다. 단어와 수식어, 의미 관계를 선택하고 배열하는 '결합의 기술'이 최종 건축물의 시학을 결정하는 '의미론적 구조학(semantic tectonics)'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부상하는 것이다.

 

제2부: 포스트-휴먼 전환: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는 건축

 

이 장에서는 건축 이론의 중요한 철학적 전환을 탐구한다. 이는 인간 중심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재료에서부터 생태계에 이르는 비인간 개체의 행위성과 실재를 인정하는 관점이다.

 

2.1. 객체지향 존재론(OOO)과 물러나 있는 건물

 

객체지향 존재론(Object-Oriented Ontology, OOO)은 그레이엄 하먼(Graham Harman)에 의해 주창된 사변적 실재론의 한 갈래로, 인간, 비인간, 자연물, 인공물을 포함한 모든 것을 인간의 인식과 무관하게 자율적 존재를 갖는 '객체(object)'로 간주한다.21 OOO의 핵심 개념은 '물러남(withdrawal)'으로, 객체의 진정한 실재는 우리나 다른 객체로부터 항상 물러나 있어 완전히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이다.23

이러한 관점에서 건축은 단순히 인간 활동을 담는 용기나 지각된 특성들의 집합이 아니다. 건물은 그 기능, 재료, 미학적 외관을 넘어서는 하나의 '실재 객체(real object)'다.24 하먼이 제안한 '형태와 기능의 제로화(zeroing)'는 이 물러나 있는 실재에 미학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위한 방법론이다.24 한 연구에서는 3D 포토그래메트리(photogrammetry)를 미학적 기법으로 사용하여 '제로화'를 설명한다. 건물을 주변 환경과 융합시키는 포인트 클라우드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이 기법은 객체와 그 속성 사이의 '느슨함'을 강화하고, 역사적 또는 기능적 해석을 넘어 폐허 자체를 하나의 객체로서 사유하게 한다.24

 

2.2. 신유물론과 비인간의 행위성

 

신유물론(New Materialism)은 물질을 수동적이고 비활성적인 대상으로 보는 전통적 관점에 도전하며, 재료를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는 '능동적 행위자(active agents)'로 인식하는 이론적 틀이다.26 이 이론은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재료, 환경 시스템, 심지어 뉴캐슬 사례 연구의 지하 공동과 같은 존재 포함)의 상호연결성을 강조한다.26

신유물론적 접근의 특징은 재료의 고유한 속성과 거동에 대한 강조, 살아있는 재료나 바이오 기반 기술의 통합, 재료의 전체 생애주기에 대한 주목, 그리고 자연과 건축 환경 간의 경계를 흐리는 것 등이다.26 이러한 접근은 인간 중심적 디자인과 복잡한 물질 생태계 인식 사이의 모순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태학적 의식과 기술 혁신의 통합체로 볼 수 있다.26 이를 통해 신유물론은 건축 실천에 있어 보다 겸손하고 윤리적으로 책임감 있으며 지속 가능한 태도를 장려한다.26

 

2.3. 암흑 생태학과 인류세의 건축

 

티머시 모턴(Timothy Morton)의 '암흑 생태학(Dark Ecology)'은 '자연'과 '문명'을 낭만적으로 분리하는 전통적인 환경주의를 비판한다.28 암흑 생태학은 우리가 생태적 그물망(mesh) 속에 얽혀 있다는 사실의 "아이러니, 추함, 공포"를 끌어안는 생태학적 인식을 의미한다.29

모턴의 '하이퍼오브젝트(hyperobjects)' 이론은 기후 변화나 스티로폼처럼 시간과 공간에 걸쳐 방대하게 분포하여 특정 위치에 국한되지 않는 대상을 설명한다.29 인류세(Anthropocene)의 건축은 필연적으로 이러한 하이퍼오브젝트들에 의해 출몰한다. 모턴은 이 이론을 건축에 적용하며 '유령 들린 집(haunted house)'이라는 은유를 사용한다. 인간의 삶보다 오래 지속되는 건물은 결코 현재에 온전히 존재하지 않으며, 과거의 수정과 내외부의 거대한 힘들(하이퍼오브젝트)과의 얽힘이라는 '유령 같은 반짝임(spectral shimmer)'에 의해 이중화된다.31 이 '유령성(spectrality)'이 바로 생태학적 인식이 주는 느낌이며, 건축적, 윤리적 결정에 있어 이 기이한 현존을 고려하도록 강요한다.31

이러한 포스트-휴먼 담론들은 인간을 중심에서 탈피시키려는 동일한 지적 프로젝트의 여러 측면을 보여준다. 객체지향 존재론이 모든 객체의 독립적 실재를 주장하는 형이상학적 토대를 제공한다면 22, 신유물론은 이 존재론을 실천에 적용하여 디자인 과정에서 물질의 '행위성'에 초점을 맞춘다.26 그리고 암흑 생태학은 인간의 통제가 환상에 불과한 하이퍼오브젝트의 세계에 사는 기이하고 불안한 감정, 즉 '유령성'이라는 정서적, 윤리적 차원을 제공한다.28 특히 건축에서 주목받는 적응형 재사용(adaptive reuse)은 이러한 포스트-휴먼 렌즈를 통해 재해석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지속 가능성을 위한 실천을 넘어, 기존 건물이 지닌 '유령 들린' 본성과 내재된 역사의 행위성에 직접 관여하는 행위다.34 적응형 재사용 프로젝트에서 기존 건물은 재활용될 비활성 객체가 아니라, 새로운 디자인을 형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동적 행위자로 간주된다.

 

제3부: 비판적 전환: 사회적, 정치적 실천으로서의 건축

 

이 장에서는 건축을 사회 관계, 권력 구조,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는 능동적 행위자로 위치시키는 이론적 틀을 검토한다.

 

3.1. 캐논의 탈식민화: 유럽중심주의 시각을 넘어서

 

건축계에서 '교육과정의 탈식민화' 요구는 역사적으로 북반구에 편중된 시각에 도전하고, 이전까지 소외되었던 지역, 저자, 공간적 실천들을 포함하려는 움직임이다.36 스웨덴 왕립예술원의 '건축 탈식민화(Decolonizing Architecture)' 과정은 이러한 흐름의 중요한 사례 연구를 제공한다.37 이 과정의 교육학은 "장소, 개념, 사람"을 연결하는 것에 기반하며, 특정 '장소'를 "행동의 장소이자 지식의 장소"로 이해한다.37

이론적 렌즈로서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로부터 비롯된 '내부 식민화(internal colonization)' 개념이 활용된다. 이는 유럽 내의 주변부 영토조차 제국주의적 야망과 국내 정책이 결합된 추출과 수탈의 대상이 되어왔음을 분석하는 틀을 제공한다.37 이를 통해 이주나 농촌 문제와 같은 현대적 이슈를 재사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3.2. 정의를 위한 디자인: 포용을 위한 도구로서의 건축

 

사회 정의 건축은 특히 소외된 집단과 같은 '사용자'를 디자인 과정의 중심에 두는 실천으로 정의된다.38 이는 인종, 성별, 부, 능력 등에 기반한 사회적 장벽을 허물고 모두에게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38 이 목표는 단순히 건물을 짓는 것을 넘어, 사용자들이 불평등과 분리의 상태에서 벗어나 공동체에 포함되고 참여하는 경험을 하도록 돕는 데 있다.38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고립을 조장하는 대신, 가시성과 공유 공간을 확보하는 등 사회적 상호작용을 고려한 실질적인 디자인이 요구된다.39

예를 들어, 지역 여성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어진 모로코 울레드 메르주그(Ouled Merzoug)의 '여성의 집'은 만남, 작업, 교육의 장소로서 공동체에 힘을 실어주는 건축의 역할을 보여준다.38 이처럼 사회 정의와 탈식민주의 담론은 '사용자'라는 개념을 재정의하는 데서 수렴한다. 모더니즘 건축이 종종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사용자를 상정했다면, 이 비판 이론들은 복잡한 사회적, 정치적 힘에 의해 정체성이 형성되는 구체적이고 종종 소외된 사용자에 초점을 맞출 것을 요구한다.

 

3.3. 기억, 트라우마, 그리고 재건: 증인으로서의 건축 환경

 

건축은 집단 기억, 정체성, 역사적 서사를 담는 물리적이고 상징적인 그릇이다.40 모리스 알박스(Maurice Halbwachs)의 '집단 기억(collective memory)'과 '기억의 사회적 틀(social frameworks of memory)' 개념은 기억이 건축적 장소에 기입될 때 비로소 살아남는다고 주장하며 이 관계의 기초를 마련했다.42

프랑스 역사학자 피에르 노라(Pierre Nora)는 살아있고 주관적인 '기억(memory)'과 비판적이고 객관적인 재구성인 '역사(history)'를 구분한다. 그는 전통적이고 자생적인 기억을 상실한 사회에서 기억이 응축되는 장소, 즉 기억의 장소(lieux de mémoire) 개념을 통해 건축 기념물과 유적지를 분석하는 틀을 제공했다.44

다니엘 리베스킨트(Daniel Libeskind)의 작업은 트라우마와 기억을 위한 디자인의 대표적 사례다.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과 같은 그의 프로젝트는 위안을 주기보다는 사건의 트라우마를 표현하고 유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7 그는 공허(void), 방향 감각을 잃게 하는 동선, 파편화된 형태를 통해 부재와 상실의 역사적 서사를 강렬한 공간적 경험으로 번역한다.49

이러한 논의는 모술이나 베를린과 같은 분쟁 후 재건 상황에서 건축의 역할로 확장된다.41 재건은 기술적 문제를 넘어, 트라우마를 겪은 공동체의 유산과 경쟁하는 기억들을 다루는 과정이다.41 폐허를 복제할 것인가, 재창조할 것인가, 혹은 보존할 것인가의 선택은 사회의 미래 서사를 형성하는 비판적 행위가 된다.50 결국 건축은 사회적 선을 위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집단 기억을 둘러싼 투쟁의 장이 되는 것이다. 공공 광장, 기념물, 박물관을 디자인하는 행위는 한 국가의 기억에 정치적으로 개입하는 행위이며, 리베스킨트의 작업은 역사적 기억상실에 맞서 의도적으로 기억의 경험을 설계하는 명확한 예시다.

 

제4부: 구조 및 서사 전통에 대한 현대적 재평가

 

이 장에서는 20세기의 중요한 이론과 작품들이 오늘날의 도전에 비추어 어떻게 재해석되고 재맥락화되는지 탐구하며, 순수하게 디지털적이거나 장식적인 접근법에 대한 지속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4.1. 결합부의 시학: 카를로 스카르파의 역사와의 대화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의 작업은 모더니즘 원칙과 장인적 기법의 대가다운 융합으로 평가되며, 장인정신, 재료, 역사적 맥락에 대한 깊은 존중을 보여준다.52 그의 접근법의 핵심은 **결합부(joinery)**와 **요소들 간의 협상(negotiation)**에 중점을 둔 '형태에 대한 일반적 태도'로 규정된다.53

그의 디테일은 '구조적 응축(tectonic condensation)'으로, 결합부가 전체를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55 그의 작업은 새것과 낡은 것, 서로 다른 재료, 공간 등 분리된 요소들 간의 대화이며, 국지적인 협상을 통해 대립을 해결한다.53 이는 건축물 자체의 역사와 구축 방식을 전달하는 다층적이고 중첩적인 건축을 만들어낸다.56

카스텔베키오 박물관(Castelvecchio Museum) 개조 프로젝트는 이러한 접근법의 정수를 보여준다. 스카르파의 개입은 단순한 복원이 아니라, 이전의 파시스트 시대 복원을 포함한 건물의 복잡한 역사에 대한 비판적 해석이다.57 그는 의도적인 단절, 선택적 철거, 그리고 역사적 잔재와 현대적 부재의 신중한 구성을 통해 방문객을 위한 서사적 경로를 창조하여, 그들을 '발견의 행위'에 능동적으로 참여시킨다.59 칸그란데(Cangrande) 기마상의 배치와 *사첼로(sacello)*의 디자인은 이 서사의 핵심적인 순간들이다.57 스카르파의 '결합부에 대한 숭배'는 디지털 형식주의가 만들어내는 매끄럽고 분화되지 않은 표면에 대한 강력한 이론적, 미학적 대안 서사를 제공한다. 파라메트리시즘이 연속적인 형태를 추구하는 반면 4, 스카르파의 방법론은 정반대로, 분리된 부분들 사이의 연결, 틈, 결합의 순간을 기념함으로써 차이를 명료하게 표현한다.53

 

4.2. 비판적 지역주의의 지속적인 타당성: 구조와 장소

 

케네스 프램톤(Kenneth Frampton)의 영향력 있는 이론,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표피적, 이미지 중심적 경향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구조학(tectonics)**에 대한 그의 집중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19 프램톤은 건축이 근본적으로 '구축적 공예(constructional craft)'이며, 그 의미는 '구축의 시학(poetics of construction)'에서 파생된다고 주장한다.61

그의 이론적 틀은 토포스(topos, 장소), 티포스(typos, 유형), 그리고 *텍토닉(tectonic, 구축)*이라는 세 가지 벡터의 상호작용에 기반하며, 이는 세계화가 초래하는 장소성의 상실에 저항하는 의미 있는 건축의 토대가 된다.62 프램톤의 '비판적 지역주의(Critical Regionalism)'는 디지털 패러다임이 낳는 보편적이고 균질한 해결책에 대한 강력한 비판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그의 촉각성, 물질성, 장소 특정성에 대한 강조는 가상 디자인의 비물질성과 글로벌 '스타키텍처'의 스펙터클에 대한 중요한 균형추 역할을 한다. 프램톤의 이론은 디지털 실천을 비판하는 것을 넘어, 디지털 실천을 위한 비판적 틀을 제공한다. 그의 구조학적 렌즈를 통해 AI 기반 디자인이나 디지털 물성과 같은 새로운 '구축' 방식을 평가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건축을 단지 신기함이 아닌, 그 구조적 진실성에 기반하여 평가하는 이론적 언어를 제공한다.

 

제5부: 집중 담론: 현대 한국 건축 이론

 

이 장에서는 특정 국가적 맥락 안에서 세계적인 건축 이론이 어떻게 해석, 경합, 통합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연구를 제공하며, 비유럽중심적 학위 논문 연구의 모델을 제시한다.

한국 현대 건축 이론의 핵심에는 전쟁 이후 급격하고 서구 지향적인 근대화를 겪으며 지속된 '전통성'에 대한 논쟁이 자리 잡고 있다.63 이 과정에서 유교나 풍수와 같이 전근대 건축 실천에 깊이 통합되어 있던 전통과의 단절이 발생했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65

1990년대 이후 '4.3 그룹'과 같은 건축가 집단과 승효상, 우경국과 같은 건축가들을 중심으로, 전통 모티프의 피상적 적용을 넘어 전통과 현대성의 변증법적 통합을 시도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64 이는 '마당'과 같은 전통적 공간 개념을 현대 건축 언어 안에서 비판적으로 재해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67

배형민과 같은 비평가들의 작업은 지난 한 세기 동안 한국 건축과 도시주의의 변모를 추적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66 그의 분석은 "개인 건축가의 주관적 아이디어와 사회의 객관적 구조", 즉 '구조화된 장(structured field)'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며, 개별 디자인 선택을 더 넓은 사회적, 역사적 힘과 연결하는 정교한 분석 모델을 제공한다.66

한국의 건축 담론은 프램톤의 비판적 지역주의와 보편화하는 근대성의 힘 사이의 세계적 긴장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과거의 모방이나 서구의 복제품이 아닌 현대 한국 건축을 정의하려는 노력은 이 근본적인 이론적 논쟁의 지역화된 버전이다.68 한국 건축가들이 전통적 공간 유형을 재해석하고 장소성에 주목하는 방식은 프램톤 이론의 실질적인 적용 사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현대 한국 건축 이론과 실천은 21세기 비판적 지역주의의 가능성과 도전에 대한 중요한 실제 실험 사례로 연구될 수 있다.

 

결론: 학위 논문 연구 방향 설정

 

본 보고서는 현대 건축 이론이 계산적 패러다임, 포스트-휴먼 전환, 비판적 전환이라는 세 가지 주요 흐름의 교차점에서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였다. 이 결론은 분석된 내용을 종합하여 대학원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핵심적 긴장 관계의 종합

 

현재 건축 이론의 핵심적인 논쟁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변증법적 긴장 관계 속에서 전개된다.

  • 가상 대 구조 (The Virtual vs. The Tectonic): 이미지 기반의 AI 생성물과 '디지털 물성' 또는 프램톤의 '구조학'이 강조하는 물질적 현실 사이의 긴장.
  • 행위성 대 저자성 (Agency vs. Authorship): 객체지향 존재론과 신유물론이 제기하는 비인간 행위성에 대한 철학적 인식과, AI 시대에 제기되는 인간 저자성의 실질적/법적 문제 사이의 충돌.
  • 보편 대 장소 특정성 (The Universal vs. The Situated): AI, 파라메트리시즘과 같은 글로벌 기술 시스템의 보편성과, 탈식민주의, 사회 정의, 비판적 지역주의가 요구하는 사회적, 문화적으로 특화된 건축 사이의 대립.

 

제안 연구 분야

 

이러한 긴장 관계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은 상위 수준의 연구 질문들을 제안할 수 있다.

  • (계산적 패러다임) 구조적 표현의 원리를 어떻게 생성형 AI에 부호화하여 시각적으로 매력적일 뿐만 아니라 재료적, 구조적으로 지능적인 디자인을 만들 수 있는가?
  • (포스트-휴먼 전환) 신유물론적 틀을 사용하여, 산업 건물의 적응형 재사용을 건축가와 기존 구조물의 물질적 쇠퇴 및 역사적 흔적이 갖는 '행위성' 사이의 협상 과정으로 분석할 수 있는가?
  • (비판적 전환) 기억의 장소 개념을 활용하여 특정 도시의 전후 재건 과정을 분석하고, 새로운 도시 구조 속에서 어떤 기억이 보존되고 어떤 기억이 지워졌는지 그 정치적 선택을 드러낼 수 있는가?

 

방법론적 지침

 

다양한 연구 질문에 적합한 연구 방법론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기술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는 사례 연구 및 프로토타이핑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철학적 개념을 다루는 연구는 문헌 분석 및 이론적 탐구가 중심이 될 것이다. 사회적, 역사적 현상을 다루는 연구는 질적 연구, 해석적 연구, 역사 및 아카이브 연구가 적합하다.1

다음 표는 본 보고서에서 논의된 주요 이론적 경향과 잠재적 연구 방향을 요약하여, 대학원생들이 자신의 연구 프로젝트를 구상하는 데 실용적인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는 광범위한 조사를 연구를 위한 실행 가능한 로드맵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이론 동향 및 잠재적 연구 분야

이론적 경향/패러다임 주요 주창자/문헌 핵심 개념 주요 연구 방법 잠재적 논문 주제 (예시 질문)
디지털 물성 그라마지오 콜러 리서치 정보화된 물질, 로봇 공예, 공정 중심 디자인 사례 연구, 프로토타이핑, 실험 로봇 제작 기술이 지역 재료와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형태의 지역성(vernacular)을 개발할 수 있는가?
생성형 AI와 저자성 (다수) 공동 저자, 프로세스 큐레이팅, 의미론적 구조학 이론 연구, 비평 분석, 디자인 실험 AI 시대에 건축가의 창의성은 어떻게 재정의되며, 이는 건축 교육에 어떤 변화를 요구하는가?
객체지향 존재론 (OOO) 그레이엄 하먼, 『Architecture and Objects』 물러남(Withdrawal), 제로화(Zeroing), 실재 객체 철학적 분석, 비평적 해석 OOO에 기반하여 미니멀리즘 주택에서의 '기능' 개념을 비판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가?
신유물론 (다수) 물질의 행위성, 인간-비인간 연결망, 생태학적 사유 사례 연구, 질적 연구, 현장 조사 적응형 재사용 프로젝트에서 기존 건물의 '물질적 행위성'이 새로운 디자인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탈식민주의 이론 알레산드로 페티, 마리-루이즈 리차즈 내부 식민화, 지식의 장소, 캐논 비판 역사/아카이브 연구, 교육학 비평 특정 건축 대학의 교육과정을 탈식민주의적 렌즈를 통해 분석하고 대안적 교육 모델을 제안할 수 있는가?
기억과 트라우마 이론 다니엘 리베스킨트, 모리스 알박스, 피에르 노라 집단 기억, 기억의 장소, 트라우마의 건축화 사례 연구, 기호학 분석, 현상학적 분석 기억의 장소 개념을 통해 특정 도시의 전후 재건을 분석하고, 기억의 정치학을 어떻게 드러내는가?
구조 문화 (Tectonic Culture) 케네스 프램톤, 『Studies in Tectonic Culture』 구축의 시학, 비판적 지역주의, 토포스/티포스/텍토닉 역사/이론 연구, 건축물 분석 프램톤의 구조학 이론을 현대 디지털 건축물 분석에 적용하여 그 '구축적 진실성'을 평가할 수 있는가?
스카르파의 재해석 카를로 스카르파 결합부의 시학, 역사와의 대화, 물질성 건축물 심층 분석, 도면 분석 카를로 스카르파의 '결합부' 디자인 원리를 디지털 제작 방식에 적용하여 새로운 구조적 표현을 탐구할 수 있는가?

참고 자료

  1. spacestudies.co.uk,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spacestudies.co.uk/blog/common-types-of-research-methodology-in-architecture/#:~:text=There%20are%20different%20types%20of,applications%2C%20advantages%2C%20and%20limitations.
  2. Architectural Research Methods Table | PDF - Slideshar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slideshare.net/slideshow/architectural-research-methods-table/3665899
  3. Common Types of Research Methodology in Architecture - Space Studies,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spacestudies.co.uk/blog/common-types-of-research-methodology-in-architecture/
  4. Parametricism - Wikipedia,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Parametricism
  5. Parametricism – A New Global Style for Architecture and Urban ...,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patrikschumacher.com/parametricism-a-new-global-style-for-architecture-and-urban-design/
  6. Digital Materiality in Architecture | Lars Müller Publishers,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lars-mueller-publishers.com/digital-materiality-architecture
  7. Visiting Lecture | Fabio Gramazio: Digital Materiality | cooperedu - Cooper Union,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cooper.edu/events-and-exhibitions/events/visiting-lecture-fabio-gramazio-digital-materiality
  8. Digital by Material. Envisioning an Extended Performative Materiality in the Digital Age of Architecture - City Tech OpenLab,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openlab.citytech.cuny.edu/anzalonearch3631spring2015-/files/2011/06/030713-Kohler-Reading-2.pdf
  9. Digital Materiality in Architecture | PDF | Design | Robot - Scribd,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282123202/Digital-Materiality-in-Architecture
  10. Gramazio Kohler Research,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gramaziokohler.arch.ethz.ch/
  11. Review | Fabio Gramazio | Gramazio Kohler Research ETH Zurich - en - Sto-Stiftung,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sto-stiftung.de/en/home/press/article/review-fabio-gramazio-gramazio-kohler-research-eth-zurich
  12. Effect of Material and Process Specific Factors on the Strength of Printed Parts in Fused Filament Fabrication: A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 MDPI,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1996-1944/12/10/1664
  13. How to Use AI Architecture Generator in 2025? - Neuroject,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neuroject.com/ai-architecture-generator/
  14. AI in Architecture: Trends, Tips, and Examples in 2025 - gb&d magazin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gbdmagazine.com/ai-in-architecture/
  15. A Review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nhancing Architectural Design Efficiency - MDPI,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2076-3417/15/3/1476
  16. Design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Reflections on Authorship, Intentionality, and Creativity in Contemporary Architectural EducationDiseño con Inteligencia Artificial: Reflexiones sobre Autoría, Intencionalidad y Creatividad en la Formación Arquitectónica Contemporánea - ResearchGat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94231319_Designing_with_Artificial_Intelligence_Reflections_on_Authorship_Intentionality_and_Creativity_in_Contemporary_Architectural_EducationDiseno_con_Inteligencia_Artificial_Reflexiones_sobre_Autoria_Inten
  17. 59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WITH A FOCUS ON CULTURAL AND SEMANTIC ASPECTS Hidayet - Jomard Publishing,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jomardpublishing.com/UploadFiles/Files/journals/NDI/SI2024/SoftaogluH.pdf
  18.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Authorship of the Architect - Des Fagan,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www.desfagan.co.uk/home/ai-and-the-authorship-of-the-architect/
  19. Studies in Tectonic Culture: The Poetics in Construction in Nineteen and Twentieth Century Architecture - Context BD,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ntextbd.com/studies-in-tectonic-culture-the-poetics-in-construction-in-nineteen-and-twentieth-century-architecture/
  20. Studies in Tectonic Culture: The Poetics of Construction in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Architecture by Kenneth Frampton, Paperback | Barnes & Noble®,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barnesandnoble.com/w/studies-in-tectonic-culture-kenneth-frampton/1103854319
  21. Graham Harman – Landscape Architecture Platform | Landezin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landezine.com/topics/thinkers-practitioners/graham-harman/
  22. Graham Harman - Wikipedia,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Graham_Harman
  23. OOO: The Inner Surplus of Meaning – Landscape Architecture Platform | Landezin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landezine.com/ooo-the-inner-surplus-of-meaning/
  24. Full article: Waking the ruin: Graham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photogrammetry and the dami of Imbros,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23311983.2025.2457225
  25. Discussing the object-oriented ontology of Harman and the changing status of architectural object - DergiPark,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dergipark.org.tr/tr/download/article-file/3510099
  26. New Materialism in Architecture: Embracing Material Agency and Ecological Thinking -,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gettherapybirmingham.com/new-materialism-in-architecture-embracing-material-agency-and-ecological-thinking/
  27. What lies beneath? The material agency and politics of the ...,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53804017_What_lies_beneath_The_material_agency_and_politics_of_the_underground_in_urban_regeneration
  28. DARK ECOLOGY: OBSCURITIES ILLUMINATED - DiVA portal,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uu.diva-portal.org/smash/get/diva2:1844031/FULLTEXT01.pdf
  29. Timothy Morton - Wikipedia,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Timothy_Morton
  30. What Is Dark Ecology? - Sonic Acts | Archiv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sonicacts.com/archive/what-is-dark-ecology
  31. Timothy Morton: Haunted Houses - SCI-Arc,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sciarc.edu/events/lectures/timothy-morton-haunted-houses
  32. What Is Timothy Morton's Dark Ecology? - TheCollector,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collector.com/what-is-timothy-morton-dark-ecology/
  33. Object-oriented ontology - Wikipedia,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Object-oriented_ontology
  34. Top 3 Architecture Trends for 2025 | METALCON,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metalcon.com/blog/latest-architecture-trends-to-know-in-2025/
  35. (PDF) Adaptive Reuse Architecture Documentation and Analysis - ResearchGat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09519831_Adaptive_Reuse_Architecture_Documentation_and_Analysis
  36. Decolonizing Architectural Pedagogies Chaired by Harriet Harriss, Dean of Architecture at Pratt Institute, and John Harris, Dir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architecture.ou.edu/wp-content/uploads/2019/07/Decolonising-Architectural-Pedagogies-1.pdf
  37. Decolonizing Architecture: Internal colonization and the countryside ...,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e-flux.com/announcements/448903/decolonizing-architecture-internal-colonization-and-the-countryside
  38. An overview of social justice architecture - RTF | Rethinking The Futur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thinkingthefuture.com/architectural-styles/a7490-an-overview-of-social-justice-architecture/
  39. HOUSING DESIGN - A SOCIAL THEORY - Office of Justice Programs,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ojp.gov/ncjrs/virtual-library/abstracts/housing-design-social-theory
  40. Architectural Memory - DiVA portal,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diva-portal.org/smash/get/diva2:1973178/FULLTEXT01.pdf
  41. The role of architectural reconstruction in a post-war context: the case of Mosul,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61803820_The_role_of_architectural_reconstruction_in_a_post-war_context_the_case_of_Mosul
  42. The Reflection of Collective Memory in Architectural Studies - فرهنگ معماری و شهرسازی اسلامی,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iauj-tabriziau.ir/article-1-261-en.html
  43. Architecture and the Social Frameworks of Memory: A Postscript to Maurice Halbwachs' “Collective Memory” - DOAJ,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doaj.org/article/31eda872dcb048299cb5d8038209b542
  44. Lieu de mémoire - The Art and Popular Culture Encyclopedia,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artandpopularculture.com/Les_Lieux_de_M%C3%A9moire
  45. Lieu de mémoire - Wikipedia,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Lieu_de_m%C3%A9moire
  46. www.sciencepublishinggroup.com,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sciencepublishinggroup.com/article/10.11648/j.ijp.20210904.16#:~:text=In%20the%20end%2C%20Nora%20makes,of%20selective%20forgetting%20or%20memory.
  47. How Daniel Libeskind Commemorated Tragedy in 5 Holocaust Memorials - Arch2O.com,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h2o.com/holocaust-memorial-daniel-libeskind/
  48. The Architecture of Trauma: Daniel Libeskind in New York City and Berlin - Bankert, Kelsey,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abebooks.com/9781482777987/Architecture-Trauma-Daniel-Libeskind-New-1482777983/plp
  49. Architecture of Memory: The Jewish Museum in Berlin - Lines-Hub,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thelineshub.com/architecture-of-memory-the-jewish-museum-in-berlin/
  50. How do post-war architectural designs reflect the trauma and devastation of conflict? - RTF,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re-thinkingthefuture.com/architectural-community/a13472-how-do-post-war-architectural-designs-reflect-the-trauma-and-devastation-of-conflict/
  51. (PDF) Urban Memory After War: Ruins and Reconstructions in Post-Yugoslav Cities,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58489531_Urban_Memory_After_War_Ruins_and_Reconstructions_in_Post-Yugoslav_Cities
  52. Italian Modernism: Carlo Scarpa and the Architecture of Geometry, Water and Light,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modernismweek.com/2025/films-lectures/italian-modernism-carlo-scarpa-and-architecture/
  53. Carlo Scarpa Connections in Design: A Generic Attitude by Ellen C. Soroka - DSpace@MIT,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dspace.mit.edu/bitstream/handle/1721.1/29840/06775230-MIT.pdf?sequence=2
  54. Carlo Scarpa Connections in Design: A Generic ... - DSpace@MIT,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dspace.mit.edu/bitstream/handle/1721.1/29840/06775230-MIT.pdf
  55. 1-frampton-on-scarpa-adoration-of-joint.pdf - WordPress.com,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doarch331sp16arlt.files.wordpress.com/2016/01/1-frampton-on-scarpa-adoration-of-joint.pdf
  56. Carlo Scarpa – Layers - Edition Axel Menges,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www.axelmenges.de/buch/Schultz,Scarpa.pdf
  57. Scarpa's Castelvecchio - eScholarship.org,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escholarship.org/content/qt6ws3f5zn/qt6ws3f5zn_noSplash_da814602ba72fdd234886d0b2616bea6.pdf?t=krnf0b
  58. Recreating the Past: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Refashioning of the Medieval Castle of Castelvecchio in Verona under th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journals.flvc.org/athanor/article/download/126691/126244/207556
  59. Carlo Scarpa's Re-design of Castelvecchio in Verona, Italy,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acsa-arch.org/proceedings/Annual%20Meeting%20Proceedings/ACSA.AM.86/ACSA.AM.86.89.pdf
  60. (Left). Castelvecchio Museum's plan of the exhibition area of the... | Download Scientific Diagram - ResearchGate,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Left-Castelvecchio-Museums-plan-of-the-exhibition-area-of-the-statue-of-Cangrande_fig1_371925343
  61. Book Review of Studies in Tectonic Culture | tectonicdetail - WordPress.com,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tectonicdetail.wordpress.com/2012/10/11/book-review-of-studies-in-tectonic-culture/
  62. Kenneth Frampton Studies in Tectonic Culture Introduction | PDF | Space - Scribd,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783313087/kenneth-frampton-studies-in-tectonic-culture-introduction
  63. Appreciating 'Ugly' Late 20th Century Architecture in Korea,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anthony.sogang.ac.kr/transactions/VOL97/Vol.97_6_Nate%20Kornegay_Late%2020th%20Century%20Architecture%20in%20Korea.pdf
  64. Historical sustainability and the embodiment of 'traditionality' in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sbt-durabi.org/articles/pdf/dQrk/durabi-2025-016-03-7.pdf
  65. KOREAN AND WESTERN ARCHITECTURAL TRADITIONS IN COMPARISON A THESIS SUBMITTED TO THE GRADU,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td.lib.metu.edu.tr/upload/12623158/index.pdf
  66.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Modern Korea / Inha Jung - HKU Press,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hkupress.hku.hk/image/catalog/pdf-preview/9789888208029.pdf
  67. How Contemporary South Korean Architecture Is Making a Name for Itself - modlar.com, 10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modlar.com/news/225/how-contemporary-south-korean-architecture-is-making-a-name-for-itself/
  68. On the Grounds of Modern Architecture: An Interview with Kenneth Frampton, 10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journal.eahn.org/article/id/7529/

 

서론: 환각에서 체화된 실재로

 

최근 신경과학과 철학의 교차점에서 인간의 의도와 자유의지에 관한 논쟁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논쟁의 한 축에는 신경과학자 맥스 베넷(Max Bennett)이나 철학자 대니얼 데닛(Daniel Dennett)과 같은 학자들이 있다. 이들은 인간이 느끼는 의도나 자유의지가 뇌가 만들어낸 정교하고 지속적인 환각(hallucination) 또는 착각(illusion)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1 이 관점에 따르면, 뇌는 외부 현실과 독립적으로 내부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이 내적 예측이 마치 실제인 것처럼 경험되는 신경적 메커니즘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환각 모델'은 인간 행위의 복잡성과 기능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대한 정교한 대안으로, 본 보고서는 사용자가 제안한 '예측조정실재성(Prediction-Modulated Reality, PMR)'이라는 개념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자 한다. PMR은 뇌의 예측 모델이 단순한 환각 상태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신체라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 세계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조정되고 강화됨으로써 실존적 실재성을 획득하는 역동적 과정을 지칭한다. 이 개념은 뇌가 생성한 가상적 모델이 어떻게 주관적 경험과 행동의 차원에서 실재가 되어가는지를 설명하는 새로운 틀을 제공한다.

PMR의 이론적 토대는 칼 프리스턴(Karl Friston)의 자유에너지 원리(Free Energy Principle, FEP)와 능동추론(Active Inference, AI) 이론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3 이 이론에 따르면, 뇌를 포함한 모든 생명 시스템은 자신의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근본적으로 예측과 실제 감각 입력 사이의 차이, 즉 '예측 오차(prediction error)' 또는 '놀람(surprise)'을 최소화하려는 경향성을 갖는다.6 이 과정은 단순히 세계를 수동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넘어, 예측에 맞게 세계를 능동적으로 변화시키는 행동을 포함한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예측조정실재성(PMR)의 개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그 함의를 확장할 것이다. 먼저 1부에서는 PMR의 신경철학적 기반을 상세히 구축하고, 2부에서는 추상미술과 건축이라는 미학적 영역을 통해 정신의 추상적 모델이 어떻게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존적 경험으로 구체화되는지를 탐구한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PMR 프레임워크를 현대 교육학에 적용하여, 학습을 예측 시스템의 훈련 과정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통해 규율과 구조화된 환경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는 새로운 교육 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1부: 능동적 존재의 신경철학



1. 예측하는 엔진: 능동추론과 자유에너지 원리

 

예측조정실재성(PMR)의 핵심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기반이 되는 자유에너지 원리(FEP)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FEP는 뇌를 포함한 모든 자기조직화 시스템(self-organizing system)이 자신의 존재론적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단 하나의 명령, 즉 '놀람(surprise)'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원리다.7 여기서 '놀람'이란 통계학적 용어로, 시스템이 마주칠 확률이 낮은 감각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곧 시스템의 예측 모델에 대한 음의 로그 증거($-log(p(y|m))$)로 정의된다.7 그러나 시스템은 자신이 경험하는 감각이 놀라운 것인지 직접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놀람의 상한선(upper bound)인 '변분 자유에너지(variational free energy)'를 대신 최소화한다.7 만약 시스템이 자유에너지를 성공적으로 최소화한다면, 이는 암묵적으로 놀람을 최소화하는 것과 같으며, 결과적으로 시스템은 항상 예측 가능한 상태, 즉 항상성에 가까운 상태에 머무르게 된다.4

이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뇌는 수동적인 자극-반응 기계가 아니라, 세계에 대한 '생성 모델(generative model)'을 적극적으로 구축하는 '추론 엔진(inference engine)'으로 작동한다.4 이 생성 모델은 감각 입력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설을 끊임없이 생성하고, 이를 통해 미래의 감각 입력을 예측한다. 자유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경로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각각 지각과 행동에 해당한다.

첫째, **지각(Perception)**은 예측과 실제 감각 사이에 불일치, 즉 '예측 오차'가 발생했을 때, 뇌가 자신의 내부 모델(믿음)을 수정하여 감각 데이터에 더 잘 부합하도록 만드는 과정이다.5 이는 세상을 바꾸지 않고 나 자신(의 믿음)을 바꾸는 수동적 추론 과정이다.

둘째, 행동(Action), 즉 **능동추론(Active Inference)**은 내부 모델을 바꾸는 대신, 세상에 직접 개입하여 감각 데이터 자체가 예측과 일치하도록 만드는 과정이다.3 이는 '지각에 행동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12, 행위자를 단순한 관찰자가 아닌 현실의 적극적인 참여자로 만든다. 행동이란 결국 생성 모델의 예측을 실현시키는 방향으로 감각 정보를 샘플링하는 과정이다.7

능동추론 프레임워크는 목표 지향적 행동을 정교하게 설명한다. 행위자는 자신이 점유할 것으로 기대하는 선호 상태(preferred states)에 대한 사전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행동은 미래의 기대 자유에너지(expected free energy)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선택된다.4 기대 자유에너지는 두 가지 핵심적인 가치로 분해될 수 있다.3

  • 실용적 가치(Pragmatic Value): 선호되거나 보상적인 상태에 도달하려는 경향성으로, '활용(exploitation)'에 해당한다.
  • 인식적 가치(Epistemic Value):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정보를 얻으려는 경향성으로, '탐험(exploration)'에 해당한다. 이는 호기심과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행동의 근본적인 동기가 된다.

이러한 능동추론의 관점은 전통적인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RL)에서 '보상(reward)'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재해석하게 한다. 전통적 RL에서 보상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외재적 신호인 반면, 능동추론에서 보상은 행위자가 자신의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마주칠 것으로 기대하는 내재적 '선호 상태'로 개념화된다.3 즉, 학습의 보상은 외부의 칭찬이나 점수가 아니라, 예측 오차를 줄이고 자신의 세계 모델을 성공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얻는 내재적 만족감 그 자체가 된다. 이는 규율이나 구조화된 환경이 단순한 외적 보상을 위한 행동 통제를 넘어, 학습자의 내재적 탐구 욕구와 숙달의 즐거움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2. 예측하는 뇌의 실체화: PMR과 부분-전체 혼동의 도전

 

의도와 자유의지에 대한 논의는 PMR 모델이 극복하고자 하는 두 가지 주요 입장, 즉 환각주의와 양립가능론 사이에서 이루어져 왔다. 환각주의는 우리의 의식적 의지 경험이 사후에 구성된 이야기일 뿐이라고 본다. 반면, 대니얼 데닛으로 대표되는 양립가능론은 결정론적 세계관과 자유의지가 양립 가능하다고 주장한다.14 그는 자유의지를 '달리 선택할 수 있었던 능력'이 아니라, 합리적 행위자로서 환경에 반응하고 해를 피할 수 있는 능력, 즉 '가질 만한 가치가 있는 자유의지(free will worth wanting)'로 재정의한다.1 그러나 비판자들은 이러한 재정의가 자유의지의 핵심 쟁점을 회피하고 의미론적 혼란을 야기한다고 지적한다.2

이러한 철학적 논쟁의 기저에는 신경과학이 흔히 빠지는 개념적 함정이 존재한다. M.R. 베넷과 P.M.S. 해커는 저서 『신경과학의 철학적 토대』에서 이를 '부분-전체 혼동의 오류(mereological fallacy)'라고 명명했다.15 이 오류는 믿고, 결정하고, 보는 것과 같은 심리적 속성들을 유기체 전체가 아닌 그 일부(뇌)에 귀속시키는 개념적 혼동을 의미한다.16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뇌가 우리로 하여금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지, 뇌 자체가 생각을 '하는' 것은 아니다. 현대 신경과학이 데카르트의 심신 이원론을 비판하면서도, '마음'이라는 단어를 '뇌'로 대체했을 뿐, 여전히 잘못된 개념적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17

사용자가 제안한 예측조정실재성(PMR) 모델은 바로 이 부분-전체 혼동의 오류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틀을 제공한다. PMR은 뇌 자체의 속성이 아니라, 행위자-환경 시스템 전체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뇌는 예측을 생성하는 엔진이지만, 그 예측은 신체라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세상과 상호작용하며 검증되고 조절되기 전까지는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하는 '환각'에 불과하다. 따라서 PMR 프레임워크에서 의도를 가지고 실재를 경험하는 주체는 뇌가 아니라, 체화되고(embodied), 행동하고, 지각하는 유기체, 즉 '사람' 전체다.

베넷과 해커의 비판은 신경과학과 심리학 사이에 설명적 간극을 만드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만약 심리적 기능을 뇌에 귀속시킬 수 없다면, 두 학문 분야를 어떻게 연결할 수 있는가? PMR은 이 문제에 대한 정교한 해법을 제시한다. 뇌는 심리적 상태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유기체가 심리적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세계를 '모델링'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슈퍼컴퓨터의 기상 모델이 비를 '느끼는' 것이 아니라, 기상학자(사람 전체)가 비를 예측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변수들을 처리하는 것과 같다. 마찬가지로, 뇌의 생성 모델은 의도를 '느끼거나'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행동의 확률적 결과를 모델링함으로써 체화된 행위자(사람)가 의도를 경험하고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PMR은 베넷과 해커의 논리적 문법(결정하는 주체는 뇌가 아니라 사람)을 존중하면서도, 신경과학에 구체적인 기계론적 역할(세계를 모델링하여 사람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부여함으로써 두 분야 사이의 다리를 놓는다.

 

3. 존재의 피드백 루프: 예측이 실재가 되는 과정

 

PMR 개념은 뇌가 생성하는 '지속적 환각'에서 출발하여 그것이 어떻게 기능적 실재로 전환되는지를 설명한다. 여기서 '환각'이란 뇌의 생성 모델이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세계에 대한 예측의 흐름을 의미한다.7 이 초기 예측이 실재성을 획득하는 결정적인 단계는 사용자가 '물리적 인터페이스'라고 지칭한 신체의 역할에 있다. 신체의 감각계(눈, 귀, 피부 등)는 예측을 검증할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운동계(팔, 다리 등)는 능동추론을 수행하여 감각이 예측과 일치하도록 세상을 변화시키는 도구가 된다.7 이 신체라는 인터페이스가 바로 뇌와 세계를 잇는 피드백 루프의 통로다.

'조정(modulated)'이라는 용어는 이 과정의 역동성을 포착한다. 뇌의 초기 예측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예측 오차에 의해 끊임없이 갱신되고 정교화된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환적 구조를 갖는다:

  1. 뇌가 예측을 생성한다 (예: "손을 뻗으면 단단한 책상 표면이 느껴질 것이다").
  2. 신체가 예측에 기반하여 행동한다 (손을 뻗는 운동 명령).
  3. 신체가 감각 피드백을 수신한다 (책상에서 오는 촉각).
  4. 예측 오차, 즉 예측된 감각과 실제 감각의 차이가 계산된다.
  5. 오차가 작으면 모델이 확인되고 '책상의 실재성'이 강화된다. 오차가 크면(예: 손이 허공을 가르면) 모델은 즉각적으로 강력하게 수정된다.

초당 수백만 번씩 반복되는 이 피드백 루프를 통해, 초기의 '가상적' 모델은 외부 세계와 매우 긴밀하게 동기화되고 결합되어, 견고하고 기능적인 '살아있는 실재(lived reality)'가 된다. 이는 더 이상 단순한 환각이 아니다. 왜냐하면 행동의 지침으로서 엄격하게 검증되고 신뢰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우리가 '자유의지'나 '의도'라고 부르는 주관적 경험은, 바로 이러한 예측 모델을 가동시켜 행동을 통해 미래의 예측 오차를 성공적으로 최소화하는 과정에 대한 내적 감각이다.

이러한 PMR 모델은 '실재성'이 이분법적 상태(실재 vs. 환각)가 아니라, 예측 모델의 정밀도(precision)와 성공에 비례하는 연속적인 변수임을 시사한다. 정신증이나 조현병과 같은 병리적 상태는 '현실과의 단절'이 아니라, 이 조정 과정의 실패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내부 예측에 감각 증거보다 과도하게 높은 가중치(정밀도)가 부여될 때 발생한다.10 건강한 PMR 과정은 감각 정보의 정밀도와 사전 믿음(예측)의 정밀도 사이의 역동적인 균형을 필요로 한다. 우리는 명확한 조건에서는 감각을 신뢰하지만, 어둠 속에서 형체를 보는 것처럼 모호한 상황에서는 사전 믿음에 더 의존한다.10 조현병과 같은 상태는 내부 예측의 정밀도가 병적으로 높아져, 모순되는 감각 증거를 압도해 버리는 상황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이 경우 피드백 루프는 끊어지고, '환각'은 더 이상 현실에 의해 '조정'되지 않는다. 이는 정신 질환을 보편적인 연산 과정의 기능 장애로 이해하는 강력하고 비낙인적인 모델을 제공하며, '현실'이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위태롭고 능동적으로 성취되는 것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


2부: 추상성을 구체화하는 미학



4. 추상미술: 예측 처리의 실험장

 

사용자는 "정신의 환영성이 육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존성을 획득하는 과정 = 회화적/소조적 추상"이라는 통찰을 제시했다. 이 비유는 PMR의 핵심 원리를 미학적 차원에서 명확히 보여준다. 예술 작품, 특히 추상미술은 뇌의 예측 처리 시스템을 탐구하는 독특한 실험장 역할을 한다.

표상미술(representational art)을 볼 때, 뇌의 예측 시스템은 일상에서 '과도하게 학습된(over-learned)' 대상 인식 과제를 수행한다.18 뇌는 "저것은 얼굴이다", "저것은 나무다"와 같은 예측을 생성하고, 비교적 쉽게 예측 오차를 해소하며 기억 및 연상 시스템을 활성화한다.18

반면, 추상미술은 의도적으로 이 과정을 방해한다. 추상미술은 '대상이 없는(object-free)' 예술이다.18 익숙한 대상과 대응하지 않는 형태, 색, 질감을 제시함으로써, 내용 인식 차원에서 막대한 예측 오차를 발생시킨다. "이것이 무엇인가?"라는 뇌의 질문에 쉽게 답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예측의 실패는 시스템을 '현실의 지배로부터 해방'시킨다.18 외부 대상을 분류함으로써 예측 오차를 해소할 수 없게 된 지각 시스템의 초점은 내부로 향하게 된다. 감상자는 무엇을 보고 있는지보다 보는 과정 그 자체, 즉 뇌 자신의 생성적, 예측적 역동성을 인식하게 된다. 미적 경험이란 뇌가 자신의 '내적 상태'와 '인지적 연관성'을 탐험하는 경험이 되는 것이다.18

이 과정에서 물리적인 예술 작품(회화, 조각)은 이 과정을 촉발하는 '물리적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술가의 체화된 행위(붓질, 조각칼의 흔적)는 감상자에게 특정한 감각 자극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된 물리적 대상을 창조한다. 이 대상의 목적은 현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감상자의 뇌가 자신의 예측적 지평을 탐험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예술가의 '정신적 환영(내적 상태)'은 물리적 매체를 통해 타인이 경험할 수 있는 '실존성'을 획득한다.

추상미술에서 얻는 미적 쾌감은 자신의 내적 생성 모델 안에서 이루어지는 '인식적 탐색(epistemic foraging)'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능동추론 이론에 따르면, 행위자는 실용적 가치(목표 달성)뿐만 아니라 인식적 가치(정보 탐색)에 의해서도 동기 부여된다.13 인식적 행동은 불확실성을 줄이고 가능성을 탐험하는 것이다. 추상미술은 "내가 무엇을 보고 있는가?"라는 높은 지각적 불확실성 상태를 만들어낸다.18 놀람/자유에너지를 최소화해야 하는 뇌는 이 새로운 감각 입력에 대해 안정적인 해석을 찾아야만 한다. 이 과정에서 뇌는 자신의 생성 모델 내에서 새로운 패턴과 연관성을 탐색한다. 이 탐험과 새로운, 비록 추상적일지라도, 일관성을 찾아내는 과정 자체가 인식적 행동의 한 형태이며, 불확실성을 성공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능동추론의 관점에서 본질적으로 가치 있거나 '즐거운' 경험이 된다. 이것이 추상미술이 때로는 난해하면서도 깊은 보상을 주는 이유를 설명한다. 그 '보상'은 바로 자신의 내적 예측 지형을 성공적으로 항해하고 재조직하는 데서 오는 희열이다.

 

5. 경험의 건축: 예측 루프의 기획

 

건축은 예술과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로 기능하지만, 더 크고 몰입적인 규모로 작동한다. 건축 디자인이란 거주자의 예측 처리를 조절하기 위해 환경을 구조화하는 실천이다. 건축은 지각과 행동을 유도하는 어포던스(affordance)와 제약의 집합을 창조한다.

이러한 건축적 경험의 토대는 유하니 팔라스마(Juhani Pallasmaa)와 페터 춤토르(Peter Zumthor)의 작업에서 강조된 다중감각적이고 체화된 경험에 있다. 팔라스마는 시각에만 의존하는 '안구중심주의(ocularcentrism)'가 우리를 단순한 관객으로 전락시켜 분리되고 비체화된 경험을 낳는다고 비판했다.19 그는 진정한 건축적 경험은 다중감각적이며, 신체가 경험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는 내 몸으로 도시와 마주한다... 도시와 나의 몸은 서로를 보완하고 정의한다"는 그의 말은 이를 잘 보여준다.20 페터 춤토르의 '분위기(atmosphere)' 개념 역시 공간에 대한 즉각적이고, 감성적이며, 다중감각적인 지각을 다룬다.23 그가 제시하는 재료, 소리, 온도와 같은 원칙들은 공간에 대한 우리의 예측 모델을 본능적이고 체화된 수준에서 형성하는 요소들이다.23

건축이 예측을 조절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 전략, 즉 '자유 평면'과 '유도된 경로'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이 두 전략은 사용자의 자유에너지를 관리하는 상이한 접근법을 보여준다.

  • 자유 평면 (The Free Plan):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의 판스워스 주택(Farnsworth House)이 대표적인 예다. 개방된 공간, 최소한의 내부 칸막이, 그리고 투명한 경계(유리벽)가 특징이다.26 예측 처리의 관점에서 이 디자인은 인식적 기회를 극대화하지만, 다른 영역에서는 높은 예측 오차를 감수해야 한다. 거주자는 예측 불가능한 자연 환경의 역동성에 끊임없이 노출되며, 내부 구조의 부재는 사생활과 예측 가능성을 포기하게 만든다.27 이는 정보적 풍요는 높지만 심리적 안정성은 낮은 건축이다.
  • 유도된 경로 (The Guided Path):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빌라 사보아(Villa Savoye)는 '건축적 산책로(architectural promenade)'라는 잘 기획된 순환 경로를 통해 공간을 통제된 순서로 드러낸다.28 특히 경사로(ramp)는 층들을 매끄럽게 연결하며 방문객의 시선과 움직임을 유도하는 핵심 요소다.28 이 디자인은 예측 가능하고 서사적인 경험을 창조함으로써 예측 오차를 제약한다. 거주자에게 어디로 가야 하고 무엇을 기대해야 하는지를 알려줌으로써 불확실성을 줄이고 정돈된 발견의 감각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건축 전략들은 예측 처리를 조절하는 단일한 렌즈를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될 수 있으며, 다음 표는 그 분석의 틀을 제시한다.

 

건축 전략 주요 사례 예측 시스템에 대한 주된 효과 결과적인 거주자 경험
자유 평면 미스 반 데어 로에의 판스워스 주택 27 감각 입력을 극대화하고 인식적 탐색을 촉진함 (환경으로부터 높은 정보량). 내부 구조를 최소화하여 사생활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임. 높은 지각적 개방성, 자연과의 지속적인 교감. 그러나 사생활 부재, 감각 과부하 가능성("온실 효과" 27), 내부 사회적 상태에 대한 낮은 예측 가능성.
유도된 경로 르 코르뷔지에의 빌라 사보아 29 기획된 경험의 순서("건축적 산책로")를 통해 예측 오차를 제약함. 경로는 예측 가능하며, 주의와 움직임을 유도함. 통제된 발견의 서사적 경험. 질서와 명료함의 감각. 구조화된 여정을 통해 건물의 논리가 드러남.
규율적 격리 베네딕토회 수도원 30 외부 예측 오차를 급격히 감소시킴 (세상과의 격리). 성당, 회랑, 식당 등을 잇는 고정된 공간적 리듬을 통해 매우 예측 가능한 내부 환경을 조성함. 일상과 집중의 삶. 외부 세계로부터의 놀람을 최소화하여 인지적 자원을 내적, 영적 목표에 집중시킴. 행동이 건축에 의해 동기화됨.
구획된 환경 현대 도서관 디자인 32 각각 고유한 예측 신호를 갖는 명확한 구역("개인/혼자" vs. "공공/함께")을 생성함. 조명, 가구, 음향 등 건축 요소를 통해 기대되는 행동을 신호함. 사용자는 현재의 예측 목표에 맞는 환경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 (예: 집중 작업을 위해 사회적 예측 오차를 최소화하는 조용한 구역 선택). 높은 수준의 기능적 명료성.

3부: 예측하는 마음의 교육학



6. 학습을 능동추론으로 재정의하기

 

전통적인 교육관에서 학습은 지식을 수동적으로 수용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PMR 모델의 기반이 되는 능동추론 이론은 이러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뒤집는다. 학습은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이 아니라, 학습자라는 능동적 추론 행위자가 특정 주제(물리학, 역사, 운동 기술 등)에 대한 자신의 생성 모델을 적극적으로 갱신하고 정교화하는 과정으로 재정의된다. 학생은 채워져야 할 빈 그릇이 아니라, 끊임없이 예측하고 검증하며 자신의 세계 모델을 수정해 나가는 존재다.

이 관점에서 학습자의 근본적인 과업은 예측 오차를 생성하는 경험을 찾아 나선 뒤, 그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자신의 모델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는 호기심, 질문, 실험과 같은 행위가 학습의 핵심 동력임을 의미하며, 능동추론의 인식적 가치(epistemic value) 개념과 정확히 일치한다.13

교사의 역할 또한 재정의된다. 교사는 단순히 사실을 전달하는 사람이 아니라, '예측 오차의 큐레이터'로서 기능해야 한다. 즉, 학생의 현재 모델에 생산적으로 도전하고 더 정확한 모델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험, 문제, 환경을 설계하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7. 비계 설정의 필요성: 규율, 구조, 그리고 무의식적 학습자

 

사용자가 지적했듯이, 현대 교육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은 종종 의식적인 의지나 노력의 차원에서 과대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PMR의 관점에서 볼 때, 학생의 의식적인 '의지력'에만 의존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신경생물학적으로 순진한 접근이다. 예측 시스템의 대부분은 무의식적 차원에서 작동하기 때문이다.

2부에서 분석한 건축 모델들은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위한 강력한 은유를 제공한다.

  • 깊은 집중을 위한 모델로서의 수도원: 세상과 격리되고 엄격한 '공간적 리듬'을 가진 수도원의 배치는 규율과 반복을 통해 예측 시스템을 훈련시키기 위해 설계된 완벽한 환경이다.30 예측 가능한 일상은 불필요한 인지 부하(자유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시스템이 단일하고 지속적인 목표에 자원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훈육과 구조적 환경'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사용자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 유연한 집중을 위한 모델로서의 도서관: 현대 도서관의 구획된 디자인은 더 유연하지만 여전히 구조화된 모델을 제공한다.32 각 공간의 '규칙'을 예측할 수 있는 환경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학생이 현재 학습 과업에 최적화된 환경(예: 집중 학습 대 협업)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강조한 휴식, 빈둥거림(idling), 운동의 중요성은 생성 모델의 '과적합(overfitting)'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으로 설명될 수 있다. 기계 학습에서와 마찬가지로, 특정 데이터에 대해서만 훈련하고 통합의 시간을 갖지 않는 신경 시스템은 경직되고 일반화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휴식과 비집중 상태는 뇌가 새로운 정보를 통합하고, 약한 연결을 가지치기하며, 전반적인 모델을 강화할 시간을 주며, 이 과정은 대부분 의식적 통제 밖에서 일어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규율'의 개념은 도덕적 미덕이나 '의지력'의 문제가 아니라, '자신의 자유에너지를 관리하는 절차적 기술'로 재구성될 수 있다. 규율 잡힌 학생이란, 장기적인 불확실성(무지)을 줄이기 위해 요구되는 단기적인 자유에너지의 증가(불편함, 노력)를 견디도록 예측 시스템이 훈련된 사람이다. 학습 과정은 자신이 모르는 것과 마주하는 것이므로 본질적으로 불확실성이 높고, 따라서 자유에너지가 높은 상태다. 훈련되지 않은 시스템은 단기적인 자유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학습 과제를 회피하는 경로를 택하지만(예: 미루기), 규율 잡힌 시스템은 단기적인 노력의 대가가 장기적으로 훨씬 큰 자유에너지의 감소(숙달과 이해)로 이어진다는 더 높은 수준의 정책을 학습한 상태다. 따라서 '규율 생태계'란 이러한 장기적 전략을 실행하기 쉽게 만드는 환경적, 행동적 구조의 집합을 의미한다.

 

8. 평생 학습을 위한 생태계 가꾸기

 

궁극적으로, 교육의 목표는 단순히 지식의 집합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선다. 본 보고서의 논의를 종합하면, 현대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학습자가 최적의 평생 학습을 위해 자신의 예측 처리를 조절하는 개인화된 습관, 일과, 환경 선택의 집합, 즉 사용자가 말한 '건강한 삶의 규율 생태계'를 스스로 구축하고 유지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 '규율 생태계'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 시간의 구조화: 일, 휴식, 운동을 위한 일과를 만든다.
  • 공간의 구조화: 도서관 모델에서처럼, 자신의 물리적 환경(집, 사무실)을 집중이나 휴식에 적합한 신호를 제공하도록 설계한다.
  • 정보의 구조화: 인지적 과부하를 피하기 위해 정보의 흐름을 관리하는 습관을 개발한다.
  • 사회적 상호작용의 구조화: 자신의 학습 목표를 지원하는 사회적 환경을 의식적으로 선택한다.

결론적으로, 현대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에게 고정된 지식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에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자신만의 규율 생태계를 설계하고 유지하는 메타인지적 기술을 갖추게 하는 것이다.


결론: 실현된 예측

 

본 보고서에서 심도 있게 탐구한 예측조정실재성(PMR)은 자유의지에 대한 기존의 논쟁을 넘어서는 강력한 통합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PMR은 자유의지를 기각해야 할 환각이나 의미론적으로 재정의해야 할 개념이 아니라, 행위자가 자신의 체화된 예측을 통해 세계와 상호작용하며 끊임없이 성취해 나가는 역동적 실재로 재구성한다.

이 단일한 개념은 의도의 신경철학, 추상미술과 건축의 미학, 그리고 현대 교육의 실천적 과제라는 이질적으로 보이는 영역들을 일관된 렌즈로 분석하고 연결하는 힘을 보여주었다. 뇌의 예측 모델이 신체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재성을 획득하는 과정은, 추상적 관념이 예술 작품이라는 물리적 매체를 통해 미적 경험으로 구체화되는 과정과 구조적으로 동일하며, 이는 다시 학습자가 규율 잡힌 환경 속에서 자신의 내적 모델을 훈련시키는 교육 과정의 원리와도 맞닿아 있다.

궁극적으로 PMR 모델은 우리에게 심오한 책임을 부여한다. 우리의 현실과 행위 주체성은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행동을 통해 구성되고 유지된다. 따라서 우리 삶과 학습의 질은 우리가 스스로를 위해 구축하는 예측 생태계의 질에 달려 있다. 교육의 진정한 목표는 바로 이 실존적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즉 자신의 현실을 능동적으로 조각해 나갈 수 있는 지혜와 기술을 길러주는 데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1. Daniel Dennett on Free Will,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danielmiessler.com/blog/daniel-dennett-on-free-will
  2. Consciousness and the illusion of free will | by Colin Mathers - Medium,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medium.com/@matherscd/consciousness-and-the-illusion-of-free-will-6a3c14a81dca
  3. A Retrospective on Active Inference - Beren's Blog,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beren.io/2024-07-27-A-Retrospective-on-Active-Inference/
  4. The Free Energy Principle for Perception and Action: A Deep Learning Perspective - PMC,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871280/
  5. Free energy principle - Wikipedia,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Free_energy_principle
  6. pmc.ncbi.nlm.nih.gov,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167251/#:~:text=Active%20inference%20is%20based%20upon,that%20generalise%20established%20normative%20approaches.
  7. The free-energy principle: a rough guide to the brain? - Wellcome ...,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fil.ion.ucl.ac.uk/~karl/The%20free-energy%20principle%20-%20a%20rough%20guide%20to%20the%20brain.pdf
  8. A Neuroscientist's Theory of Everything - Nautilus Magazine,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nautil.us/a-neuroscientists-theory-of-everything-237851/
  9. www.uab.edu,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uab.edu/medicine/cinl/images/KFriston_FreeEnergy_BrainTheory.pdf
  10. A Gentle Introduction to the Free Energy Principle | by Arthur Juliani, PhD | Medium,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awjuliani.medium.com/a-gentle-introduction-to-the-free-energy-principle-03f219853177
  11. Video about Friston's new article "From pixels to planning: scale-free active inference". : r/singularity - Reddit,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reddit.com/r/singularity/comments/1exwqds/video_about_fristons_new_article_from_pixels_to/
  12. Active Inference: The Free Energy Principle in Mind, Brain, and Behavior - MIT Press Direct,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direct.mit.edu/books/oa-monograph/5299/Active-InferenceThe-Free-Energy-Principle-in-Mind
  13. Active inference and learning - PMC - PubMed Central,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167251/
  14. Dennett's "Free Will" vs a Free Will Not Worth Wanting,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breakingthefreewillillusion.com/dennetts-free-will/
  15.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euroscience - Barnes & Noble,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barnesandnoble.com/w/philosophical-foundations-of-neuroscience-m-r-bennett/1139572482
  16. Naming Our Concerns about Neuroscience: A Review of Bennett ...,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389787/
  17.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euroscience | Reviews,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ndpr.nd.edu/reviews/philosophical-foundations-of-neuroscience/
  18. What does the brain tell us about abstract art? - Frontiers,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human-neuroscience/articles/10.3389/fnhum.2014.00085/full
  19. The poverty of embodiment in the work of Juhani Pallasmaa - UCL Press Journals,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journals.uclpress.co.uk/amps/article/pubid/Archit_MPS-27-2/
  20. The Eyes of The Skin Review - declad,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declad.com/the-eyes-of-the-skin-review/
  21. Thoughts on The Eyes of the Skin - Saran Kim | Blog,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sarankim.art/2020/07/04/thoughts-on-the-eyes-of-the-skin/
  22. Book Reviews- The Eyes of the Skin by Juhani Pallasmaa - RTF ...,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re-thinkingthefuture.com/rtf-fresh-perspectives/a1431-book-reviews-the-eyes-of-the-skin-by-juhani-pallasmaa/
  23. Book in Focus: Atmospheres by Peter Zumthor - RTF,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re-thinkingthefuture.com/rtf-architectural-reviews/a3977-book-in-focus-atmospheres-by-peter-zumthor/
  24. PETER ZUMTHOR ATMOSPHERES - Architectural Environments Surrounding Objects,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arhitectura2tm2016.wordpress.com/wp-content/uploads/2019/09/peter_zumthor__atmospheres.pdf
  25. Between Atmospheres and Emotions | The Thoughtful Architectural Creation - Strom Spa,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stromspa.com/en/magazine/architecture-and-design/between-atmospheres-and-emotions-the-thoughtful-architectural-creation/
  26. Ludwig Mies van der Rohe. Farnsworth House, Plano, Illinois (Elevation). 1945 - MoMA,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784
  27. Farnsworth House - Data, Photos & Plans - WikiArquitectura,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arquitectura.com/building/farnsworth-house/
  28. An architectural promenade | Villa Savoye,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villa-savoye.fr/en/discover/an-architectural-promenade
  29. Promenade Architecturale: How the Modernist Concept Continues to Inspire Contemporary Architecture | ArchDaily,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hdaily.com/1025951/promenade-architecturale-how-the-modernist-concept-continues-to-inspire-contemporary-architecture
  30. Monastic Architecture: Stability and Community,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architecturehelper.com/blog/monastic-architecture-stability-and-community/
  31. APR i 41UU0 LIBRARIES - DSpace@MIT,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dspace.mit.edu/bitstream/handle/1721.1/70325/45010051-MIT.pdf?sequence=2&isAllowed=y
  32. (PDF) Can a Library Building's Design Cue New Behaviors?: A ...,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20411524_Can_a_Library_Building's_Design_Cue_New_Behaviors_A_Case_Study
  33. Monastic Experience (Chapter 3) - Ways of Living Religion,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cambridge.org/core/books/ways-of-living-religion/monastic-experience/0968D7128F5E2D503849BEABF28603E6
  34. 10 Steps to a Better Library Interior | MSR Design,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msrdesign.com/resources/10-steps-to-a-better-library-interior/

 

서론: 다실에서 인스타그램 피드까지 - 한 미학의 탈맥락화

 

오늘날 일본의 미적 개념 ‘와비사비(侘寂)’는 글로벌 시대의 문화 교차 속에서 본연의 맥락을 잃고 역설적 혼종(hybrid) 상태에 처해 있다. 본 논설은 와비사비의 현대적 수용이 그것의 본래적 맥락에서 벗어나 서구적 소비를 위해 재포장되는 과정을 ‘자기-오리엔탈리즘적 옥시덴탈리즘(Self-Orientalizing Occidentalism)’이라는 이론적 틀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 현상은 건축 환경에서 가장 첨예하게 드러나며, 와비사비의 진정한 건축적 구현에서부터 양식화된 상업적 적용, 그리고 현대 건축가들의 복합적인 대화에 이르기까지 그 궤적을 추적할 것이다.

이 분석을 위해 몇 가지 핵심 개념을 먼저 정의할 필요가 있다. 첫째, **와비사비(侘寂)**는 불완전함, 무상함, 간소함을 포용하는 세계관으로, 특정한 역사적·사회적 실천에 뿌리를 두고 있다.1 이는 단순히 정의하기 어려운 ‘삶의 방식’ 또는 ‘마음의 자세’에 가깝다.4 둘째,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가 정립한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은 서양이 ‘동양’을 수동적이고 비합리적인 타자로 구성하고 정의함으로써 지배를 정당화하는 권력의 담론이다.5 이는 와비사비의 문화적 번역 과정에 내재된 권력 불균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틀을 제공한다.7 마지막으로, 본고가 제시하는 자기-오리엔탈리즘적 옥시덴탈리즘은 이중적 과정을 지칭한다. 한편으로 자기-오리엔탈리즘은 비서구 주체가 서구의 타자화된 시선을 내면화하여 스스로를 그 시선에 맞춰 재현하는 현상이다.9 다른 한편으로 옥시덴탈리즘은 단순히 동양이 서양을 비하하는 대칭적 구도를 넘어 11, 서구의 이상적 가치(심리적 성장, 균형, 영적 성취 등)를 자신의 전통 개념에 투사하고 이상화하는 기제를 의미한다.

본고는 총 4부로 구성된다. 제1부에서는 와비사비의 본래적 의미가 건축적으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그 물질적, 공간적 기준을 정립한다. 제2부에서는 앞서 제시한 이론적 틀을 통해 와비사비가 문화적으로 오해되고 상품화되는 과정을 해부한다. 제3부에서는 현대 건축의 실천 속에서 이러한 긴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주요 건축가들의 작업을 통해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비판적 지역주의와 혼종성 이론을 통해 와비사비가 현대 건축의 저항적 실천으로서 나아갈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제1부. 비움의 구축술: 와비사비의 원형적 건축 구현

 

현대의 왜곡된 해석을 비판하기에 앞서, 와비사비가 추상적 개념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유형적인 건축적 선택을 통해 발현된 철학이었음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와비사비의 건축적 문법은 본질적으로 ‘덜어냄’과 ‘부정’의 언어에 기반한다.

 

1.1 닫힌 우주: 센노 리큐의 다실 타이안(待庵)

 

16세기 다인(茶人) 센노 리큐(千利休)는 당시 지배계급의 부와 권력을 과시하던 호화로운 다도 문화(서원차, 書院茶)에 대한 반동으로, 소박한 초가 형태의 다실(초암, 草庵)을 창안했다.4 이는 사회적, 미학적 비판을 담은 의도적인 건축 행위였다.

  • 공간과 재료의 분석:
  • 규모와 척도: 극도로 축소된 두 첩(疊) 크기의 다실은 미니멀리즘 양식이 아니라, 친밀감을 형성하고 세속적 계급을 무력화하며 내면에 집중하도록 강제하는 장치였다.14 이는 내면성을 위한 건축이다.
  • 니지리구치(躙口): ‘무릎으로 기어 들어가는 출입구’는 이 공간의 핵심적인 건축 장치다. 신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머리를 숙이고 몸을 낮춰야만 들어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외부 세계의 위계와 칼 같은 상징물을 벗어던지고 겸허한 상태에 이르게 한다.13
  • 비영속성의 재료: 다실은 거친 흙벽(츠치카베, 土壁), 대나무 창살(시타지마도, 下地窓), 어두운 색의 회반죽 등 가공되지 않은 지역의 비영속적 재료로 지어졌다. 이는 ‘소박한 외양’을 위한 선택이 아니라, 장인의 손길을 드러내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낡아가는 ‘사비(寂)’의 개념을 물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함이었다.15
  • 통제된 어둠: 공간은 의도적으로 어둡게 유지되며, 작고 전략적으로 배치된 창을 통해 미묘한 빛과 그림자의 변화(음예예찬, 陰翳礼讃)를 만들어낸다. 이는 기술의 부재가 아니라, 감각을 차(茶)라는 즉각적인 경험에 집중시키고 내적 성찰을 유도하기 위한 의도적 선택이었다.16

 

1.2 공백의 풍경: 료안지 석정(龍安寺 石庭)

 

료안지의 ‘가레산스이(枯山水, 마른 산수)’ 정원은 와비사비 철학이 공간적으로 구현된 또 다른 극단적 사례로, 선(禪) 수행을 위한 추상적이고 명상적인 공간이다.18 이 건축은 물, 화려한 색채, 움직임과 같은 요소의 ‘부재’를 통해 오히려 존재감을 창출한다.

  • 불완전성의 건축:
  • 열다섯 개의 돌: 정원에는 15개의 돌이 배치되어 있으나, 어느 지점에서 보아도 항상 14개만 보이도록 설계되었다.20 이는 인간 인식의 한계와 완벽한 조망의 불가능성을 가르치는 직접적인 건축적 장치다. 전체를 장악하려는 서구적 원근법 시점과는 정반대의 철학을 담고 있다.
  • 여백(間): 갈퀴로 민 흰 자갈은 배경이 아니라 정원의 주된 요소다. 이는 가능성으로 가득 찬 공백, 즉 바다이자 우주를 상징한다. 사물과 사물 ‘사이’의 공간을 중시하는 일본 미학의 핵심 개념인 ‘마(間)’를 시각화한 것이다.23
  • 비대칭과 불균형: 돌무더기들은 의도적으로 비대칭적이며 명확한 중심 없이 배치되어, 관람자의 시선이 한곳에 머물지 않고 방황하며 사유하도록 유도한다.25

이처럼 와비사비의 원형적 건축 문법은 사회적 위계(니지리구치), 물질적 영속성(흙벽), 시각적 지배(14개의 돌), 그리고 서구적 이상인 균형 잡힌 대칭 구성을 체계적으로 부정하고 해체한다. 이는 미학적 취향을 넘어,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 자체를 건축을 통해 실천하려는 철학적 기획이었다. 이러한 원형에 대한 이해는 제2부에서 다룰 현대적 해석의 전도가 얼마나 극적인지를 명확히 보여줄 것이다.

 

제2부. ‘불완전한 균형’의 역설: 옥시덴탈리즘적 시선 속 와비사비

 

와비사비가 지닌 본래의 ‘덜어냄’의 철학은 글로벌 문화 시장 속에서 정반대의 ‘덧붙임’의 논리로 전유된다. 이 과정은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적 시선과, 그 시선을 내면화하여 서구의 기대를 충족시키려는 자기-오리엔탈리즘적 옥시덴탈리즘의 복합적 작용을 통해 심화된다.

 

2.1 권력의 담론: 오리엔탈리즘과 와비사비의 단순화

 

사이먼 시넥과 같은 서구의 사상가들이 와비사비를 ‘불완전함의 아름다움’이라는 단순한 은유로 축소하는 것은 전형적인 오리엔탈리즘적 행위다. 이는 복잡한 문화적 실천을 그 맥락에서 분리하여 서구의 목적(리더십, 경영 철학)에 유용한 도구로 삼는 과정이다.7 이 과정에서 동양은 심오하지만 수동적인 지혜의 원천으로 대상화되며, 그 지혜를 ‘발견’하고 ‘해석’하여 보편적 원리로 만드는 주체는 서양이 된다.5 동양은 스스로를 표상할 능력이 없기에 서구에 의해 재현되어야 한다는 오리엔탈리즘의 기본 전제가 작동하는 것이다.7

 

2.2 원주민 정보원의 딜레마: 루미 코바야시와 자기-오리엔탈리즘적 옥시덴탈리즘

 

사용자가 지적한 루미 코바야시의 주장은 이러한 구도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그는 시넥의 단순화를 비판하며 ‘진정한’ 의미를 설파하지만, 그가 제시하는 대안—‘장인의 내면 탐색’, ‘더 큰 존재와의 연결’—은 와비사비를 서구 중심의 심리학, 영성주의 담론으로 재구성하는 것에 불과하다.

  • 가치의 전도: 본래 다실의 와비사비가 일상의 겸허함, 쇠락의 수용, 비위계적 공간을 지향했다면, 코바야시의 와비사비는 ‘깨달은 장인’이라는 새로운 위계를 설정한다. 이는 평범함의 철학을 특권화된 정신적 수행으로 격상시키는 것으로, 서구의 자기계발 및 웰니스 문화가 요구하는 서사와 완벽하게 부합한다.1
  • 진정성의 수행: ‘이것이 진정한 의미’라고 주장하며 일본인으로서의 권위를 내세우는 행위는, 역설적으로 서구가 동양에 기대하는 ‘신비롭고 영적인 원주민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는 서구의 시선을 내면화하여 그들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자신의 전통을 재정의하는 자기-오리엔탈리즘의 핵심적 양상이다. 동시에 서구적 가치(내면 성장, 정신적 완성)를 일본 전통의 최고 가치로 이상화한다는 점에서 옥시덴탈리즘적이다.

 

2.3 불완전함의 사치: 상업화와 와비사비 ‘스타일’

 

이러한 담론적 왜곡은 부티크 호텔, 카페, 고급 주거 공간에서 ‘와비사비 스타일’이라는 이름으로 물질화된다.28

  • ‘올바르게 행해진 불완전한 아름다움’에 대한 비판: 상업 공간은 거친 질감, 비대칭적 배치, 자연 소재 등 불완전함의 ‘외양’을 채택하지만, 이는 고도로 통제되고 연출된 미학이다. 이는 진정한 시간의 흐름과 사용의 흔적을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막대한 자본과 디자인 전문성을 통해 ‘불완전함’을 안전하고 보기 좋은 상품으로 스타일링하는 것이다.30 이는 ‘올바르게 행해진 불완전함(Imperfect Beauty, Done Right)’이라는 모순적 개념으로 귀결된다.
  • ‘재팬디(Japandi)’ - 궁극의 혼종 상품: 이 과정의 정점은 ‘재팬디’ 트렌드에서 나타난다. 이는 와비사비의 미학을 스칸디나비아의 ‘휘게(hygge)’와 결합하여, 이케아와 같은 브랜드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쉽게 소비될 수 있는 따뜻하고 미니멀한 라이프스타일 상품으로 변모시킨 것이다.32 이 혼합 과정에서 와비사비가 지녔던 급진적이고 불편한 측면들—죽음, 쇠락, 결핍의 긍정—은 완전히 거세되고 안락하고 논쟁의 여지가 없는 미학만 남게 된다.

결론적으로, ‘결핍(侘)’의 풍요로움을 찾던 철학이 ‘불완전함의 사치(the luxury of imperfection)’라는 이름의 미학으로 전락하는 역설이 발생한다. 고가의 ‘자연’ 소재와 장인의 수공예품으로 연출된 와비사비 공간은 겸손과 가난의 흔적을 엘리트적 취향과 과시적 소비의 기호로 재전유한다. 철학은 그 이름과 시각적 단서만 남긴 채 완전히 전복된다.

 

제3부. 현대의 실천: 현대 건축과 와비사비의 대화

 

와비사비의 본래 철학과 양식화된 해석 사이의 긴장은 상업적 현상을 넘어, 현대 건축의 가장 높은 수준에서도 발견된다. 특히 일본을 대표하는 두 건축가, 안도 다다오와 쿠마 켄고의 작업은 이 미학적 유산과 대화하는 상이한 두 가지 방식을 보여준다.

 

3.1 안도 다다오: 순수성의 기하학과 콘크리트의 역설

 

안도 다다오의 건축은 와비사비의 핵심 원리인 단순함, 비본질적인 것의 제거, 그리고 강력한 빈 공간의 창출과 깊이 공명한다. 그의 대표작 ‘빛의 교회’에서 어둠을 가르는 빛의 극적인 사용은 ‘마(間)’의 개념을 심오하고 영적인 경험으로 승화시킨다.34

그러나 그의 주재료인 노출 콘크리트는 와비사비의 철학과 근본적인 긴장 관계를 형성한다. 안도의 콘크리트는 완벽하게 매끄럽고, 정교하게 시공되며, 기하학적 순수성을 추구하는 산업적이고 영속적인 재료다.37 이는 타이안 다실의 소박하고, 자연적이며, 썩어가는 재료와는 정반대의 지점에 서 있다. 안도의 미학은 겸손하고 내재적인 불완전함이 아닌, 숭고하고 플라톤적인 완벽함을 지향한다. 그의 세계적인 성공은 ‘일본적 공간’에 대한 매우 영향력 있는 현대적 해석을 낳았고, 이는 서구가 이해하고 매력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결과적으로 그의 작업은, 비록 그 자체로 뛰어나지만, 흙과 비영속성에서 분리된 채 추상적이고 미니멀한 완벽함과 동기화된 와비사비 미학의 길을 닦는 데 일조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3.2 쿠마 켄고: 약한 건축의 윤리와 비판적 전통

 

쿠마 켄고의 ‘약한 건축’ 또는 ‘사라지는 건축(負ける建築)’ 철학은 와비사비의 핵심 교리인 겸손함과 자연에 대한 존중을 현대적으로 구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38 그의 건축은 환경을 지배하기보다 그 속에 녹아들기를 지향한다.

  • 재료와 구축술:
  • 지역적, 자연적 재료: 쿠마는 나무, 대나무, 돌, 종이 등 전통 일본 건축의 재료를 적극적으로 사용한다.41
  • 전통의 재해석 - 치도리(千鳥): 그의 ‘GC Prostho Museum Research Center’는 못을 사용하지 않는 전통적인 목재 결구 방식인 ‘치도리’를 거대한 건축적 규모로 확장한 사례다.41 이는 향수 어린 복제가 아니라, 전통 기술이 현대 기술과 만나 어떻게 재창조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비판적이고 현대적인 재결합이다.

쿠마의 작업은 양식화되고 상업화된 와비사비에 대한 강력한 대안 서사를 제시한다. 그의 건축은 장소, 재료, 그리고 장인정신과의 깊은 관계 맺기를 통해, 철학적이면서도 현실 세계에 단단히 발 딛고 있는 실천이다.

 

표 1: 안도와 쿠마 건축에 나타난 와비사비 원리의 비교 분석

 

두 건축가의 접근법을 직접 비교하면, 와비사비라는 동일한 문화적 유산을 두고 어떻게 상이한 건축적 경로가 나타나는지 명확히 드러난다. 이는 더 넓은 문화적 동학을 반영하는 축소판과 같다.

와비사비 원리 안도 다다오의 해석 쿠마 켄고의 해석 분기점에 대한 비판적 분석
비영속성 & 비대칭 콘크리트를 통해 기하학적 완벽성과 영속성을 추구. 대칭과 순수 형태를 사용. 유기적 형태와 ‘사라지는’ 구조를 포용. 풍경과 조화되는 비대칭을 사용. 안도는 시간을 초월한 플라톤적 이상을 추구하는 반면, 쿠마는 덧없고 장소 특정적인 현실과 관계 맺는다.
자연스럽고 소박한 재료 산업재인 콘크리트를 숭고하고 완벽한 상태로 격상시킴. 지역의 자연 재료(나무, 돌, 대나무)를 다양한 상태 그대로 우선시함. 안도의 물질성은 추상적이고 보편적이다. 쿠마의 물질성은 촉각적이고, 지역적이며, 구체적이다.
단순함 & 간소함 기하학적 환원을 통해 강력하고 미니멀한 공백을 성취함. 재료의 정직함과 구조적 가벼움(예: 작은 목재 입자)을 통해 단순함을 성취함. 안도의 단순함은 기념비적이고 숭고하다. 쿠마의 단순함은 인간적 척도를 지니며 겸손하다.
장소성 종종 주변 환경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는 강력하고 자족적인 세계를 창조함. 건축이 부지의 지형, 기후, 문화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으로 나타남. 안도의 작업은 풍경 ‘안에’ 있는 자율적 오브제인 경우가 많다. 쿠마의 작업은 풍경 ‘의’ 확장이다.

 

제4부. 결론: 비판적 혼종성을 향하여 - 저항의 건축으로서 와비사비

 

본고의 분석을 종합하며, 와비사비가 현대 건축에서 나아갈 길은 과거로의 회귀가 아닌, 현재의 모순을 비판적으로 끌어안는 데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4.1 향수를 넘어: 와비사비와 비판적 지역주의

 

건축 이론가 케네스 프램프턴(Kenneth Frampton)의 ‘비판적 지역주의(Critical Regionalism)’는 세계화(보편 문명)의 균질화하는 힘에 저항하는 건축 전략을 제시한다.45 이는 감상적인 토착주의로 회귀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적 기술을 특정 장소의 고유성과 비판적으로 매개하는 ‘아리에르가르드(arrière-garde)’적 태도다.

오늘날 와비사비의 진정한 가치는 타이안 다실을 복제하는 향수적 지역주의가 아니라, 그 핵심 원리—겸허함, 재료에 대한 감수성, 비영속성의 수용, 촉각성의 강조—를 장소성 없고, 시각 중심적이며, 완벽을 강요하는 글로벌 디지털 자본주의 문화에 대한 ‘비판적 저항’의 형태로 전개하는 데 있다. 쿠마 켄고의 작업은 이러한 접근의 탁월한 사례로 볼 수 있다.48

 

4.2 ‘제3의 공간’ 끌어안기: 의식적 혼종성

 

포스트콜로니얼 이론가 호미 바바(Homi K. Bhabha)의 ‘혼종성(Hybridity)’과 ‘제3의 공간(Third Space)’ 개념은 또 다른 길을 제시한다.50 바바에 따르면,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만남은 단순한 혼합이 아닌, 긴장과 전복의 잠재력을 지닌 새로운 발화의 공간을 창출한다. 혼종적 대상은 지배 문화를 모방하지만 항상 미묘한 차이를 동반하며 그 권위를 불안정하게 만든다.53

사용자의 마지막 질문, “혼종적 상태를 더욱 의식적으로 악화시켜보는 자세를 취하는 편이 옳지 않을까?”에 대해 바바의 이론을 통해 답할 수 있다. 이는 혼종성을 상업적으로 심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3의 공간’을 더욱 의식적이고 비판적으로 점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와비사비의 상태는 정화해야 할 실패가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적 사실이자 발화의 장이다.

‘비판적으로 혼종적인’ 건축은 ‘진정성 있는’ 와비사비나 순수한 ‘글로벌’ 건축을 지향하지 않는다. 대신, 그것은 자기 구성의 이음새를 의도적으로 노출시킬 것이다. 예를 들어, 안도의 완벽한 콘크리트 벽과 쿠마의 썩어가는 대나무 직조물을 나란히 병치함으로써, 이상화된 글로벌 미학과 지저분한 지역적 현실 사이의 대립을 강제할 수 있다. 이는 문화 번역의 과정과 그 안에 내재된 권력 역학을 가시적이고 물질적인 형태로 드러내는, 자신의 혼종성을 수행하는 건축이 될 것이다.

 

4.3 최종 제안: 내재성의 건축을 향하여

 

결론적으로, 건축에서 와비사비가 나아갈 길은 그것을 ‘내재성(immanence)’의 철학—특정 장소, 재료, 순간의 ‘지금-여기’에 대한 깊은 관여—으로 되찾아오는 것이다. 이는 ‘자기-오리엔탈리즘적 옥시덴탈리즘’적 해석이 추구하는 초월적이고, 탈장소적이며, 심리적인 목표와 정면으로 대치된다. 오늘날 건축가에게 주어진 과제는 와비사비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철학적 핵심을 비판적 도구로 사용하여, 인간의 경험을 점차 비물질화하고 분산시키는 세계 속에서 다시금 현실에 뿌리내리게 하는 공간을 설계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1. 와비사비의 불가사의: 일본 미술의 불완전함을 받아들이다 - Trip To Japan,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triptojapan.com/ko/blog/wabi-sabi-wonders-embracing-imperfection-in-japanese-art-and-life
  2. 미완성, 비움의 미학 '와비 사비(わび・さび)',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meron79.tistory.com/4
  3. [행간사이] 흠과 결의 미학, 와비사비 - 이대학보,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inews.ewha.ac.kr/news/articleView.html?idxno=73613
  4. [Review] 매일매일, 와비사비 WABI-SABI - 아트인사이트,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artinsight.co.kr/news/view.php?no=41119
  5. www.atlasnews.co.kr,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www.atla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62#:~:text=%EA%B7%B8%EB%8A%94%20%E2%80%9C%EC%98%A4%EB%A6%AC%EC%97%94%ED%83%88%EB%A6%AC%EC%A6%98%EC%9D%B4%EB%9E%80%20%EC%84%9C%EC%96%91%EC%9D%B4,%ED%95%98%EB%8A%94%20%EA%B2%83%E2%80%9D%EC%9D%B4%EB%9D%BC%EA%B3%A0%20%EC%A0%95%EC%9D%98%ED%96%88%EB%8B%A4.
  6. 오리엔탈리즘 - 나무위키,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C%98%A4%EB%A6%AC%EC%97%94%ED%83%88%EB%A6%AC%EC%A6%98
  7.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 FELIVIEW,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feliview.com/modern-hist/themodern/said-orientalism/
  8.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 아틀라스뉴스,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www.atla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62
  9. 고발과 연루-한국계 미국 소설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 - 역락출판사,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www.youkrackbooks.com/?books=%EA%B3%A0%EB%B0%9C%EA%B3%BC-%EC%97%B0%EB%A3%A8-%ED%95%9C%EA%B5%AD%EA%B3%84-%EB%AF%B8%EA%B5%AD-%EC%86%8C%EC%84%A4%EC%97%90-%EB%82%98%ED%83%80%EB%82%9C-%EC%98%A4%EB%A6%AC%EC%97%94%ED%83%88%EB%A6%AC
  10. Self-Orientalism Appeared in Seoul Olympic Closing Performance - :: Dance and Theory ::,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journal.dancetheory.kr/journal/article.php?code=83930&list.php?m=1
  11. webzine.daesoon.org,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webzine.daesoon.org/board/readcnt.asp?bno=7712&win=new#:~:text=%EC%98%A5%EC%8B%9C%EB%8D%B4%ED%83%88%EB%A6%AC%EC%A6%98%EC%9D%80%20%EC%98%A4%EB%A6%AC%EC%97%94%ED%83%88%EB%A6%AC%EC%A6%98%EC%97%90%20%EB%8C%80%ED%95%9C,%EC%97%90%EC%84%9C%20%EC%84%9C%EC%96%91%EC%9D%84%20%EB%B9%84%ED%95%98%ED%95%9C%EB%8B%A4.
  12. 읽기자료 1】 오리엔탈리즘 [orientalism] 옥시덴탈리즘 [ Occidentalism ],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ocw.sogang.ac.kr/rfile/2017/Read%20and%20write/3-2.%20%EC%9D%BD%EA%B8%B0%EC%9E%90%EB%A3%8C1%20%20%EC%98%A4%EB%A6%AC%EC%97%94%ED%83%88%EB%A6%AC%EC%A6%98(2017)_20170713111207.pdf
  13. 초암다실의 도코노마 - 자유게시판 - 일본불교사공부방(일본 불교사 ...,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m.cafe.daum.net/karuna33/3jOL/1487
  14. [20-17] 해외도보 21탄 - 일본 간사이 문화답사 걷기여행(상) [등지원 ...,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cafe.daum.net/way./jHAM/868
  15. 와비-사비 원더스: 일본 문화 속의 불완전함의 매력 - Supplier Studio,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supplier-studio.com/ko/wabi-sabi-wonders-the-allure-of-imperfection-in-japanese-culture/
  16. KIEAE Journal,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kieae.kr/_common/do.php?a=full&b=&bidx=2597&aidx=29531
  17. 다이묘 차(大名茶) 차실(茶室)의 평면 구성 비교 분석,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kieae.kr/xml/30146/30146.pdf
  18. 자연마저 응축시킨 '禪 정원'의 미학 - 현대불교,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7459
  19. 료안지와 은각사에 본 일본인의 미학.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 NAVER,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freeoos/expicksnote/contents/221216105634188hi
  20. 세계문화유산인 료안지(龍安寺)에서 '와비 사비'를 체험하기 ! | J-TRIP Smart Magazine,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magazine.japan-jtrip.com/kr/article/kansai/2416/
  21. 깨달음으로 이끄는 '열려진 초대' - 현대불교,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9315
  22. [山寺미학 .8] 일본 사찰 가레산스이(枯山水)...돌·모래·이끼로 꾸며놓은 '石庭'…500년전 파격 설치미술 보는 듯 - 영남일보,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90627.010220749470001
  23. 와비·사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ko.wikipedia.org/wiki/%EC%99%80%EB%B9%84%C2%B7%EC%82%AC%EB%B9%84
  24. [함혜리 선임기자의 예술산책] 비움의 경지에서 만족을 배우다 - 서울신문,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seoul.co.kr/news/plan/hamhr/2017/06/08/20170608025004
  25. 일본에서 반드시 방문해야 할 가장 아름다운 일본 정원 10곳,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triptojapan.com/ko/blog/10-most-beautiful-japanese-gardens
  26. [정원산책] 료안지(龍安寺) 가레산스이(枯山水) 정원 - 월드코리안뉴스,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worldkorean.net/news/articleView.html?idxno=21862
  27.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리뷰 - 김병하넷,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kimha5510.tistory.com/183
  28. interiorstylehunter.com,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interiorstylehunter.com/wabi-sabi-design/#:~:text=An%20Age%2DOld%20Wisdom,and%20uniqueness%20rather%20than%20perfection.
  29. Wabi-sabi: A Hotel Design With A Pure, Streamlined Aesthetic - Covet House,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covethouse.eu/inspirations/wabi-sabi-a-hotel-design-with-a-pure-streamlined-aesthetic/
  30. A Guide to Wabi Sabi Interior Design with Tiles - Kimgres,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kimgres.com/a-guide-to-wabi-sabi-interior-design-with-tiles/
  31. Wabi-sabi restaurant design. An inspirational interior by Francisco Segarra.,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franciscosegarra.com/en/wabi-sabi-restaurant-design/
  32. Wabi-sabi in Interior Design: The Art of The Imperfect - Design ...,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designbuild.nridigital.com/design_build_review_apr20/wabi_sabi_interior_design_art_imperfect
  33. Japandi & Wabi-Sabi: Calm, Timeless Tile Design - Crossville Studios,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crossvillestudios.com/surface-design-trends/Blog/Japandi-Wabi-Sabi-Calm,-Timeless-Tile-Design
  34. ARTLETTER : 안도타다오,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artart.today/artletter07_Ando
  35. 안도 다다오_빛의 교회(Church of the Light) - So's Archive - 티스토리,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so-architecture.tistory.com/entry/%EC%95%88%EB%8F%84-%EB%8B%A4%EB%8B%A4%EC%98%A4%EB%B9%9B%EC%9D%98-%EA%B5%90%ED%9A%8CChurch-of-the-Light
  36. [사이언스 in Art] 자연과 호흡하는 건축, 안도 다다오와 그의 건축물 / YTN 사이언스 - YouTube,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PQp-wVtG_uY
  37. [조성관의 세계인문여행]안도 다다오의 사과와 괴테의 청년정신 - Daum,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v.daum.net/v/20240106075535110
  38. 구마 겐고가 보여주는 관계속에서의 건축물. | MEN Noblesse,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mennoblesse.com/article/alberni-9-21/
  39. SLOW BUT STEADY - 노블레스닷컴,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noblesse.com/home/news/magazine/detail.php?no=12969
  40. 세계 건축의 흐름을 바꾼 일본의 거장, 쿠마 켄고(Kengo Kuma, 隈研吾) - HIDA KOREA,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hida.co.kr/?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jt9&bmode=view&idx=164420521&t=board
  41. 건축은 죄악이다 외치던 소년, 세계를 누비는 약한 건축의 거장이 되다 ...,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09070795i
  42. 미니멀리즘은 잊어라…이젠 '와비사비' 시대 - 땅집고 > 건축,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08/2018060801671.html
  43. GC Prostho Museum Research Center / Kengo Kuma & Associates - Architecture Lab,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hitecturelab.net/gc-prostho-museum-research-center-kengo-kuma-and-associates/
  44. 07 | GC Prostho Museum Research Center | Kengo Kuma,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chadschwartz.com/07-gc-prostho-museum-research-center-kengo-kuma/
  45. Towards a Critical Regionalism: Six Points for an Architecture of Resistance - Modern in Denver,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modernindenver.com/wp-content/uploads/2015/08/Frampton.pdf
  46. Full article: Re-Interrogating Critical Regionalism,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20507828.2024.2431454
  47. Critical regionalism - Wikipedia,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Critical_regionalism
  48. Kenneth Frampton | Tag - ArchDaily,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hdaily.com/tag/kenneth-frampton
  49. 10 Critical regionalist architects around the world - RTF | Rethinking The Future,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re-thinkingthefuture.com/know-your-architects/a3285-10-critical-regionalist-architects-around-the-world/
  50. Homi K. Bhabha - Wikipedia,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Homi_K._Bhabha
  51. "Homi-Bhabhas Concept of Hybridity",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scalar.usc.edu/works/bodies/homi-bhabhas-concept-of-hybridity
  52. Homi Bhabha's Concept of Hybridity -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literariness.org/2016/04/08/homi-bhabhas-concept-of-hybridity/
  53. Third Spaces in Architecture: Homi Bhabha - RTF | Rethinking The Future,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re-thinkingthefuture.com/architectural-community/a10496-third-spaces-in-architecture-homi-bhabha/
  54. Architecture, Hybridity, and Post-Apartheid Design - OpenEdition Books, 10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books.openedition.org/inha/pdf/1707

 

계산적 매체

 

이 글의 핵심 주장은 건축에서의 디지털 전환이 단순한 기술적 진화를 넘어, 건축적 대상, 디자인 과정, 그리고 건축가의 창조적 주체성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하는 인식론적 전환이라는 점이다. 이 담론은 컴퓨터를 기존의 프로세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전산화(computerization)'에서, 알고리즘과 논리적 과정 자체가 디자인 개념 구상의 매체가 되는 '계산(computation)'으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전개된다.1

초기 건축 분야에서 컴퓨터는 이미 구상된 아이디어를 제도하고 저장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현대 건축에서 알고리즘은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것을 넘어 디자인을 '잉태하는' 데 사용된다.1 이는 디자이너를 작업의 유일하고 완전한 통제권을 가진 저자로 보는 전통적인 관념에 도전한다. 전통적인 도구는 그 능력과 한계가 사전에 알려져 있지만, 귀납적 알고리즘은 "예측 불가능한 미지의 영역"을 드러낼 수 있다. 이로써 디지털 장치는 알려진 것을 탐색하는 도구에서 "미지의 세계로 들어가는 관문"으로 변모한다.1 이러한 변화는 디자인 과정에 예측 불가능성을 창조적 동력으로 도입하며, 통제와 우연 사이의 핵심적인 긴장 관계를 설정한다. 이 긴장 관계는 이 글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가 될 것이다.

이 글은 디지털 패러다임의 역사적·이론적 계보(1부)에서 시작하여, 건축의 핵심 개념인 구축성(tectonics)에 미친 영향(2부), 그리고 문화유산과 진정성 개념에 제기하는 심오한 도전(3부)을 거쳐, 최종적으로 포스트휴먼 및 가상 건축이라는 사변적 미래(4부)로 나아가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탐구할 것이다.

 

1부: 디지털 패러다임의 계보



1장. 자동화에서 알고리즘으로: 디지털 디자인의 개념적 기원



1.1 전산화의 시대: 기초 도구로서의 CAD

 

컴퓨터 지원 설계(Computer-Aided Design, CAD)의 역사는 1960년대 이반 서덜랜드(Ivan Sutherland)의 스케치패드(Sketchpad)에서 시작되어 1980년대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으로 대중화되었다.2 초기 CAD는 본질적으로 전통적인 제도 방식을 디지털화한 것으로, "전례 없는 정밀도, 반복성, 확장성"을 제공했지만 디자인의 개념적 과정을 근본적으로 바꾸지는 않았다.2 이 시기의 지배적인 방식은 전산화, 즉 "디자이너의 마음속에서 이미 개념화된 개체나 프로세스를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 표현 또는 저장하는 것"이었다.1 CAD는 효율성을 극대화했지만, 컴퓨터는 여전히 건축가의 의도를 수동적으로 기록하는 도구에 머물렀다.

 

1.2 "또 하나의 도구일 뿐"이라는 담론: 비판적 재평가

 

컴퓨터의 역할에 대한 철학적 논쟁은 '편안한 중간 지대'를 형성한 "또 하나의 도구일 뿐(just another tool)"이라는 담론으로 수렴되었다.4 이 표현은 무해한 단순화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계산의 본질을 '모호하게' 만들고, 그 고유한 구조를 보이지 않게 하며, 기술의 기반 시설적 규모와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 논쟁을 유예시키는 기제로 작동했다.4 손 드로잉("종이 위의 더러운 자국")과 컴퓨터 생성 이미지(계산 가능한 코드로 이루어진 "견고한 골격"에 의해 뒷받침되는) 사이의 환원 불가능한 차이는 바로 이 지점에서 드러난다.4

이러한 담론은 단순히 양 진영의 타협점이 아니었다. 그것은 건축 분야의 자기보존 기제에 가까웠다. 알고리즘 디자인이 건축가의 절대적 저자성과 창조적 천재성에 도전하는 기술의 등장은 전통적인 직업 정체성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었다.1 이 기술을 수동적인 '도구'로 규정함으로써, 건축가는 기술을 길들이고 자신의 통제하에 두어 위협을 무력화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 담론은 건축계가 계산의 진정한 본질과 비판적으로 마주하는 것을 거의 20년 가까이 지연시켰다. 이 기간 동안 기술은 개념적 잠재력보다는 효율성(CAD)을 위해 채택되었으며, 이는 훗날 마리오 카르포(Mario Carpo)와 같은 이론가들이 메워야 할 지적 공백을 남겼다.

 

1.3 알고리즘 전환: 계산으로서의 디자인

 

알고리즘 디자인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은 알고리즘이 건축 형태를 향상시키는 것을 넘어 '잉태'하는 데 사용되면서 시작되었다.1 이는 규칙 기반 논리로부터 공간과 형태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디자이너가 "마우스를 넘어서" 기존 소프트웨어의 한계를 초월할 수 있게 한다.1 이는 인간 중심의 통제에서 '이질적인' 논리적 메커니즘과의 협업 과정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생산적인 예측 불가능성을 디자인 과정에 도입했다. 건축은 더 이상 고정된 형태를 그리는 행위가 아니라, 가능성의 체계를 설계하는 행위가 되었다.

 

2장. 디지털의 연속성: 아방가르드의 실현



2.1 포스트모더니즘과 기호학적 프로젝트

 

찰스 젱크스(Charles Jencks)는 모더니즘의 "소통의 실패"를 비판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을 단순한 양식이 아니라 다원주의, 혼성, 소통을 중심으로 한 가치 체계로 정의했다.5 복잡성을 관리하고 이질적인 요소들을 결합하는 능력을 갖춘 디지털 도구는 젱크스가 말한 "전형적인 포스트모던 하이브리드"를 실현하는 이상적인 매체가 되었다.5 디지털 기술은 포스트모더니즘이 추구했던 다의적이고 맥락적인 건축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문법을 제공했다.

 

2.2 해체주의의 철학적 선조

 

해체주의 건축은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철학과 문학적 해체주의 운동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다.6 이 운동은 조화, 안정성, 질서와 같은 기존의 관념에 도전하며, 의도적으로 파편화되고 해체된 듯한 인상을 주었다.6 건축은 더 이상 안정적인 구조물이 아니라, 의미가 끊임없이 유예되고 해체되는 텍스트로 간주되었다.

 

2.3 해체주의의 디지털적 구현

 

데리다의 철학적 개념과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 프랭크 게리(Frank Gehry)와 같은 건축가들의 형태적 탐구는 디지털 소프트웨어의 능력과 결합되면서 비로소 현실화될 수 있었다.6 파편화, 비선형적 디자인, 그리고 현존과 부재의 변증법과 같은 추상적 개념들을 구축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데 디지털 모델링은 필수적이었다.7 컴퓨터는 '현존의 형이상학'을 구축적으로 탐구할 수 있게 한 잃어버린 연결고리였다.

이러한 발전은 20세기 아방가르드 내부에 존재했던 근본적인 모순, 즉 이론적 야망과 표현 능력 사이의 간극을 해결했다. 해체주의와 같은 운동은 전통적인 직교 도면 체계로는 표현하거나 구축하기 어려운 매우 복잡한 철학적, 형태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했다.6 이로 인해 건축 담론(이론)과 건축 실천(구축) 사이에 격차가 발생했다. 디지털 모델링 소프트웨어의 등장은 비유클리드 기하학 및 파편화된 형태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문서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2, 건축 실천이 수십 년간 축적된 자체 이론적 사변을 마침내 '따라잡을' 수 있게 하는 촉매 역할을 했다. 즉, 디지털은 이러한 형태를 발명한 것이 아니라, 구축 불가능했던 것을 구축 가능하게 만들고, 이를 통해 이전 아방가르드 이론들의 타당성을 입증했다.

 

2.4 새로운 세계관: 비유클리드 기하학과 유동적 형태

 

결론적으로, 디지털 패러다임은 "불안정성과 유연성"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세계관(Weltanschauung)을 창조했다.8 이는 4차원이나 비유클리드 기하학과 같은 이론적 개념들의 건축적 표현을 가능하게 했고, 20세기 후반 건축 아방가르드를 정의한 "유동적이고 해체된 형태들"로 이어졌다.8 건축은 고정된 기하학의 구속에서 벗어나, 데이터의 흐름과 변형의 논리를 따르는 동적인 시공간 예술로 거듭났다.

 

2부: 구축성과 디지털적 재구성



3장. 탈산업 시대의 구축의 시학



3.1 구축 이론의 기원: 고트프리트 젬퍼

 

고트프리트 젬퍼(Gottfried Semper)의 구축 이론은 건축 이론의 초석을 이룬다. 그는 원시 오두막을 네 가지 민족지학적 요소(토공, 화로, 골조/지붕, 외피)로 나누고, 무겁고 압축적인 덩어리로 이루어진 토공의 '입체구조학(stereotomics)'과 가벼운 선형 부재의 조립인 골조의 '구축학(tectonics)'을 비판적으로 구분했다.9 젬퍼에게 '접합부(joint)'는 "원초적인 구축 요소"로서 모든 건축 행위의 중심에 있었다.10 그의 이론은 구축 행위를 단순한 기술이 아닌, 문화적 표현의 시학으로 격상시켰다.

 

3.2 20세기의 부활: 케네스 프램톤의 비판적 프로젝트

 

케네스 프램톤(Kenneth Frampton)의 영향력 있는 저서 『구축 문화 연구(Studies in Tectonic Culture)』는 구축과 재료의 현실보다 추상적 공간을 우선시하는 모더니즘 건축의 경향에 대한 비판으로 읽힌다.11 프램톤은 건축이 공간과 추상 형태에 관한 것만큼이나 구조와 구축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작업은 표면과 이미지에 집중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이자, "구축의 시학"을 재확립하려는 시도였다.12

프램톤이 포스트모더니즘의 피상성을 비판한 것은 역설적으로 디지털 기술과의 더 깊은 만남을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는 임의적인 역사 기호의 적용과 무대장치적 접근을 비판하며, 구축과 재료의 논리에 기반한 건축을 옹호했다.11 흥미롭게도 '1차 디지털 전환'의 산물인 '블롭(blob)' 건축 역시 비슷한 이유로 비판받았다. 즉, 본질적인 구조나 재료 논리 없이 표면 효과에만 치중한 복잡한 형태라는 비판이었다. 프램톤이 "구축의 시학"에 대한 새로운 집중을 요구함으로써, 그는 디자인 의도와 제작 논리를 통합할 방법에 대한 지적 수요를 창출했다. 디지털 패브리케이션과 컴퓨터 분석 도구는 형태, 재료, 구조의 깊이 있는 데이터 기반 통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 요구에 완벽한 해답을 제공했다. 따라서 프램톤의 반디지털적이고 공예 기반적인 이론은 아이러니하게도 디지털 정보와 물질적 현실의 구축적 통합을 근본으로 하는 '2차 디지털 전환'의 길을 닦은 셈이다.

 

4장. 디지털 구축성: 형태, 재료, 제작의 새로운 종합



4.1 디지털 구축성의 정의

 

'디지털 구축성(Digital Tectonics)'은 디지털 기술에 의해 촉진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구조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건축가와 엔지니어 간의 시너지를 의미한다.13 이는 "디지털적으로 구상되고, 구조적으로 명료화되며, 직접적으로 제조되는 건축의 시학"으로 정의되며, 물리적 세계와 가상 세계의 교차점을 나타낸다.17 이 새로운 접근 방식은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구축 방법과 통합하여, 구조의 존재론을 정적인 질서의 논리에서 재료 성능의 동적 모델로 변환시킨다.19

 

4.2 1차 디지털 전환: 디지털 형식주의에 대한 비판

 

마리오 카르포는 '1차 디지털 전환'에 대한 영향력 있는 비판을 제기했다. 이 시기는 "디지털 유선형(digital streamlining)"과 "블롭(blob)"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이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덕분에 가능해진 매끄럽고 연속적인 곡선의 미학이지만 종종 기능적 목적 없이 적용되었다.22 카르포는 이러한 양식적 집착이 당시 진행 중이던 더 심오한 기술적, 이념적 변화의 범위를 가렸다고 주장한다.22

 

4.3 2차 디지털 전환: 대량 맞춤 생산과 이산성

 

카르포가 제시한 '2차 디지털 전환'의 개념은 특정 스타일이 아닌 새로운 생산 논리에 의해 정의된다. 바로 대량 맞춤 생산(mass customization)인데, 이는 변형된 제품을 동일한 제품과 같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여 산업적 표준화를 쓸모없게 만든다.22 이 전환은 디지털 코드의 본질적인 '이산성(discreteness)'을 수용하며, 매끄러운 표면 뒤에 계산 단위를 숨기는 대신 이를 드러내는 "복셀화(voxellated)"된 미학으로 이어진다.22 이는 건축가의 역할을 단일 객체를 디자인하는 것에서 무한한 변형을 생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적 구성체인 "객체(objectile)"를 디자인하는 것으로 변화시킨다.23

1차와 2차 디지털 전환 사이의 논쟁은 사실상 무대장치(scenography)와 구축성(tectonics) 사이의 역사적 긴장 관계가 현대 기술의 장에서 재현된 것이다. 연속적이고 유선형인 표면에 집중했던 1차 디지털 전환은 종종 구조나 재료 논리와 분리된 채 시각적 효과와 형태 제작을 우선시했다. 이는 표면의 외관이 일차적인 무대장치적 접근 방식과 일치한다. 반면, 이산성, 제작 논리, 대량 맞춤 생산을 강조하는 2차 디지털 전환은 근본적으로 "조립의 시학"과 그 기저에 있는 계산 및 재료 프로세스의 명시적 표현에 관한 것이다. 이는 구축성의 고전적 정의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10 따라서 카르포의 비판은 단순히 기술의 역사가 아니라 건축의 핵심 가치 충돌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디지털 기술이 이 갈등을 창조한 것이 아니라, 이 오래된 논쟁이 벌어지는 새롭고 강력한 기술적 장을 제공했을 뿐이다.

 

4.4 AI 구축성: 새로운 담론의 부상

 

이 담론의 가장 최근 진화는 카르포가 "AI 구축성(AI Tectonics)"이라고 명명한 개념으로 이어진다.24 이는 AI가 매력적인 2D 이미지를 생성하는 능력과 현재 "공간적 문해력"이 부족하다는 점 사이의 긴장을 드러낸다.24 이는 구축성이 인간과 기계 지능 간의 공생적 저작 행위인 '공동-시학(co-poiesis)'에 의해 정의될 미래를 예고한다.24

 

3부: 디지털 기억: 문화유산, 진정성, 그리고 복원



5장. 가상 시대의 베니스 헌장: 디지털 진정성에 대한 논쟁



5.1 기본 원칙: 베니스 헌장

 

전통적인 보존 윤리의 기준은 1964년 베니스 헌장의 핵심 원칙들에서 찾을 수 있다. 주요 원칙으로는 기념물을 예술 작품이자 역사적 증거로서 보호하고, 원형 재료와 신빙성 있는 문서를 존중하며, 복원은 "추측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중단되어야 한다"는 결정적인 지침이 포함된다.27 불가피한 추가 작업은 원본과 구별 가능해야 하며 "현대의 흔적을 지녀야 한다".27

 

5.2 진정성에 대한 디지털의 도전

 

3D 스캐닝, 사진 측량, VR, AR과 같은 디지털 기술은 기존의 보존 원칙에 위기를 초래한다.29 이러한 도구들은 완벽하고 비침습적인 기록과 몰입형 경험을 가능하게 하지만, 동시에 소실되거나 손상된 유산의 "디지털 복원"과 "가상 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헌장의 원칙에 근본적으로 도전한다.29

 

5.3 디지털 복원의 이론적 틀: 체사레 브란디의 "잠재적 통일성"

 

이 위기를 헤쳐나가기 위해, 본 장에서는 체사레 브란디(Cesare Brandi)의 이론을 적용한다. 복원은 역사적 허위를 만들거나 시간의 흐름을 지우지 않으면서 작품의 "잠재적 통일성(unità potenziale)"을 재확립하려는 방법론적 행위로 정의된다.32 이 틀을 통해, 디지털 개입이 합법적으로 "복원"이라 불리기 위해서는 단순히 시각적 외관이 아닌, 증거에 기반하여 이러한 개념적 통일성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32 추측에 기반한 창작물은 지적 정직성을 유지하기 위해 "디지털 재현(reconstruction)"으로 명명되어야 한다.32

 

5.4 윤리적 딜레마: 소유권, 접근성, 그리고 문화적 절도

 

이러한 기술은 복잡한 윤리적, 법적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공공 영역에 있거나 데이터가 변경되었을 때 문화재의 3D 데이터 소유권에 대한 합의가 부재하다.34 또한 디지털 복제가 "문화적 절도"의 한 형태로 규정된 사례들과, 재현이 인간적 손실의 맥락을 무시하거나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실패 사례들도 검토해야 한다.34

복원 원칙 비교 프레임워크
지침 원칙
진정성
개입
문서화

 

6장. 사례 연구: 한국에서의 과거 재구성



6.1 경복궁 복원: 논쟁의 역사

 

경복궁 복원 사업(1990-현재)은 단순한 건축 복원을 넘어, 일제 강점기 동안의 체계적인 파괴 이후 국가 정체성을 되찾으려는 탈식민주의적 행위로 이해된다.36 이로 인해 역사적 진정성, 재료 사용, 그리고 서울의 도시 형태학을 정의하는 데 있어 궁궐의 역할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촉발되었다.37

 

6.2 한국 전통 건축의 원리

 

복원 논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 전통 건축의 철학적, 디자인적 원리에 대한 맥락 이해가 필요하다. 여기에는 기하학(예: $\sqrt{2}$)에 기반한 비례 체계의 사용과 역사적인 석탑에서 볼 수 있듯이 목조 건축 기술을 석조로 변환하는 방식이 포함된다.38 이는 현대 복원 시도가 존중하고자 하는 뿌리 깊은 디자인 논리를 확립한다.

 

6.3 한국 문화유산의 디지털 문서화

 

대한민국은 문화유산 보존을 위해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고정밀 3D 스캐닝과 AI 기반 추론을 사용하여 고고학 유물의 문서화를 자동화함으로써, 수작업 방식에 비해 효율성과 객관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있다.40 이는 디지털 유산을 생성, 관리, 보존하려는 선제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40

 

6.4 종합: 현대 한국의 기술과 정체성

 

한국의 사례는 문화유산의 '진정성'이 고정된 물질적 속성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협상되는 문화적, 정치적 구성물임을 드러낸다. 베니스 헌장은 원형 재료에 기반한 보편주의적 접근법을 제시하지만 27, 경복궁 프로젝트는 식민지 시대의 트라우마를 지우고 국가 주권의 상징을 복원하려는 열망에 의해 추진된다.36 이 목표는 엄격한 물질적 진정성보다 상징적, 서사적 진정성을 우선시할 수 있다. 동시에, 신라 시대 토기를 문서화하기 위해 AI를 사용하는 것은 41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인 새로운 형태의 진정성을 창출한다. 한국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이 두 활동—하나는 상징적 재건에, 다른 하나는 객관적 문서화에 초점—은 진정성에 대한 단일한 정의가 작동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문화유산 맥락에서 디지털 기술은 이중적 역할을 수행한다. 즉, 원하는 역사적 서사를 구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고(궁궐 재건), 객관적인 물질적 기록을 포착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유물 스캐닝). 이는 진정성 자체가 국가 정체성, 역사적 맥락, 그리고 그것과 관계 맺는 데 사용되는 바로 그 기술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적인 개념임을 증명한다.

 

4부: 탈인간중심주의의 지평



7장. 포스트휴머니즘과 물질 연산: 바이오-디지털의 종합



7.1 포스트휴먼 건축의 이론적 토대

 

건축 이론에서의 포스트휴먼 전환은 순수한 인간중심적 관점에서 벗어나 인간, 비인간(동물, 식물), 그리고 기술 간의 더 복잡한 상호관계를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42 이는 '인간'이라는 신화적 개념과 자연 대 기술이라는 이분법에 의문을 제기하며, 대신 세계를 혼성적 주체와 데이터 흐름의 집합체로 본다.43

 

7.2 네리 옥스만과 "물질 생태학"

 

네리 옥스만(Neri Oxman)과 MIT 미디어 랩의 미디에이티드 매터(Mediated Matter) 그룹의 작업은 이러한 포스트휴먼적, 바이오-디지털 접근법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48 그들의 연구는 계산 디자인,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재료 과학, 합성 생물학의 교차점에 위치한다.48 핵심 개념은 형태의 생체모방을 넘어, 자연 자체가 재료를 조립하는 논리를 관찰하고 복제하는 "물질 기반의 생물학적 패러다임"으로 나아가는 것이다.50

 

7.3 조립에서 성장으로: 주요 프로젝트

 

이러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주요 프로젝트들을 분석할 수 있다.

  • 아구아호하(Aguahoja): 새우 껍질과 사과 껍질에서 추출한 바이오폴리머를 3D 프린팅하여 만든 파빌리온으로, 환경에 반응하고 생태계로 다시 분해되어 쓰레기 제로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었다.48
  • 파이버봇(Fiberbots): 벌과 거미 같은 곤충의 집단적 구축 방식에서 영감을 받아 대규모 유리섬유 구조물을 3D 프린팅할 수 있는 자율 로봇 군집이다.51
  • 디지털 건설 플랫폼(DCP): 건물 구성 요소를 프린팅하기 위한 대규모 로봇 시스템으로, 구조와 외피가 단일 공정으로 통합되어 "부품 없는" 건물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기계 시대에서 생물학 시대로"의 전환을 상징한다.52

 

7.4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 형태 성장 대 형태 탐색

 

이러한 작업은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을 나타낸다. 1차 디지털 전환이 새로운 기하학을 발견하기 위한 '형태 탐색(form-finding)'에 집착했다면, 옥스만의 작업은 '형태 성장(form-growing)'을 개척한다. 여기서 형태는 재료, 제작 과정, 환경 데이터 간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창발적 속성이다. 디자인은 생물학적, 계산적 과정들을 조율하는 행위가 된다.53

네리 옥스만의 바이오-디지털 종합은 디지털-구축성 논쟁의 핵심 용어들을 해체함으로써 그 논쟁 자체를 해결한다. 무대장치적인 '블롭'과 이산적인 '복셀' 사이의 논쟁은 전통적인 건축 과정인 '부분을 전체로 조립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구축성은 "접합부의 시학"이다. 그러나 "부품 없는" 건물을 목표로 하는 DCP나 52 연속적인 바이오폴리머 외피인 아구아호하와 같은 옥스만의 작업은 48 조립이라는 개념 자체를 제거하고자 한다. 이 패러다임에서는 결합할 이산적인 부품이 존재하지 않는다. 재료, 구조, 외피는 계산적으로 "성장"하는 연속적이고 이질적인 시스템이다. 따라서 바이오-디지털 접근 방식은 구축성 논쟁에서 어느 한쪽 편을 드는 것이 아니라, 건축적 대상에 대한 근본적으로 다른 존재론—즉, 지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장하는 것—을 제안함으로써 그 논쟁을 무의미하게 만든다.

 

8장. 새로운 비물질화: 메타버스 속 건축 이론



8.1 메타버스의 정의: 가상 현실을 넘어서

 

메타버스는 단일 기술이 아니라 "차세대 인터넷"으로 정의된다. 이는 현존감, 상호운용성, 표준화를 특징으로 하는 지속적인 3D 웹이며, 사회적 삶의 핵심 무대가 될 상호 연결된 가상 세계의 총체이다.54

 

8.2 제약 없는 건축

 

메타버스에서 디자인하는 건축가에게 핵심적인 개념적 전환은 중력, 물질성, 구조적 제약과 같은 물리적 제한의 제거이다.54 이는 건축을 실용적 의무에서 해방시키고, 경험을 형성하는 매체로서의 본질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

 

8.3 새로운 이론적 틀의 부상

 

메타버스 건축을 위해 새로운 이론적 틀이 제안되고 있다. 건축가의 역할은 소통적 상호작용의 공간-시각적 질서 부여로 전환된다.55 파트리크 슈마허(Patrik Schumacher)는 '공간학(spatiology, 조직)', '현상학(phenomenology, 지각적 명료성)', '기호학(semiology, 정보 풍부성)', '극작술(dramaturgy, 상호작용)'이라는 네 가지 하위 분야에 기반한 틀을 제안한다.55 디자인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UI/UX 디자인의 한 형태가 된다.55

 

8.4 세계-건설자로서의 건축가

 

메타버스는이 글에서 확인된 경향들의 궁극적인 결론을 나타낸다. 2차 디지털 전환에서 시작된 정보와 물질의 분리는 이제 완성되었다. 건축가의 역할은 물리적 대상의 설계자에서 정보 시스템, 규칙 집합, 경험의 설계자, 즉 가장 문자 그대로의 의미에서 "세계-건설자(world-builder)"로 완전히 전환된다.58

메타버스 건축의 부상은 건축 분야가 자신의 정의와 마주하도록 강요한다. 건축은 근본적으로 구축에 관한 것인가, 아니면 공간의 질서 부여에 관한 것인가? 수천 년 동안 구축과 공간 질서 부여라는 두 개념은 분리할 수 없었다. 그러나 메타버스는 공간과 물리적 구축 사이의 연결을 완전히 끊어버린다.54 메타버스에 참여하는 건축가들은 순수하게 공간의 추상적 특성, 즉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짜고, 명료한 환경을 만들고, 의미를 부여하는(기호학) 작업만을 수행해야 한다.55 이는 건축 분야에 위기를 초래하며 선택을 강요한다. 만약 건축이 오직 구축에 관한 것이라면 메타버스는 건축이 아니다. 그러나 건축이 근본적으로 인간 활동을 담기 위한 지적이고 목적 있는 공간 질서 부여에 관한 것이라면, 메타버스는 그것의 가장 순수하고 본질적인 표현이다. 따라서 메타버스 건축에 대한 담론은 틈새 시장의 미래적 주제가 아니라, 건축이라는 직업 전체의 정의와 미래에 대한 국민투표와 같다.

 

결론: 정보 마스터로서의 건축가

 

이 글은 컴퓨터가 제도 도구에서 알고리즘적 공동 설계자로, 오래된 아방가르드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매체에서 완전히 새로운 바이오-디지털 존재론을 생성하는 동력으로, 그리고 구축 공예의 정의에 도전하는 것에서 건축의 물질성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으로 진화하는 서사를 추적했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 속에서 건축가의 역할은 비트루비우스적인 "마스터 빌더"에서 "정보 마스터" 또는 "복잡계의 큐레이터"로 전환되고 있다. 카르포의 "객체"를 설계하든, 옥스만의 "물질 생태학"을 조율하든, 슈마허의 메타버스 속 "소통적 프레임"을 구축하든, 주된 매체는 더 이상 돌과 강철이 아니라 데이터와 논리이다.

이러한 변혁은 최종적인 해답이 아닌, 지속적인 질문들을 남긴다. 물리적 세계와 가상 세계의 상호작용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세상에서 건축 교육, 직업 윤리, 그리고 건축의 문화적 역할은 어떻게 재정의되어야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모색하는 과정이야말로 디지털 시대 건축의 새로운 시학을 써 내려가는 여정이 될 것이다.

참고 자료

  1. Algorithmic Design: A Paradigm Shift in Architecture? - CumInCAD,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apers.cumincad.org/data/works/att/2004_201.content.pdf
  2. The Impact of Computer-Aided Design on Architecture, Engineering,,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longdom.org/articles/the-impact-of-computeraided-design-on-architecture-engineering-and-design-innovation-107843.html
  3. ARCHITECTURAl DESIgn In THE DIgITAl ERA - COR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core.ac.uk/download/pdf/53287902.pdf
  4. Between Accident and Control: Contrasting Traditions of ... - urbanNext,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urbannext.net/between-accident-and-control/
  5. “Charles Jencks' provocation has never been more important”,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dezeen.com/2019/10/17/charles-jencks-postmodernism-opinion/
  6.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 Research Starters - EBSCO,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ebsco.com/research-starters/architecture/deconstructivist-architecture
  7. Deconstructivism - Wikipedia,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Deconstructivism
  8. The Digital Paradigm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img journal,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img-journal.unibo.it/article/view/16076
  9. www.acsa-arch.org,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acsa-arch.org/proceedings/International%20Proceedings/ACSA.Intl.1996/ACSA.Intl.1996.26.pdf
  10. stereotomic research,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www.arch.ttu.edu/people/faculty/driskill_d/5605%20adv%20design%20dallas%20sum%2004/students/zachary_edwards/stereotomic.htm
  11. Book Review of Studies in Tectonic Culture | tectonicdetail - WordPress.com,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tectonicdetail.wordpress.com/2012/10/11/book-review-of-studies-in-tectonic-culture/
  12. Studies in Tectonic Culture: The Poetics of Construction in ...,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goodreads.com/book/show/66450.Studies_in_Tectonic_Culture
  13. Digital Tectonics: 9780470857298 - AbeBooks,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abebooks.com/9780470857298/Digital-Tectonics-0470857293/plp
  14. Digital Tectonics - Leach Neil; Turnbull David; Williams, Chris - Purzelbaum Bücher & Spielwaren GmbH,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purzel-baum.ch/detail/ISBN-9780470857298/Leach-Neil/Digital-Tectonics
  15. Digital Tectonics - Neil Leach - WordPress.com,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neilleach.wordpress.com/publications/books-2/digital-tectonics/
  16. Digital tectonics / edited by Neil Leach, David Turnbull, Chris Williams. - UC Library Search,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search.library.berkeley.edu/discovery/fulldisplay?docid=alma991040218809706532&context=L&vid=01UCS_BER:UCB&lang=en&adaptor=Local%20Search%20Engine&tab=Default_UCLibrarySearch&query=creator%2Cexact%2CTurnbull%2C%20David%2CAND&facet=creator%2Cexact%2CTurnbull%2C%20David&mode=advanced&offset=0
  17. Digital Tectonics: The intersection of the physical and the virtual - ResearchGat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61125569_Digital_Tectonics_The_intersection_of_the_physical_and_the_virtual
  18. Digital Tectonics: the intersection of the physical and the virtual - CumInCAD,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apers.cumincad.org/data/works/att/acadia04_256.content.pdf
  19. 0011 digital tectonic,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digitalartarchive.at/fileadmin/user_upload/Virtualart/PDF/612_digital_tectonic.pdf
  20. Architectural Tectonics in the Age of Climate Crisis, Social Change ...,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tadjournal.org/architectural-tectonics-in-the-age-of-climate-crisis-social-change-and-digital-fabrication/
  21. Digital Tectonics as a Morphogenetic Process - SciSpac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scispace.com/pdf/digital-tectonics-as-a-morphogenetic-process-ujpufz9tqc.pdf
  22. A Very Short History of the Digital Turn in Architecture | Mario Carpo,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mariocarpo.com/essays/a-very-short-story-of-the-digital-turn-in-architecture
  23. Mario Carpo | Critic Under the Influenc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criticundertheinfluence.wordpress.com/tag/mario-carpo/
  24. (PDF) Tectonics as the disenchantment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 ResearchGat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93875890_Tectonics_as_the_disenchantment_of_Generative_Artificial_Intelligence
  25. (PDF) AI Tectonics, or the culture wars of building technology - ResearchGat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88320228_AI_Tectonics_or_the_culture_wars_of_building_technology
  26. AI Tectonics, or the Culture Wars of Building Technology - Mario Carpo,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mariocarpo.com/essays/ai-tectonics-or-the-culture-wars-of-building-technology
  27. Venice Charter - Wikipedia,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Venice_Charter
  28. the venice charter - Museum Conservation Institut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mci.si.edu/sites/default/files/venice_charter_en_2023.pdf
  29. (PDF) Digital Innovations in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Emerging Research and Opportunities - ResearchGat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15445172_Digital_Innovations_in_Architectural_Heritage_Conservation_Emerging_Research_and_Opportunities
  30. Digital Preservation for UNESCO Architectural Heritage - Encyclopedia.pub,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encyclopedia.pub/entry/17990
  31. (PDF) A Review on Augmented Reality for Virtual Heritage System,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21247704_A_Review_on_Augmented_Reality_for_Virtual_Heritage_System
  32. A Study on the Concept of Restoration through the Kaesong ...,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isprs-annals.copernicus.org/articles/X-M-2-2025/209/2025/isprs-annals-X-M-2-2025-209-2025.pdf
  33. (PDF) Modern Built Heritage Conservation Policies: How to Keep Authenticity and Emotion in the Age of Digital Culture - ResearchGat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4942355_Modern_Built_Heritage_Conservation_Policies_How_to_Keep_Authenticity_and_Emotion_in_the_Age_of_Digital_Culture
  34. What are the Ethics of 3D Scanned and 3D Printed Museum and ...,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3dprint.com/223160/ethics-3d-scanned-printed-artifact/
  35. The Problem with Printing Palmyra: Exploring the Ethics of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to Reconstruct Heritage - IU ScholarWorks,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scholarworks.iu.edu/journals/index.php/sdh/article/view/24590/32535
  36. History of Gyeongbokgung - Wikipedia,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History_of_Gyeongbokgung
  37. The palace, the city and the past: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33041592_The_palace_the_city_and_the_past_controversies_surrounding_the_rebuilding_of_the_Gyeongbok_Palace_in_Seoul_1990-2010
  38. Design Principles of Early Stone Pagodas in Ancient Korean ... - MDPI,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2077-1444/10/3/208
  39. Buddhist Architecture in Korea - My education - Connecticut Colleg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diluo.digital.conncoll.edu/Asianart/uncategorized/buddhist-architecture-in-korea/
  40.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e Heritag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knuh.ac.kr/english/content.do?tplBaseId=TPL0000237&mnuBaseId=MNU0000574&topBaseId=MNU0000570
  41. Automated Digital Documentation and Interpretation of Subsurface ...,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isprs-annals.copernicus.org/articles/X-M-2-2025/223/2025/isprs-annals-X-M-2-2025-223-2025.pdf
  42. Architectural Theories of the Environment: Posthuman Territory - BME Public Building Design Department,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kozep.bme.hu/en/library/architectural-theories-of-the-environment-posthuman-territory
  43. The Parameters of the Posthuman,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acsa-arch.org/proceedings/Annual%20Meeting%20Proceedings/ACSA.AM.100/ACSA.AM.100.73.pdf
  44. Designing for/with posthuman subject - Parametric Architectur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arametric-architecture.com/posthuman-architecture-designing-for-with-posthuman-subject/
  45. What Is Posthuman Architecture/Cities as A Potential and Emerging Term of Post-Pandemic World - iccaua,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iccaua.com/PDFs/2022_Conference_fulL_book/SESSION_B_2022/ICCAUA2022EN0008_Hidayet_291-296.pdf
  46. “Posthuman” Architecture | PCA–STREAM,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pca-stream.com/en/explore/posthuman-architecture-2/
  47. Architecture, Technology and the Body: From the Prehuman to the Posthuman - bodyoftheory,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bodyoftheory.com/wp-content/uploads/2012/02/hale_sage-handbook_2012_ch29.pdf
  48. Review: Neri Oxman and Bio-architecture | ASPEN Yapı ve Zemin,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aspen.com.tr/en/blog/review-neri-oxman-and-bio-architecture
  49. Updates ‹ Neri Oxman - MIT Media Lab,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media.mit.edu/people/neri/updates/
  50. (PDF) How the informed relations between physical, digital and biological dimensions are changing the design practice, as well as the sustainability paradigm - ResearchGat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71247421_How_the_informed_relations_between_physical_digital_and_biological_dimensions_are_changing_the_design_practice_as_well_as_the_sustainability_paradigm
  51. Fiberbots by Neri Oxman: Digital Fabrication System - RTF | Rethinking The Futur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re-thinkingthefuture.com/case-studies/a5023-fiberbots-by-neri-oxman-digital-fabrication-system/
  52. Neri Oxman and MIT show new approach to 3D printing buildings | VoxelMatters,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voxelmatters.com/neri-oxman-mit-show-yet-another-approach-3d-printing-buildings/
  53. Neri Oxman and Mediated Matter at the MIT Media Lab - Creative Applications,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creativeapplications.net/news/neri-oxman-and-mediated-matter-at-the-mit-media-lab/
  54. HOW METAVERSE EVOLVES THE ARCHITECTURAL DESIGN - CumInCAD,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apers.cumincad.org/data/works/att/ascaad2022_052.pdf
  55. The metaverse as opportunity for architecture and society: design drivers, core competencies - PMC - PubMed Central,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382614/
  56. Designing the Metaverse - ScholarSpac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scholarspace.manoa.hawaii.edu/bitstreams/b98c8018-ba3e-4e12-852a-7f149139c29c/download
  57. (PDF) HOW METAVERSE EVOLVES THE ARCHITECTURAL DESIGN - ResearchGate,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64316886_HOW_METAVERSE_EVOLVES_THE_ARCHITECTURAL_DESIGN
  58. the role of the metaverse in the future of digital architectur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 Jurnal UNIKA Soegijapranata, 10월 3, 2025에 액세스, https://journal.unika.ac.id/index.php/joda/article/viewFile/14213/pdf

 

 

 

출처 : https://www.instagram.com/p/DO5AUGYkXSp/

 

서론: '반학문(Anti-Disciplinary)'의 매혹

 

MIT 미디어랩(Media Lab)은 학문 간의 칸막이를 허물고 미래를 발명하겠다는 약속을 내건 '반학문(anti-disciplinary)' 혁신의 세계적인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1 이 보고서는 바로 이 찬란한 모델이 사실은 강력한 '허상(illusion)'이며, 그 화려한 기술 유토피아주의의 이면에는 실체, 확장성, 그리고 윤리의 깊은 문제가 잠재해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모델의 근본적인 연구 문화(비록 결함이 있을지라도)에 대한 성찰 없이 그 표면적 브랜딩만을 무비판적으로 모방한 결과, 한국의 고등 교육 현장에는 정체성이 '어정쩡한(ambiguous)' 융합학부들이 구조적 결함을 안은 채 난립하게 되었음을 논증할 것이다.

보고서는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미디어랩의 건립 신화를 탐구하고, 2부에서는 일련의 비판적 사례 연구를 통해 이 신화를 체계적으로 해체한다. 마지막 3부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한국 고등 교육계의 구체적인 현실과 연결하여 그 문제의 본질을 진단할 것이다.


1부: '디지털이다(Being Digital)'라는 일종의 복음 - 미디어랩의 건립 신화

 

이 장에서는 미디어랩의 세계적 명성을 뒷받침하는 강력하고 매혹적인 이데올로기를 정립한다. 이 건립 신화를 이해하는 것은 미디어랩의 실패가 단순히 기술적인 것뿐만 아니라 철학적인 것임을 포함하는 것을 보인다.

 

1장: 네그로폰테의 예언과 '원자에서 비트로'의 혁명

 

미디어랩의 선언문은 1995년 니콜라스 네그로폰테(Nicholas Negroponte)가 저술한 『디지털이다(Being Digital)』에서 찾을 수 있다.2 이 책의 핵심 주장은 물리적 '원자(atoms)'의 세계에서 디지털 '비트(bits)'의 세계로의 "거스를 수 없고 멈출 수 없는" 전환이다.5 책이나 CD와 같은 원자는 무게가 있고 이동이 느리지만, 비트는 무게가 없고 빛의 속도로 움직이며 복제와 배포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이러한 전환은 단순히 기술의 변화가 아니라 경제와 사회 구조의 근본적인 변혁을 의미했다.

네그로폰테는 디지털 시대가 가져올 궁극적 승리의 근거로 네 가지 강력한 특성을 예언했다: 탈중앙화(decentralizing), 세계화(globalizing), 조화(harmonizing), 그리고 권력 부여(empowering).2 이는 단순한 기술적 예측을 넘어, 지리적 근접성이 더 이상 협력의 장벽이 되지 않는, 보다 조화롭고 편견 없는 세상을 향한 사회-정치적 비전이었다.2 그는 "디지털 기술이 사람들을 더 큰 세계적 조화로 이끄는 자연의 힘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전에는 분할되었던 학문과 기업들이 경쟁이 아닌 협력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낙관했다.2

이러한 비전의 핵심에는 '융합(convergence)'이라는 운명론적 개념이 자리 잡고 있었다. 미디어랩은 "컴퓨팅, 출판, 방송의 다가오는 융합"을 예견하며 설립되었다.1 텔레비전과 컴퓨터가 하나로 합쳐지고 3,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가 탄생하는 미래를 구체적으로 그려냈다. 이처럼 『디지털이다』는 단순한 기술 서적이 아니라, "자연의 힘", "궁극적 승리", "새로운 희망과 존엄"과 같은 거의 메시아적인 언어로 디지털 혁명을 규정하는 유토피아적 세계관을 제시했다. 미디어랩이 단지 새로운 기기를 약속한 것이 아니라 더 나은 세상을 약속했기에 그토록 매력적이었던 것이다. 이 이념적 열정은 훗날 드러날 실패들이 단순한 기술적, 윤리적 과오가 아니라 이 건립 복음에 대한 배신으로 인식되는 배경이 된다. '허상'은 바로 이 과도한 약속에서부터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2장: 혁신의 건축

 

미디어랩의 독특한 운영 정신은 전통적인 학술 논문 대신 프로토타입과 데모 제작을 우선시하는 '데모 아니면 죽음(Demo or Die)'이라는 구호로 요약된다.6 반복적인 실험과 유희적인 협업을 통해 "더 좋고 더 정의로운 미래를 발명하는 것"이 목표였다.7

이러한 '청사진' 연구를 가능하게 한 핵심 동력은 기업 후원 모델이었다. 프로젝트별 펀딩 대신, 기업 후원사들은 "일반적인 주제"에 자금을 지원하고, 그 대가로 기업 환경에서는 "너무 비용이 많이 들거나 너무 '엉뚱한'" 연구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1 이는 미디어랩의 자유로운 연구를 보장하는 핵심 장치로 여겨졌다.

구조적으로 미디어랩은 "고정된 학문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기술, 미디어, 과학, 예술, 디자인에서 영감을 얻는" '반학문적' 체계를 지향했다.1 설립 초기부터 전자 음악, 그래픽 디자인, 인지 과학, 홀로그래피 등 광범위한 분야의 연구자들을 한데 모았다.6 이러한 철학은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유리벽을 통해 연구 과정을 가시화하고 협업을 장려하도록 설계된 건물 구조에도 반영되었다.1

후임 디렉터인 조이 이토(Joi Ito)는 이러한 정신을 "규정 준수보다 불복종(Disobedience over compliance)", "지도보다 나침반(Compasses over maps)", "푸시보다 풀(Pull over push)"과 같은 9가지 원칙으로 성문화했다.9 이 원칙들은 미디어랩을 반항적이고, 민첩하며, 비위계적인 기관으로 포지셔닝하는 자기 이미지의 결정체였다.

그러나 '엉뚱한' 연구를 장려하는 펀딩 모델과 '데모 아니면 죽음' 문화, 그리고 '불복종'의 정신이 결합된 시스템은 필연적으로 화려하고 언론의 주목을 끄는 프로젝트를 보상하는 구조를 만든다. 이 구조는 네리 옥스만(Neri Oxman)이나 지보(Jibo)와 같은 스타를 배출하기에 완벽하게 설계되었지만, 동시에 내재적인 취약점을 안고 있었다. 기업 및 개인 펀딩에 대한 의존은 잠재적인 이해 상충과 후원자를 만족시켜야 한다는 압박을 낳는다. 또한, 견제받지 않는 '불복종'의 정신은 윤리적 안전장치를 무시하는 태도로 변질될 수 있다. 이처럼 혁신을 위해 설계된 건축은 동시에 스캔들에 취약한 건축이기도 했다.


2부: 외벽의 균열 - 기술 유토피아주의의 환상

 

이 장에서는 1부에서 구축된 신화를 체계적으로 해체한다. 각 장은 미디어랩 모델의 특정 실패 양식을 보여주는 사례 연구로서, 권력 부여, 조화, 윤리적 진보라는 약속에 정면으로 도전한다.

 

3장: 거대 담론의 오만 - 세간의 이목을 끈 실패 사례 부검



사례 연구: OLPC(One Laptop Per Child)

 

네그로폰테가 설립한 OLPC 프로젝트는 미디어랩의 세계적이고 권력 부여적인 비전을 구현한 상징적 사업이었다.10 그러나 당초 계획했던 1억 5천만 대 대신 수십만 대의 노트북을 판매하는 데 그치며 목표에 크게 미달했고, 약속했던 100달러 노트북의 가격은 188달러까지 치솟았다.11

핵심적인 실패 원인은 "지역적 맥락을 무시한" 기술 중심적이고 하향식인 접근 방식에 있었다.11 이 프로젝트는 깨끗한 물이나 영양실조와 같은 더 시급한 필요를 고려하지 않은 채 서구 중심의 기술을 개발도상국에 강요했다.10 노트북의 디자인 자체도 "개인의 주체성에 대한 서구적 편견"을 반영하여 문화적 마찰과 반감을 초래했다.12 더욱이 기술 지원, 훈련, 교육과정 개발과 같은 지원 인프라에 대한 계획 부재는 우루과이에서 27.4%에 달하는 높은 고장률과 교사 및 학생들의 저조한 사용률로 이어졌다.11

 

사례 연구: '소셜 로봇' 지보(Jibo)

 

MIT의 저명인사 신시아 브리질(Cynthia Breazeal)이 개발한 지보는 "개인 로봇 혁명"을 약속하며 또 하나의 거대한 비전을 제시했다.14 7천만 달러 이상의 자금을 조달한 후, 이 회사는 결국 파산했다.14

지보의 상업적 실패는 아마존 알렉사(Amazon Alexa)와 같은 경쟁 제품에 비해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약 1,000달러)과 제한된 기능이라는 치명적인 조합 때문이었다.14 시장이 급변했을 때,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이루어진 약속들은 회사가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막는 "족쇄"가 되었다.14

OLPC와 지보는 서로 무관한 실패가 아니다. 두 사례 모두 미디어랩의 '데모' 문화가 낳은 산물이다. 데모는 비전이 있고 인상적이어야 하지만, 지속 가능하거나, 확장 가능하거나, 저렴하거나, 문화적으로 적절할 필요는 없다. OLPC는 세계 개발이라는 복잡한 현실과 마주쳤을 때 실패한 기술-인도주의의 거대한 데모였다. 지보는 소비자 가전 시장이라는 잔혹한 현실과 마주쳤을 때 실패한 소셜 로봇 공학의 거대한 데모였다. 이는 미디어랩 모델의 근본적인 결함을 드러낸다. 즉, 설득력 있는 데모를 만드는 데 필요한 기술과 인센티브는 성공적이고 지속 가능한 제품이나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그것과 종종 상충된다는 점이다.

 

4장: 페르소나 숭배와 그 위험



마에다의 역설: 두 세계가 충돌할 때

 

미디어랩의 전 연구 부소장이었던 존 마에다(John Maeda)는 2008년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RISD)의 총장으로 임명되었다.15 그의 재임 기간은 "기술과 예술, 디자인의 결합"을 장려하는 미디어랩 스타일의 비전을 RISD에 이식하려는 시도로 특징지어진다.17

그러나 이 비전은 RISD의 "전통적인" 순수 미술 문화와 충돌했다.17 교수진은 그가 학과 개편 과정에서 자신들의 조언을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계약을 위반했다고 비난했다.18 이 갈등은 2011년 교수진의 불신임 투표(찬성 147, 반대 32)로 절정에 달했으며 18, 그는 결국 실리콘밸리의 벤처 캐피털 회사로 떠나기 위해 총장직을 사임했다.17

 

옥스만의 미학: 실체인가, 스펙터클인가?

 

미디어랩의 '중재된 물질(Mediated Matter)' 그룹에서 시작된 네리 옥스만(Neri Oxman)의 작업은 생물학, 디자인, 디지털 제작 기술을 융합하여 건물과 사물을 '성장'시키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안한다.20 그녀의 작품은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서의 대규모 전시 등을 통해 예술 및 디자인계에서 찬사를 받았다.23

하지만 실크 파빌리온(Silk Pavilion)과 같은 프로젝트의 미학적 매력에도 불구하고 30, 비평가들은 그 실용적 실행 가능성과 확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녀의 작업은 "과학 연구를 발판으로 삼는 퍼포먼스 아트" 37 또는 "전문적인 허풍선이"가 "유행어와 피상적인 언어"로 번성하는 학문으로 묘사되기도 한다.37 유리 3D 프린터와 같은 기술은 프로젝트 자체를 위해 발명되어야 했으며, 이는 박물관 맥락을 넘어선 적용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낳는다.38 이러한 비판은 또 다른 미디어 아티스트인 레픽 아나돌(Refik Anadol)에 대한 비판과도 유사하다. 그의 'AI 데이터 조각'은 미학적으로는 만족스럽지만, 기성 모델을 사용하면서도 획기적인 연구로 포장되어 기술적으로는 얕다는 평가를 받는다.37

미디어랩의 모델은 마에다나 옥스만과 같은 '스타 교수'에게 크게 의존하여 자금과 언론의 관심을 유치한다. 이는 강력한 브랜드를 창출하지만, 마에다의 사례는 한 스타의 이데올로기가 고유한 문화와 거버넌스를 가진 다른 기관에 단순히 이식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옥스만의 사례는 더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미디어랩 스타들의 주된 결과물은 실질적이고 확장 가능한 혁신인가, 아니면 문화적 자본은 창출하지만 현실 세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고도의 개념적 퍼포먼스 아트인가? 결국 '스타' 자신이 상품이 되고, 그들의 작업은 그들의 서사를 위한 소품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5장: 도덕적 진공 - 조이 이토와 제프리 엡스타인 스캔들

 

굿윈 프록터(Goodwin Procter) 로펌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소장 조이 이토와 미디어랩의 다른 구성원들은 유죄 판결을 받은 성범죄자 제프리 엡스타인(Jeffrey Epstein)과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유지했다.43 그들은 미디어랩을 위해 최소 52만 5천 달러, 이토의 개인 펀드를 위해 120만 달러를 받았으며, 엡스타인은 유죄 판결 이후 9차례나 캠퍼스를 방문했다.44

미디어랩은 엡스타인의 기부금을 '익명'으로 처리하여 MIT의 공식적인 '부적격' 기부자 지위를 우회하는 등 관계를 은폐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44 이는 엡스타인의 평판을 "세탁"하려는 의도적인 전략이었다.43 이 스캔들은 자신의 직업이 "비밀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느낀 한 내부 고발자에 의해 폭로되었다.46

이는 소수의 비뚤어진 개인들의 행위가 아니라, 미디어랩의 핵심 구조가 낳은 파국적인 결과였다. 끊임없는 자금 압박, 소장에게 부여된 자율성, '불복종'에 대한 찬양 9, 그리고 전통적인 감독 체계의 부재는 모두 그러한 타협이 가능하고 심지어 합리화될 수 있는 도덕적 진공 상태를 만들어냈다.43 이 스캔들은 또한 기술 및 STEM 분야에 만연한 뿌리 깊은 성차별주의를 드러낸다. 강력한 남성들이 여성을 희생시키면서 서로를 보호하는 구조가 작동한 것이다.46

엡스타인 스캔들은 단순한 일탈이 아니라 시스템의 필연적인 붕괴였다. 기업 후원 모델은 엡스타인과 같은 기부자로부터 돈을 받아야 할 '필요'를 만들었다. '불복종' 정신은 그것을 얻기 위해 규칙을 어기는 '정당화'를 제공했다. '스타 디렉터' 모델은 이토에게 권력을 집중시켜 그가 처벌받지 않고 행동할 수 있게 했다. 이미지와 스펙터클에 대한 집중은 윤리적 행동보다 연구소의 명망 있는 외관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한 문화를 낳았다. 따라서 엡스타인 스캔들은 압박 하에 놓이고 도덕적 나침반이 제거되었을 때, 미디어랩의 찬양받던 모델이 도달할 수밖에 없었던 논리적 종착점이었다.

 

표 1: MIT 미디어랩의 약속 대 현실
설립 당시의 약속 / 정신
세상에 권력을 부여하기 (네그로폰테2)
학문 분야 조화시키기 (네그로폰테2)
권력 탈중앙화하기 (네그로폰테2)
"데모 아니면 죽음" (혁신 문화6)
"규정 준수보다 불복종" (이토9)
혁신적인 펀딩 모델 (1)

3부: 한국의 메아리 - '융합'의 부상과 현실

 

이 장에서는 분석의 초점을 한국으로 전환하여, 미디어랩의 '허상'이 브랜딩 전략으로 수입되면서 국내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모호함'을 낳았다고 주장한다.

 

6장: '통섭' 열풍과 그 불만

 

한국에서 '융합'의 대중화는 최재천 교수가 에드워드 윌슨(E.O. Wilson)의 『Consilience』를 '통섭(統攝)'으로 번역하면서 시작되었다.48 이 용어는 한국 지식 사회의 주요 화두가 되는 '신드롬'을 일으켰고, 대학들은 앞다투어 그 이름 아래 학과를 신설했다.48

그러나 '통섭'은 문제가 있는 번역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이 단어 자체는 "전체를 통치하고 지배한다"는 위계적 개념을 내포하고 있어, "함께 뛰어넘는다"는 윌슨의 원래 의도와는 거리가 멀다.48 더욱이, 최 교수가 이 용어를 불교 철학자 원효와 연결 지으려 한 시도는 학자들에 의해 반박되었는데, 그들은 원효가 이 용어를 사용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48

'통섭' 열풍과 그 번역에 대한 논란은 단순한 학문적 트집이 아니다. 이는 한국의 융합 운동의 지적 기반 자체가 잠재적으로 결함이 있고, 하향식이며, 오해된 개념 위에 세워졌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개념적 '모호함'은 대학들이 깊이 있는 통합 교육학보다는 마케팅을 위해 '융합학부'를 설립할 수 있는 비옥한 토양을 만들었다.

 

7장: 한국 융합학부 비교 부검

 

여기서 한국 융합학부의 '어정쩡함'은 제도적으로 속이 비어 있는 상태로 정의된다. 이들 학부는 종종 전담 교수진과 일관성 있고 독자적인 교육과정이 부족하며, 기존 학과와의 자원 경쟁에 휘말려 학생들에게 좋지 않은 경험과 정체성 위기를 안겨준다.

 

KAIST의 실험: 진정한 대안인가?

 

KAIST 융합인재학부는 잠재적인 성공 사례로 제시된다. 학생 주도 교육과정 설계, 비경쟁적인 P/NR(Pass/No Record) 학점 제도, 강력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특징으로 한다.51 이 모델은 학생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제1 저자로 논문을 게재하고, 다른 학생이 스타트업을 창업하여 학교에 기부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낳았다.51 이 학부는 "정답 중심, 완벽주의, 경쟁 기반"의 전통 교육 시스템을 명시적으로 거부한다.53

 

짜깁기의 문제: 연세대와 고려대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UIC)의 융합인문사회(HASS) 및 융합과학공학(ISED) 계열 학생들은 "학문적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다고 보고한다.54 이 학부들의 신설은 충분한 준비 기간과 교수진 확보 없이 "졸속 행정, 폭력적인 통폐합"으로 비판받았다.55 이러한 움직임은 교육적 필요성보다는 송도 캠퍼스를 채우기 위한 인천시와의 MOU 이행이라는 행정적 필요에 의해 추진되었다는 의혹을 받는다.56

고려대학교의 융합전공 프로그램은 "체계적인 융합 교육 모델의 부재"와 "기존 교과목의 짜깁기식 결합"으로 명시적으로 비판받는다.57 이는 학생들에게 심각한 실질적 문제로 이어진다. 융합전공생들은 차별적인 수강 신청 정책에 직면하여, 본전공생들의 신청이 끝난 후에야 필수 과목을 신청할 수 있어 이미 마감된 강의를 수강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58 이는 융합전공생들이 2등 시민으로 취급받으며, 그들을 부담으로 여기는 기존 학과들로부터 남은 자리를 위해 싸워야 하는 상황을 만든다.58

KAIST와 연세대/고려대의 대조는 극명하다. KAIST의 성공은 그 구조적 자율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P/NR 제도나 학생 설계 전공과 같은 자체 철학과 규칙을 가진 독립적인 학부이기 때문이다. 반면, 연세대와 고려대의 문제는 구조적 자율성의 부재에서 기인한다. 이들의 프로그램은 새로운 자원 없이 기존 학과에 강요된 행정적 덧씌우기, 즉 '짜깁기'에 불과하다.57 이름은 존재하지만 실질적인 권한, 정체성, 자원이 없는 '모호한' 상태인 것이다. 그들은 MIT 모델의 '융합'이라는 라벨은 채택했지만, 기능적인 제도를 구축하는 데는 실패했다.

표 2: 한국 융합학부 비교 분석
특징
설립 목표
교육과정 구조
학점 제도
보고된 성공 사례
문서화된 문제점

결론: 허상을 넘어 - 실질적인 융합을 위한 길

 

MIT 미디어랩의 '허상'은 그 핵심 모델의 비실용성, 확장성 부재, 그리고 윤리적 취약성을 덮어버리는 기술 유토피아적 미래의 투영이다. 많은 한국 융합학부의 '모호함'은 필요한 제도적 구조를 구현하지 않은 채 이 모델의 스펙터클브랜딩을 수입한 직접적인 결과이다. 그들은 학생들에게 혼란을 주고 학과 간 갈등을 유발하는, 속이 빈 혁신의 기표가 되어버렸다.

이 보고서는 학제 간 연구를 전면적으로 거부하는 대신, 보다 지적으로 정직하고 구조적으로 건전한 접근을 촉구하며 다음과 같은 권고안을 제시한다.

  1. '짜깁기'에서 '통합된 핵심'으로: 융합학부는 다른 학과의 과목 목록이 아니라, 자체 전담 핵심 교수진과 독자적이고 통합된 교육과정을 가져야 한다.
  2. 구조적 자율성과 자원 확보: 고려대와 연세대에서 나타난 갈등을 피하기 위해, 이들 학부는 학생들의 수강 신청 통제권을 포함한 자체 예산과 행정력을 확보해야 한다.
  3. 학생 중심 교육학 도입: 자격증주의를 넘어 진정한 지적 호기심을 키우기 위해 KAIST의 P/NR 제도나 맞춤형 교육과정 설계와 같은 모델을 탐색해야 한다.
  4. 브랜딩보다 실체 우선: 대학들은 마케팅 목적으로 '융합학부'를 만들려는 유혹에 저항하고, 대신 진정한 교육적 목표와 이를 달성할 자원을 갖춘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초점은 혁신의 '허상'에서 벗어나, 진정으로 통합된 학습 환경을 창조하는 실질적이고 어려운 과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참고 자료

  1. MIT Media Lab - Wikipedia,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MIT_Media_Lab
  2. Epilogue: An Age of Optimism | Imagining the Internet | Elon University,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elon.edu/u/imagining/expert_predictions/epilogue-an-age-of-optimism-4/
  3. A summary of Negroponte's 'Being Digital',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ria.comtech.8m.net/homeworks/summary.html
  4. Introduction: The Paradox of a Book | Imagining the Internet - Elon University,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elon.edu/u/imagining/expert_predictions/introduction-the-paradox-of-a-book/
  5. Being Digital by Nicholas Negroponte | Summary, Quotes, FAQ, Audio - SoBrief,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sobrief.com/books/being-digital
  6. Lab FAQs - MIT Media Lab,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media.mit.edu/about/lab-faqs/
  7. Imagine what we can become. - MIT Media Lab,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media.mit.edu/about/
  8. History — MIT Media Lab,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media.mit.edu/about/history/
  9. Joi Ito's '9 Principles' of the Media Lab – MIT Center for Civic Media,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civic.mit.edu/index.html%3Fp=1677.html
  10. The spectacular failure of One Laptop Per Child - Philanthropy Daily,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philanthropydaily.com/the-spectacular-failure-of-one-laptop-per-child/
  11. Case Study: Why One Child Per Laptop Didn't Work,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jou.ufl.edu/insights/19100/
  12. A Blurry Vision: Reconsidering the Failure of the One Laptop Per ...,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bu.edu/writingprogram/journal/past-issues/issue-3/shah/
  13. One Laptop per Child Birmingham: Case Study of a Radical Experiment - Morgan G. Ames,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morganya.org/research/warschauer-olpc-birmingham.pdf
  14. An Analysis Of Jibo: What Went Wrong? - chronicling the robot industry,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robotrabbi.com/2018/06/25/bubble/
  15. RISD Faculty Planning No Confidence Vote Against President - GoLocalProv,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golocalprov.com/news/risd-faculty-planning-no-confidence-vote-against-president
  16. John Maeda - Wikipedia,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John_Maeda
  17. RISD president's departure elicits mixed response - The Brown Daily Herald,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browndailyherald.com/2013/12/06/risd-presidents-departure-elicits-mixed-response/
  18. No-confidence vote shakes RISD - The Brown Daily Herald,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browndailyherald.com/2011/03/07/noconfidence-vote-shakes-risd/
  19. RISD Students Speak Out on No Confidence Vote - GoLocalProv,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golocalprov.com/news/risd-president-comes-under-fire
  20. How to Grow Your Architecture Career Through Biomimicry,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learnbiomimicry.com/blog/grow-your-architecture-career
  21. Material ecology - PCA–STREAM,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pca-stream.com/en/explore/material-ecology-2/
  22. Exploring the Concept of Material Ecology, in Neri Oxman's World - Rethinking The Future,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re-thinkingthefuture.com/architectural-community/a13171-exploring-the-concept-of-material-ecology-in-neri-oxmans-world/
  23. NERI OXMAN MATERIAL ECOLOGY - MoMA,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moma.org/d/pdfs/W1siZiIsIjIwMjAvMDMvMTgvN3h0aTB0ZDIwZV9Nb01BX094bWFuX1BSRVZJRVcucGRmIl1d/MoMA%20Oxman%20PREVIEW.pdf?sha=b9de8a989ee0332c
  24. Neri Oxman: Material Ecology - MoMA,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moma.org/calendar/exhibitions/5090
  25. MoMA: Neri Oxman's new exhibition - Architect-US,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hitect-us.com/blog/2019/03/moma-neri-oxmans-new-exhibition/
  26. Neri Oxman: Material Ecology Exhibition Galleries | Magazine - MoMA,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moma.org/magazine/articles/315
  27.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of Neri Oxman - AIA New York,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aiany.org/membership/oculus-magazine/article/fall-2019/living-in-the-material-world-of-neri-oxman/
  28. Neri Oxman's 'Material Ecology' Exhibition at MoMA Illuminates and Inspires | 2020-04-06,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architecturalrecord.com/articles/14545-neri-oxmans-material-ecology-exhibition-at-moma-illuminates-and-inspires
  29. Neri Oxman grows tools for the future at new MoMA retrospective - MIT Media Lab,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media.mit.edu/articles/neri-oxman-grows-tools-for-the-future-at-new-moma-retrospective/
  30. Live to Build, Build to Live Organism-Machine Interfaces for Co-fabrication - DSpace@MIT,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dspace.mit.edu/bitstream/handle/1721.1/127494/1193025077-MIT.pdf?sequence=1&isAllowed=y
  31. Neri Oxman. Silk Pavilion - MoMA,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moma.org/audio/playlist/305/3937
  32. Silk Pavilion by Neri Oxman: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and biological fabrication - RTF,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re-thinkingthefuture.com/case-studies/a4186-silk-pavilion-by-neri-oxman-relationship-between-digital-and-biological-fabrication/
  33. The Silk Pavilion by Mediated Matter Group. MIT Media Lab | METALOCUS,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metalocus.es/en/news/silk-pavilion-mediated-matter-group-mit-media-lab
  34. Neri Oxman, the silkworm “whisperer” - Sacyr,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sacyr.com/en/-/la-arquitecta-que-susurraba-a-los-gusanos-de-seda/blog
  35. Overview ‹ Silk Pavilion II - MIT Media Lab,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media.mit.edu/projects/silk-pavilion-ii/overview/
  36. Silk Pavilion: A Case Study in Fiber-based Digital Fabrication - MIT Media Lab,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media.mit.edu/publications/silk-pavilion-a-case-study-in-fiber-based-digital-fabrication/
  37. Neri Oxman always struck me as a professional bullshiter : r/academia,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reddit.com/r/academia/comments/194n0mc/neri_oxman_always_struck_me_as_a_professional/
  38. Neri Oxman: On architecture, femininity, feminism, and breaking down barriers,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media.mit.edu/posts/neri-oxman-on-architecture-femininity-feminism-and-breaking-down-barriers/
  39. What I am thinking: architect, designer, inventor and alumn MIT professor Neri Oxman,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formfindinglab.wordpress.com/2018/09/13/what-i-am-thinking-architect-designer-inventor-and-mit-professor-neri-oxman/
  40. Neri Oxman #99 - TheEditorial,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editorial.com/essay/2017/3/2/neri-oxman-99
  41. 'Painting' with data: how media artist Refik Anadol creates art using ...,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wipo.int/en/web/wipo-magazine/articles/painting-with-data-how-media-artist-refik-anadol-creates-art-using-generative-ai-67301
  42. Refik Anadol: art in a latent space - Niio Blog,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niio.com/blog/refik-anadol-art-in-a-latent-space-2/
  43. Epstein and MIT: The Unanswered Questions,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eb.mit.edu/fnl/volume/323/danheiser.html
  44. MIT releases results of fact-finding on engagements with Jeffrey ...,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news.mit.edu/2020/mit-releases-results-fact-finding-report-jeffrey-epstein-0110
  45. REPORT CONCERNING JEFFREY EPSTEIN'S INTERACTIONS WITH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facultygovernance.mit.edu/sites/default/files/20200121GoodwinProcterReport.pdf
  46. 'This should not be happening': the whistleblower who exposed MIT's Epstein scandal,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guardian.com/us-news/2019/sep/11/this-should-not-be-happening-the-whistle-blower-who-exposed-mits-epstein-scandal
  47. What MIT Media Lab's funding scandal says about sexism in tech | CBC News,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cbc.ca/news/science/pringle-tech-mit-media-lab-1.5296793
  48. 종합 > Top뉴스 - 미디어붓다,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www.mediabuddha.net/news/view.php?number=7965
  49. 통섭(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_ Edward O. Wilson - 지식도매상 - 티스토리,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gumiano.tistory.com/entry/%ED%86%B5%EC%84%ADConsilience-The-Unity-Of-Knowledge-Edward-O-Wilson
  50. [최병관의 아·사·과 81] 통섭 - 헬로디디,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9430
  51. KAIST 융합인재학부,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sts.kaist.ac.kr/sts/html/sub5/0508.html?mode=V&no=c1a214e5cb77283f1079944633473811
  52. 카이스트의 무학과제 운영 방식과 학문 간 융합 사례 분석,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honeytip-tip.com/2
  53. KAIST 융합인재학부 '융합교육 혁신' 글로벌 성과로 - 전자신문,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www.etnews.com/20250724000180?m=1
  54. 무전공 선발의 딜레마, 우리대학교의 현주소는? - 연세춘추,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chunchu.yonsei.ac.kr/news/articleView.html?idxno=30850
  55. 연세대학교/학부/언더우드국제대학 - 나무위키,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C%97%B0%EC%84%B8%EB%8C%80%ED%95%99%EA%B5%90/%ED%95%99%EB%B6%80/%EC%96%B8%EB%8D%94%EC%9A%B0%EB%93%9C%EA%B5%AD%EC%A0%9C%EB%8C%80%ED%95%99
  56. 자유전공 폐지와 거대 융합학부 신설 제 3의 창학인가, 행정장악인가 ...,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chunchu.yonsei.ac.kr/news/articleView.html?idxno=18513
  57. LB&C 융합전공 - 학과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s://libart.korea.ac.kr/libart/major/units/lb_c.do

신청 기간도, 강의도 고를 수 없는 융합전공생 - 고대신문, 10월 22, 2025에 액세스, http://www.kunews.ac.kr/news/articleView.html?idxno=34152

서론

 

"내가 옳고 당신이 틀렸으니, 내가 당신에게 해를 입히는 것은 정당하다."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믿음이 팽배해지는 현상은 단순한 개인의 인성 문제를 넘어, 우리 시대의 근본적인 도전을 시사합니다. 과거 물리적 공간에서 발생하던 갈등은 성찰과 관계 회복의 기회를 내포했지만, 오늘날 디지털 환경에서의 공격성은 피상적 정보를 기반으로 즉각적이고 무자비하게 표출됩니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는 자기 정당화의 심리적 기제와 공감 능력의 약화 현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합니다. 인지심리학을 통해 개인이 어떻게 자신의 공격성을 정당화하는지, 신경과학을 통해 공감의 생물학적 기반이 무엇인지, 미디어 연구를 통해 기술 환경이 어떻게 공감을 저해하는지, 그리고 사회학을 통해 거시적인 사회 구조 변화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통합적으로 탐구함으로써, 확신이 어떻게 잔인함으로 변질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해답을 제시할 것입니다.

 

제1장: 자기 정당화된 공격성의 인지적 구조

 

개인이 타인에게 해를 가하면서도 스스로를 도덕적으로 정당하다고 믿게 만드는 내면의 심리적 과정은 복잡하고 강력합니다. 이 장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신념을 공격의 면허로 전환시키는 정신적 체계를 해부하여, '정의로운 가해'가 가능한 인지적 기반을 분석합니다.

 

1.1 인지 부조화: 위선의 견딜 수 없는 불편함

 

자기 정당화의 핵심 동력은 심리학자 리언 페스팅거(Leon Festinger)가 제시한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이론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1 인지 부조화란, 개인이 가진 두 가지 이상의 인지(신념, 태도, 행동)가 서로 모순될 때 발생하는 극심한 심리적 불편감을 의미합니다.3 예를 들어, "나는 선하고 합리적인 사람이다"라는 자기 개념과 "나는 방금 타인에게 모욕적인 메시지를 보냈다"라는 행동 사이의 충돌은 견디기 힘든 긴장 상태를 유발합니다.

뇌는 이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는데, 해결책은 주로 세 가지입니다. 첫째, 자신의 행동을 바꾸는 것(가장 어렵고 드문 선택), 둘째, 기존의 인지를 바꾸어 행동을 정당화하는 것, 셋째, 새로운 인지를 추가하여 모순을 합리화하는 것입니다.3 공격적 행동의 경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행동을 바꾸기보다는 후자의 두 가지 방식을 택하는 경향이 압도적입니다. 즉, "내가 보낸 메시지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다" 또는 "그 사람은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생각의 방향을 틀어버리는 것입니다.

이솝 우화 '여우와 신 포도'는 이 과정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포도를 따려다 실패한 여우는 "포도를 따지 못했다"는 행동과 "포도를 원한다"는 인지 사이의 부조화를 겪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우는 "저 포도는 어차피 신 포도일 거야"라며 자신의 인지를 바꾸어 심리적 평안을 되찾습니다.2 이는 공격자가 자신의 행위 이후에 피해자가 "당해도 싸다"고 결론 내리는 과정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이러한 부조화 상태는 단순히 기분의 문제가 아닙니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연구에 따르면, 인지 부조화를 경험할 때 뇌의 전대상피질(ACC)이 강하게 활성화되는데, 이 부위는 부정적 정서와 신경병증성 통증에 관여하는 영역입니다.4 즉, 뇌는 위선적인 상황을 실제 고통처럼 느끼며, 이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신념 체계를 재구성하는 것입니다.

 

1.2 확신의 덫: 확증 편향과 동기화된 추론

 

자신이 '옳다'는 흔들리지 않는 확신은 어떻게 구축되는가? 그 배경에는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과 '동기화된 추론(Motivated Reasoning)'이라는 인지적 지름길이 있습니다.4 확증 편향은 자신의 기존 신념이나 가치관에 부합하는 정보는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그에 반하는 정보는 무시하거나 배척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동기화된 추론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이미 정해진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논리를 동원하는 과정입니다.

일단 어떤 믿음이 형성되면, 뇌는 그 믿음과 반대되는 증거를 일종의 위협으로 간주하여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이 불편함을 피하기 위해 뇌는 모순되는 정보를 적극적으로 거부합니다.5 이것은 논리적 사고의 결과가 아니라, 안정적인 세계관을 유지하려는 정서적 자기 보존 기제에 가깝습니다. "사람들은 보이는 대로 믿는 것이 아니라, 믿는 대로 보려고 한다"는 말은 이 현상을 정확하게 요약합니다.5

특히 인터넷 환경은 이러한 편향을 극적으로 증폭시킵니다. 과거에는 반대 의견에 노출될 기회가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검색 몇 번만으로 자신의 가장 극단적인 믿음조차 뒷받침해 줄 '증거'를 얼마든지 찾아낼 수 있습니다 [5". 이는 개인이 자신의 신념을 객관적인 진실로 착각하게 만드는 강력한 확신의 덫을 만듭니다.

 

1.3 확신에서 잔인함으로: 도덕적 이탈의 기제들

 

스스로가 옳다고 확신하는 사람이 어떻게 죄책감 없이 타인에게 해를 가할 수 있을까? 이 결정적인 연결고리는 심리학자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의 '도덕적 이탈(Moral Disengagement)' 이론으로 설명됩니다. 도덕적 이탈이란, 개인이 특정 상황에서 자신의 내적 도덕 기준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시켜 비인간적인 행위를 저지르고도 스스로를 괜찮은 사람으로 여길 수 있게 만드는 8가지 인지적 전략을 의미합니다.6 이는 자신의 양심을 우회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도덕적 이탈 수준이 높을수록 직접적인 공격성과 전위 공격성(만만한 대상에게 화풀이하는 행동)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이론의 설명력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합니다.8 이러한 기제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개인이 자신의 유해한 행동에 대한 자기 통제를 무력화시킵니다.

이러한 인지적 과정들은 단독으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단계적인 '정당화 스택(Justification Stack)'을 형성하며 시너지 효과를 냅니다. 첫째, 확증 편향과 동기화된 추론이 '나는 옳다'는 견고한 토대를 만듭니다. 둘째, 이 확신에 기반한 공격적 행동이 '나는 좋은 사람'이라는 자기 개념과 충돌하며 고통스러운 인지 부조화를 유발합니다. 셋째, 이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은 자신의 확신을 의심하는 대신, 도덕적 이탈이라는 인지적 도구를 사용하여 자신의 행동이 문제없다고 스스로를 설득합니다. 이처럼 편향이 확신을 낳고, 부조화가 정당화의 필요를 만들며, 도덕적 이탈이 그 방법을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정의로운 가해자'가 탄생하는 것입니다.

표 1: 현대 갈등 상황에서의 8가지 도덕적 이탈 기제

 

기제 (Mechanism) 정의 (Definition) 악성 민원 / 온라인 괴롭힘에서의 적용 예시
도덕적 정당화 (Moral Justification) 해로운 행동을 더 높은 도덕적 목적(정의, 공익 등)을 위한 것이라고 포장하는 것. "나는 부패를 고발하고 사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이 공무원을 압박하는 것이다."
완곡한 언어 (Euphemistic Labeling) 행위의 심각성을 가리기 위해 중립적이거나 순화된 언어를 사용하는 것. 인신공격을 '비판'이나 '의견 제시'라고 부르거나, 집단 괴롭힘을 '좌표 찍기'라고 표현하는 것.
유리한 비교 (Advantageous Comparison) 자신의 행동을 더 심각한 다른 행동과 비교하여 사소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 "내가 댓글 몇 개 단 것이 저 사람이 저지른 잘못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책임 전가 (Displacement of Responsibility)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권위자나 외부 압력 탓으로 돌리는 것. "커뮤니티 여론이 시키는 대로 했을 뿐, 내 개인적인 생각은 아니다."
책임 분산 (Diffusion of Responsibility) 집단 전체에 책임을 분산시켜 개인의 책임감을 희석시키는 것. "나만 그런 게 아니라 다들 욕하고 있는데, 왜 나만 문제 삼는가?" 6
결과 무시 또는 왜곡 (Disregard or Distortion of Consequences) 자신의 행동이 초래하는 해로운 결과를 의도적으로 무시하거나 축소하는 것. "어차피 인터넷에 쓴 글일 뿐이다. 저 사람이 실제로 상처받을 리 없다."
비인간화 (Dehumanization) 공격 대상을 인간 이하의 존재로 폄하하여 공감대를 차단하고 가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 상대방을 '벌레', '쓰레기', 'NPC' 등으로 부르며 인간적 가치를 박탈하는 것.
비난 귀인 (Attribution of Blame) 피해자가 스스로 피해를 자초했다며 책임을 피해자에게 돌리는 것. "그 사람이 먼저 도발적인 행동을 했다. 그렇게 행동하게 만든 건 그 사람 탓이다." 6

 

제2장: 사회적 연결망의 와해: 현대인의 공감 능력에 대한 탐구

 

공감 능력의 결여가 문제의 핵심이라는 가설은 상당한 설득력을 지닙니다. 이 장에서는 공감의 생물학적 기반을 먼저 규명한 뒤, 현대의 기술 환경이 어떻게 이 타고난 인간의 능력을 체계적으로 약화시키는지 분석합니다.

 

2.1 연결의 생물학적 기반: 거울 뉴런과 공감의 뇌

 

인간의 공감 능력은 단순한 감정적 동조를 넘어, 뇌에 깊이 뿌리내린 생물학적 기제에 기반합니다. 그 중심에는 '거울 뉴런(Mirror Neuron)'이 있습니다.9 거울 뉴런은 우리가 특정 행동을 직접 할 때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그 행동을 하는 것을 관찰하기만 해도 활성화되는 특수한 신경세포입니다.

이 '거울 작용'은 물리적 행동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타인의 감정과 감각까지 확장됩니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보면, 우리 뇌에서 실제 고통을 느낄 때 활성화되는 신경 회로가 동일하게 작동합니다.11 역겨운 표정을 짓는 사람을 볼 때 우리 뇌의 섬엽(insula) 부위가 활성화되어 마치 우리가 그 불쾌한 감각을 경험하는 것처럼 느끼게 됩니다.11 이것이 바로 타인의 경험을 내 것처럼 느끼게 하는 직관적, 정서적 공감의 신경과학적 원리입니다.

거울 뉴런 시스템은 단순한 모방을 넘어, 상대방이 '무엇'을 하는지를 넘어 '왜' 그 행동을 하는지, 즉 의도와 동기를 추론하게 돕습니다.10 이는 인류가 복잡한 사회를 이루고 협력하며 살아남을 수 있었던 핵심적인 진화적 자산입니다. 즉, 공감은 선택적 '소프트 스킬'이 아니라, 인간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장착된 필수적인 생물학적 기능입니다.

 

2.2 디지털 장막: 온라인 탈억제와 공감 결핍

 

그렇다면 왜 우리는 이토록 강력한 공감 능력을 갖추고도 온라인에서는 쉽게 잔인해지는가? 그 해답은 '온라인 탈억제 효과(Online Disinhibition Effect)'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현실보다 훨씬 공격적이고 무절제하게 행동하는 경향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12 심리학자 존 슐러(John Suler)는 이 현상을 유발하는 6가지 요인을 제시했는데, 이 요인들은 공감을 촉발하는 핵심적인 단서들을 체계적으로 제거합니다.

  1. 익명성(Anonymity): 신원이 숨겨지면 책임감도 함께 사라집니다.12
  2. 비가시성(Invisibility): 상대의 표정, 몸짓, 목소리 톤과 같은 비언어적 신호가 부재합니다. 이는 우리의 거울 뉴런이 상대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핵심 데이터를 박탈당하는 것과 같습니다.13
  3. 비동시성(Asynchronicity): 메시지를 보내고 답장을 받기까지 시간 차가 존재합니다. 이는 내 말이 상대에게 미치는 즉각적인 감정적 충격을 볼 수 없게 만들어, 행동을 조절하는 피드백 고리를 끊어버립니다.13
  4. 유아론적 몰입(Solipsistic Introjection): 우리는 상대의 메시지를 내 머릿속 목소리와 감정 상태로 해석합니다. 이 과정에서 상대방은 실존하는 인격체가 아닌, 내 상상 속에서 만들어진 캐릭터로 전락하기 쉽습니다.13
  5. 분리적 상상(Dissociative Imagination): 온라인 공간을 현실과 분리된 일종의 게임이나 판타지 세계처럼 인식하게 되어, 자신의 행동이 실제적인 결과를 낳지 않을 것이라고 착각하게 만듭니다.13
  6. 권위의 최소화(Minimization of Authority): 현실 세계의 지위나 권위가 온라인에서는 무시되는 경향이 있어 사회적 억제력이 약화됩니다.13

이 6가지 요인이 결합하여 심각한 '공감 결핍' 상태를 만듭니다.12 스크린 너머의 상대는 더 이상 감정을 가진 한 명의 인간으로 인식되지 않고, 공격하기 쉬운 추상적인 대상으로 변질됩니다.

 

2.3 알고리즘의 우리: 소셜미디어가 분열을 설계하는 방식

 

현대 디지털 환경은 단순히 공감의 단서를 제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분열을 조장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필터 버블(Filter Bubble)'과 '반향실 효과(Echo Chamber)'라는 개념으로 설명됩니다.14 필터 버블은 알고리즘이 사용자의 과거 활동을 기반으로 좋아할 만한 정보만 걸러서 보여주는 현상이며, 반향실 효과는 사용자가 스스로 비슷한 생각을 가진 집단에 속해 신념을 강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유튜브나 구글 같은 플랫폼의 개인화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참여'를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곧 사용자의 기존 편향을 학습하고, 그 편향을 더욱 강화하는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14 한 연구에서는 새로운 유튜브 계정을 특정 정치 성향으로 며칠간 '훈련'시키자, 추천 영상에서 해당 성향의 콘텐츠 비율이 15% 미만에서 85% 이상으로 폭증하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14

이러한 알고리즘의 우리는 우리를 다른 관점과 생각으로부터 철저히 격리시킵니다. 공감은 나와 다른 시각을 이해하고 고려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됩니다. 소셜미디어는 이러한 도전의 기회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우리의 '공감 근육'을 퇴화시킵니다. 이는 1장에서 다룬 인지 편향을 더욱 강화하여, 나의 세계관만이 유일하게 합리적인 것이며 다른 모든 의견은 비정상적이거나 위협적인 것으로 여기게 만듭니다.14

결과적으로 우리는 기술적으로는 그 어느 때보다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정서적으로는 더욱 단절되는 '공감의 역설'에 직면하게 됩니다. 현대인의 공감 능력 저하는 인간 본성의 도덕적 타락이라기보다는, 우리의 진화적 생물학(공감을 갈구하는 뇌)과 현대 기술 환경(공감을 저해하는 구조) 사이의 근본적인 부조화에서 비롯된 현상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우리는 본질적으로 '공감에 적대적인(empathy-hostile)' 소통 인프라를 구축했으며, 이는 사회적 유대를 위해 진화한 뇌의 기능을 방해하고 부족주의와 공격성을 촉발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제3장: 전환기 사회: 규범과 관계의 지각 변동

 

심리적, 기술적 요인들이 발현될 수 있는 비옥한 토양을 제공한 것은 거시적인 사회 구조의 변화입니다. 이 장에서는 '그때'와 '지금'의 대비를 통해, 현대 사회의 규범과 관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사회학적 관점에서 조망합니다.

 

3.1 개인의 부상: 집단적 의무에서 초경쟁으로

 

개인주의의 확산은 현대 사회의 중요한 특징이지만, 그 발전 경로는 사회마다 다릅니다. 서구의 개인주의는 계몽주의 철학에 뿌리를 두고 수 세기에 걸쳐 발전하며 개인의 권리와 사회 계약 이론 사이의 균형을 모색해왔습니다.19 반면, 한국 사회의 개인주의는 전통적인 집단주의 구조가 급격히 해체되고 '초경쟁' 사회의 압력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빠르게 부상했습니다.19

이러한 배경의 차이는 '비대칭적 개인주의(asymmetric individualism)'라는 현상을 낳았습니다. 이는 타인의 권리와 인간성을 존중하고 공동체적 책임을 고민하는 문화적 틀이 충분히 성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직 자신의 권리, 불만, 성공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19 그 결과, 사회적 조화를 유지하는 것보다 논쟁에서 '이기거나'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는 것이 더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었습니다.

 

3.2 공유된 각본의 상실: 세대 갈등과 규범의 모호성

 

과거의 사회적 규제 방식에 대한 지적은 중요한 시사점을 던집니다. 권위주의적이고 위계적인 사회에서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권위의 원천과 사회 규범은 약화되었습니다.21 이는 평등과 같은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사회적 '관계의 규칙'이 불분명해지고 끊임없이 갈등의 대상이 되는 규범의 진공 상태를 만들었습니다.

특히 세대 간에는 근본적으로 다른 가치 체계와 소통 방식(예: 수직적/이성적 vs. 수평적/감성적)이 존재합니다.22 과거에는 체벌이나 명확한 위계에 따른 질책이 사회 규범을 학습하는 기회로 작용했을 수 있습니다. 오늘날 그러한 방식은 용납되지 않지만, 갈등을 해결하고 사회적 규범을 가르칠 보편적으로 합의된 대안은 아직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세대 간 마찰과 오해를 증폭시키는 요인이 됩니다.24

이는 우리 사회가 '사회적 규제의 위기'에 처해있음을 보여줍니다. 과거의 하향식 규제 방식(권위, 명확한 사회적 처벌)은 해체되었지만, 초개인주의화된 디지털 사회에서 통용될 수 있는 새로운 자기 규제 및 대인 갈등 해결의 각본은 아직 정착되지 않았습니다. 이 규범적 공백은 "먼저 소리치지 않으면 손해 본다"고 믿는, 가장 공격적이고 자기 성찰이 부족한 목소리가 공적 담론을 지배하게 만듭니다.20 문제는 단순히 공감의 부재를 넘어, 이견을 관리할 공유되고 기능적인 사회적 약속의 부재에 있습니다.

 

제4장: 현대적 공격성의 사례 연구: 악성 민원인

 

앞서 논의된 모든 개념들은 '악성 민원인'이라는 구체적인 현상 속에서 통합적으로 나타납니다. 이 장에서는 악성 민원인 사례를 통해 추상적인 이론들이 어떻게 현실 세계에서 발현되는지 분석합니다.

 

4.1 피해의식에 사로잡힌 개인의 심리적 프로필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악성 민원인은 단순한 악인이기보다 사회 전반의 좌절감을 표출하는 개인인 경우가 많습니다.20 그들의 핵심적인 동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위된 공격성: 경제적 불평등, 과도한 경쟁 압력 등 삶의 다른 영역에서 느끼는 무력감, 불공정함, 분노를 공무원과 같은 '안전한' 대상에게 분출하는 것입니다.20
  • 권력의 연출: 대부분의 사회적 관계에서 '을(乙)'의 위치에 있던 개인이 민원인이라는 역할을 통해 잠시나마 '갑(甲)'이 되어 우월감과 통제감을 경험하려는 욕구입니다.20
  • 열등감과 특권 의식: 깊은 열등감이 자신의 요구가 거절당했을 때 폭발적인 분노와 특권 의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관심을 끌려는 절박한 시도입니다.20
  • 인지적 왜곡: 이들은 앞서 설명한 '정당화 스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도덕적 이탈 기제를 통해 자신의 괴롭힘 행위를 정당한 권리를 찾는 정의로운 투쟁으로 완벽하게 포장합니다.

 

4.2 더 큰 병리 현상의 증상: 공적 분노의 구조적 뿌리

 

악성 민원의 증가는 단순히 개인의 도덕적 실패가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라, 더 깊은 구조적 문제의 증상으로 보아야 합니다.

통계적으로 이 현상은 매우 광범위하며, 매년 수만 건의 위법 행위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주된 유형은 '폭언·욕설'이며, 대민 접점의 최전선에 있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에게 피해가 집중됩니다.26

이러한 행동은 본 보고서의 핵심 주제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 사회적 신뢰의 붕괴: 제도에 대한 깊은 불신과, 이 경쟁적이고 불공정한 사회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공격적이어야 한다는 믿음이 팽배합니다.20
  • 패배를 용납하지 않는 문화: 초경쟁 사회에서 민원 처리 거부와 같은 절차적 결과는 단순한 행정 행위가 아니라 개인적인 패배로 인식되어, 불균형적으로 격한 감정적 반응을 촉발합니다.20
  • 비효율적인 제도적 대응: 현행 공무원 보호 제도는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많습니다. 기관 차원의 고소·고발과 같은 법적 대응은 전체 위법 행위의 2%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드물어, 공격적인 행동을 제지하지 못하고 오히려 조장할 수 있습니다.26

결론적으로 악성 민원인은 예외적인 존재가 아니라, '탄광 속의 카나리아'와 같습니다. 이들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의 위험한 결합을 보여주는 상징적 존재입니다. 심리적 편향, 공감에 적대적인 디지털 환경, 그리고 극심한 사회·경제적 압박이 한 개인에게서 만났을 때 어떤 결과가 초래되는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는 사회적 계약이 무너지고, 정의로운 분노로 무장한 채 공감적 제약을 상실한 개인이 시스템과 전쟁을 벌이는 모습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결론 및 제언



종합 및 최종 분석

 

"내가 옳고 당신이 틀렸으니, 내가 당신에게 해를 입히는 것은 정당하다"는 믿음은 단일한 원인에서 비롯되지 않습니다. 이는 강력한 시너지 효과의 산물입니다. 즉, 인간의 본능적인 심리적 자기방어 기제('정당화 스택')가 공감에 적대적인 기술 환경과 초경쟁적이고 규범이 부재한 사회적 지형에 의해 극적으로 증폭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공감 능력의 결여와 피상적 정보에 기반한 행동이 문제의 핵심이라는 최초의 가설은 타당하지만, 본 보고서는 그 배후에 있는 정교한 인지적 기제, 신경과학적 기반, 기술적 촉매제, 그리고 사회 구조적 맥락을 밝힘으로써 더 깊은 차원의 이해를 제공했습니다.

 

재연결을 향한 길: 분열된 세상에서 공감 기르기

 

이러한 분석이 절망적인 결론으로 이어질 필요는 없습니다. 문제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이해한 만큼, 해결을 위한 건설적이고 증거에 기반한 제언이 가능합니다.

  • 개인적 차원: 인지 편향에 맞서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생각이 틀릴 수 있음을 인정하는 '지적 겸손'을 연습하고, 필터 버블을 깨기 위해 의도적으로 반대 의견을 찾아보는 노력이 중요합니다.17 또한 자신의 사고 과정을 한 단계 위에서 성찰하는 '메타인지' 훈련은 감정적 반응과 정보를 분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17
  • 사회적 차원: 인종이나 성별을 넘어 세대 간 관점의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다양성 관리' 프로그램을 사회 전반으로 확대하여 가치관의 격차를 줄여나가야 합니다.22 공적 분노의 근원이 되는 제로섬 경쟁 압력을 완화하고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시급합니다.
  • 기술 플랫폼 차원: 플랫폼 설계자들에게는 윤리적 책임이 요구됩니다. 단순히 사용자의 체류 시간을 늘리는 알고리즘이 아니라, 정보의 다양성과 사용자의 장기적인 안녕을 우선하는 방향으로 설계 철학을 전환해야 합니다. '정보 균형 지표'를 도입하거나 중립적인 정보 제공 영역을 확대하는 등의 시도는 긍정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17 우리가 소통하는 디지털 광장의 구조는 바꿀 수 있으며, 반드시 바뀌어야만 하는 중요한 변수입니다.

참고 자료

  1. 인지부조화 이론, 자기정당화 - 불유구,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luspj32.tistory.com/401
  2. 인지부조화 (r291 판) - 나무위키,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C%9D%B8%EC%A7%80%EB%B6%80%EC%A1%B0%ED%99%94?uuid=14e87c60-d8fa-49eb-b7aa-1a0fe2bad267
  3. 인지부조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A7%80%EB%B6%80%EC%A1%B0%ED%99%94
  4. [과학자의 세상읽기] 신희섭의 '뇌가 있는 풍경' - Vol.7 인지부조화의 해결: 양날의 칼,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ibs.re.kr/cop/bbs/BBSMSTR_000000000801/selectBoardArticle.do?nttId=20786&pageIndex=1&searchCnd=&searchWrd=
  5. 설득되지 않는 이유 : 인지부조화, 확증편향 - SeeHint,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www.seehint.com/word.asp?no=13729
  6. 문서뷰어,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mohw.go.kr/attachPreview.es?bid=0019&list_no=335516&seq=1
  7. 온라인에서의 도덕적 이탈과 인터넷 윤리교육의 과제,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pdfs.semanticscholar.org/fdd2/6bfb59daa2c83644ebcb6238892e8680fc7a.pdf
  8. 어머니, 교사, 청소년의 도덕적 이탈이 청소년의 직접공격성과 전위 ...,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kjhe.or.kr/xml/27219/27219.pdf
  9. T에게도 할 말은 있다, 공감의 과학 - 카이스트신문,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times.kaist.ac.kr/news/articleView.html?idxno=21638
  10. 서강학보 - 지식공작소,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scc.sogang.ac.kr/front/cmsboardview.do?currentPage=1&searchField=ALL&searchValue=&searchLowItem=ALL&bbsConfigFK=3630&siteId=sgunews&pkid=847164
  11. 거울뉴런(Mirror Neurons, 미러뉴런) - SeeHint,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www.seehint.com/word.asp?no=13318
  12. 온라인 탈억제 효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ko.wikipedia.org/wiki/%EC%98%A8%EB%9D%BC%EC%9D%B8_%ED%83%88%EC%96%B5%EC%A0%9C_%ED%9A%A8%EA%B3%BC
  13. 온라인 탈억제 효과 - 오늘의AI위키, AI가 만드는 백과사전,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iki.onul.works/w/%EC%98%A8%EB%9D%BC%EC%9D%B8_%ED%83%88%EC%96%B5%EC%A0%9C_%ED%9A%A8%EA%B3%BC
  14. [팩트체크] SNS 알고리즘이 극단화 야기?…'필터 버블' 실제 존재하나 ...,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925105900518
  15. 반향실 효과 - 나무위키,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B%B0%98%ED%96%A5%EC%8B%A4%20%ED%9A%A8%EA%B3%BC
  16. 필터 버블(filter bubble)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논문 컨설팅 후기,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prime-consulting.co.kr/board/board_view?code=case&no=206
  17. 알고리즘이 만드는 신념- 필터 버블(Filter Bubble) - 정신의학신문,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6198
  18. SNS 알고리즘과 극단화 논란…'필터 버블'은 존재하는가 - SNN (서울뉴스네트워크),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seoulnewsnetwork.com/article/6014
  19. [정태철 칼럼] 개인과 집단의 불화(不和)...한국은 초경쟁 사회, 초 ...,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civic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7746
  20. [악성민원, 일상의 공포가 되다·(中)] 전문가들의 진단은 - 경인일보,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kyeongin.com/article/1711420
  21. 11장. 한국인의 사회심리,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contents2.kocw.or.kr/KOCW/data/document/2018/hanseo/leetaeyeon0310/13.pdf
  22. 세대 다분화 시대에는 세대 공감 HR로 - LG경영연구원,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lgbr.co.kr/report/view.do?idx=16766
  23. 세대간 생각과 차이를 이해하자 - 월간 인재경영,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www.abouth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67
  24. [기획] 직장 내 세대차이에 대한 오해와 진실,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hrcopinion.co.kr/archives/26618
  25. 4차산업기술을 적용한 파주시 민원처리개선 방안 연구,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paju.go.kr/component/file/ND_fileDownload.do?id=8a942848-cf2b-49d8-9fb3-5928617615a9
  26. 악성민원 근절, 실효적인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방안 - 국회입법조사처,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m.nars.go.kr/fileDownload2.do?doc_id=1PMmzzMiUpe&fileName=
  27. 한국사회의 새로운 갈등구조와 국민통합,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kwdi.re.kr/inc/download.do?ut=A&upIdx=112987&no=1

 

서론: 새로운 현실을 위한 새로운 물질성

 

공간 컴퓨팅은 건축계에 강철이나 콘크리트의 도입만큼이나 심오한 패러다임 전환을 촉발하고 있다. 이 보고서의 핵심 논제는 데이터가 단순히 표현(representation)을 위한 도구, 예컨대 CAD 도면이나 스프레드시트의 역할을 넘어, 창조(creation)를 위한 근본적인 재료(material)로 변모하고 있다는 것이다.1 이는 고유의 속성, 행동 양식, 그리고 미학적 잠재력을 지닌 매체로서의 데이터의 등장을 의미한다. 과거 컴퓨터를 단지 '그림 그리는 기계'로 간주했던 시각에서 벗어나 3, 이제 우리는 컴퓨터를 새롭고 역동적인 실체를 생성하고 조작하는 엔진으로 인식해야 한다.

여기서 '재료로서의 데이터'는 물리적 실체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는 공간을 구조화하고 그 공간과 우리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동적이고, 반응하며, 경험적인 매체를 지칭한다. 이 '데이터-재료'는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처리하며, 반응하는 능력을 특징으로 하며, 건축 환경의 구조 속에 지능적인 행동의 층위를 효과적으로 엮어 넣는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새로운 물질성의 가능성을 여는 기술적 '스택(stack)'을 분석하는 것에서 시작하여(1부), 이론적 렌즈를 통해 그 고유한 속성을 정의하고(2부), 구체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실제 적용 사례를 탐구하며(3부), 이것이 건축이라는 전문 직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후(4부), 마지막으로 그 심오한 윤리적 함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결론) 마무리될 것이다.


1부: 공간 컴퓨팅 스택 – 새로운 건축의 토대

 

이 장에서는 데이터가 재료로 취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생태계를 해부한다. 이는 새로운 건축 실무의 기반을 형성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정립하는 과정이다.

 

1.1 디지털-물리적 연속체: 공간 매체의 정의

 

공간 컴퓨팅의 핵심은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통합으로 정의되며, 이는 연산을 2차원 평면 스크린에서 해방시켜 3차원 공간으로 확장하는 것을 의미한다.1 이로써 디지털 정보와 물리적 환경이 동일한 공간에 공존하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매체가 창조된다.

이러한 매체를 구현하는 핵심 기술은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그리고 혼합현실(MR)이다.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 위에 디지털 정보를 겹쳐 보여주고, 가상현실은 완전한 몰입형 디지털 환경을 생성하며, 혼합현실은 상호작용 가능한 디지털 객체가 물리적 세계에 고정되어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한다.1 이 기술들은 단순히 시각화 도구에 머무르지 않고, 데이터-재료가 적용되고 경험되는 캔버스 그 자체가 된다. 건축가에게 이는 설계안을 건설 현장에 가상으로 투영하거나(AR), 착공 전에 클라이언트가 공간을 완전히 탐색할 수 있음(VR)을 의미한다.1

이 기술적 전환은 건축의 결과물을 정적인 표현물(도면)에서 역동적이고 탐색 가능한 경험으로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며, 설계와 현실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7 건축가는 더 이상 공간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체험 가능한 세계를 직접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1.2 인식과 투사의 도구: 하드웨어 레이어

 

하드웨어 레이어는 물리적 세계를 데이터로 포착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다시 그 세계로 투사하는 장치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공간 컴퓨터의 감각 기관 역할을 수행하며, 그 대표적인 사례는 Apple Vision Pro이다. Apple은 이 기기를 단순한 헤드셋이 아닌 최초의 '공간 컴퓨터'로 명명하며 새로운 컴퓨팅 시대를 선언했다.5

Apple Vision Pro의 정교한 센서 시스템은 이 기기가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현실을 매개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시각 및 공간 감지를 위해 12개의 카메라(스테레오스코픽 3D 캡처를 위한 2개의 고해상도 메인 카메라, 6개의 외부 추적 카메라 포함), TrueDepth 카메라, 그리고 LiDAR 스캐너가 탑재되어 있다.8 이 센서들은 사용자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상세하게 3D 매핑하여 디지털 객체를 현실 공간에 정확히 고정시키는 기반을 제공한다.8

더 나아가, 이 기기는 생체 데이터를 감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4개의 내부 시선 추적 카메라를 포함한다.9 이 시스템은 단순히 시선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예: 바라보고 선택하기)를 넘어, 사용자의 주의력과 집중도에 대한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이 데이터는 시선이 머무는 곳의 렌더링 품질을 높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포비티드 렌더링(foveated rendering)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인간의 경험을 데이터로 직접 포착하는 통로가 된다.8 홍채 기반의 Optic ID는 생체 데이터를 보안 인증에 통합한다.9 또한, 4개의 관성 측정 장치(IMU), 깜빡임 센서, 주변광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주변 환경 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9

이러한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Apple은 독특한 듀얼 칩 아키텍처를 채택했다. M 시리즈 칩(예: M5)은 고수준의 연산, 그래픽, AI 작업을 처리하는 반면, 전용 R1 칩은 모든 센서로부터의 입력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광자-광자 지연 시간(photon-to-photon latency)을 12밀리초까지 단축시킨다.8 이 아키텍처는 디지털과 물리적 세계의 혼합을 끊김 없이 즉각적으로 만들어, 데이터가 지연된 중첩(overlay)이 아닌 반응하는 재료처럼 느껴지게 하는 전제 조건을 충족시킨다.

이처럼 특정 하드웨어의 센서 구성은 현실의 어떤 측면이 포착되고 디지털화될 수 있는지를 규정한다. Vision Pro가 시각, 공간, 그리고 생체(시선 추적) 데이터에 크게 의존한다는 사실은, 이 데이터 스트림들이 공간 컴퓨터의 '감각'을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건축가들이 작업할 수 있는 데이터-재료의 종류를 결정짓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기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데이터(예: 냄새, 특정 열 속성)는 '비물질적'인 것으로 남게 된다. 즉, 하드웨어의 설계는 건축 실무에 특정 '세계관' 또는 감각 모델을 부과하며, 기술이 건축 환경 '지능'의 매개변수를 정의하는 피드백 루프를 생성한다.

특성 Apple Vision Pro Microsoft HoloLens 2 Magic Leap 2
장치 유형 공간 컴퓨터 (MR/VR) 혼합현실(MR) 헤드셋 증강현실(AR) 헤드셋
CPU/GPU Apple M5 (10코어 CPU, 10코어 GPU), Apple R1 Qualcomm Snapdragon 850 Compute Platform, Custom HPU AMD 쿼드코어 Zen 2 x86, AMD GFX10.2
디스플레이 Micro-OLED (눈당 2300만 픽셀 이상) 웨이브가이드, 레이저 기반 MEMS (눈당 2k) 액정 온 실리콘(LCoS), 웨이브가이드 (1440x1760)
센서 고해상도 카메라 2개, 외부 추적 카메라 6개, 시선 추적 카메라 4개, TrueDepth 카메라, LiDAR 스캐너, IMU 4개, 주변광 센서 ToF 깊이 센서 1개, 헤드 트래킹 카메라 4개, 시선 추적 카메라 2개, 8MP 카메라, IMU 카메라 3대(광각, 협각, RGB), 깊이 센서, 주변광 센서, 시선 추적 카메라
상호작용 시선, 손, 음성 손 추적, 시선 추적, 음성 명령 6DoF 컨트롤러, 손 추적, 시선 추적
주요 건축 응용 몰입형 디자인 검토, 개인화된 클라이언트 경험, 원격 협업, '무한한 책상'을 통한 생산성 향상 현장 AR 오버레이, 건설 진행 상황 추적, 원격 전문가 지원, 복잡한 어셈블리 가이드 공유 가상 환경에서의 협업, 도시 계획 시뮬레이션, 실물 크기 디자인 시각화

 

1.3 현실의 엔진: 세계 구축을 위한 소프트웨어 레이어

 

소프트웨어 레이어는 데이터-재료를 시각화하고 상호작용 가능하게 만드는 현실 구축의 엔진이다. Unreal Engine과 Unity와 같은 플랫폼들은 게임 엔진에서 출발하여 건축 시각화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필수 도구로 진화했다.1

특히 Unreal Engine은 건축가에게 실시간 렌더링 기능을 제공하여 재료, 조명, 공간 배치 등의 디자인 변경 사항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가능하게 한다.12 이는 과거 몇 시간 또는 며칠이 걸리던 오프라인 렌더링 방식과 근본적인 차이를 만든다. 이러한 속도 향상은 단순히 양적인 개선을 넘어, 디자인 프로세스를 하나의 '퍼포먼스'로 바꾸는 질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건축가는 이제 디자인을 악기처럼 '연주'하며 데이터 기반 파라미터를 조작하고 그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전통적인 선형적 디자인-렌더링-검토 주기를 지속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순환 고리로 압축시킨다.

Unreal Engine은 Datasmith와 같은 도구를 통해 CAD 및 BIM 패키지의 데이터를 가져와 기술 도면에서 몰입형 사실적 경험으로 원활하게 전환하는 워크플로우를 지원한다.7 동적 전역 조명을 위한 Lumen, 방대한 기하학적 디테일을 렌더링하는 Nanite와 같은 기능들은 가상 세계를 설득력 있게 현실적으로 만든다.13

이러한 소프트웨어와 Vision Pro와 같은 하드웨어의 통합은 최종적인 연결 고리를 형성한다. Unreal Engine에서 OpenXR visionOS 플러그인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핸드 트래킹과 같은 기기 기능에 접근할 수 있다.14 이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통합은 기기 센서에 의해 포착된 데이터가 엔진이 렌더링하는 가상 환경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여, 데이터가 진정으로 반응하는 재료로 기능하게 만든다.


2부: 데이터-재료의 속성

 

이 장에서는 건축 이론을 바탕으로 데이터 자체의 본질을 분석하여, 재료로서의 데이터가 지닌 고유한 특성을 정의하고 핵심적인 이론적 논거를 전개한다.

 

2.1 정보에서 실체로: 새로운 이론적 프레임워크

 

건축 이론가 앙투안 피콘(Antoine Picon)은 컴퓨터를 수동적인 도구가 아닌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는 '비인간 행위자(non-human actor)'로 묘사한다.16 컴퓨터의 '두께(thickness)', 즉 디자이너의 의도를 매개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층위는 우리의 인식과 물리적 경험을 재구성한다.16 이 프레임워크는 이 행위자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어떻게 고유한 주체성과 존재감을 획득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재료로서의 데이터가 가진 본질적인 속성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생동성(Liveness): 정적인 재료와 달리, 데이터는 실시간 흐름(flow)이다. 이는 시스템, 환경, 또는 사람의 현재 상태를 반영한다.
  • 반응성(Responsiveness): 데이터-재료는 다른 데이터 스트림에 반응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어, 복잡하고 적응적인 행동을 가능하게 한다.
  • 시간성(Temporality): 데이터-재료는 기억을 가진다. 과거의 상태를 기록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도 있어, 건축이 시간이라는 차원에 명시적으로 관여하게 만든다.17
  •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데이터-재료는 본질적으로 참여적이다. 이는 거주자에 의해 영향을 받고 또 거주자에게 영향을 미치도록 설계되어, 주체와 객체, 관찰자와 피관찰자 사이의 구분을 허문다.18

 

2.2 생체 데이터의 직조: 인간 거주자의 감지

 

생체 데이터는 인간 거주자를 수동적인 사용자에서 건축 시스템의 능동적인 구성 요소로 변환시킨다. 이 변화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시선 추적(eye-tracking) 기술이다. 시선 추적은 동공 중심 각막 반사(PCCR)와 같은 기술을 통해 시선점(gaze point), 시선 벡터(gaze vector), 히트맵(heat map), 그리고 단속적 안구 운동(saccade)과 같은 데이터를 생성한다.19 이 데이터는 주의력, 인지 부하, 심지어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강력한 대리 지표로 기능한다.19

Unity와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는 개발자들은 XR 플러그인과 API를 통해 이 시선 추적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21 이러한 접근은 android.permission.EYE_TRACKING_FINE과 같은 명시적인 사용자 권한을 요구하며, 이는 데이터의 민감한 성격을 처음부터 강조한다.22

핵심은 이 생체 데이터 스트림이 단순히 분석을 위한 것이 아니라, 건축적 행동을 이끌어내는 문자 그대로의 입력값이 된다는 점이다. 환경은 사용자가 어디를 보는지에 따라 조명을 바꿀 수 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축적된 움직임과 주의력 패턴을 기반으로 공간 구성을 재배치할 수 있다. 거주자의 시선은 주변 공간을 깎아내는 '끌(chisel)'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간 생체 및 환경 데이터의 통합은 건물과 거주자 간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전통적인 건축은 건물이 사용자에게 형태를 부과하는 일방적인 독백(monologue)에 가까웠다. 그러나 이제 건물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말을 '듣고', 작동 시스템을 통해 '응답'하며, 사용자는 다시 건물의 반응에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지속적인 피드백 루프, 즉 대화(dialogue) 관계를 형성한다. 사용자의 행동이 데이터로 포착되고, 이는 환경의 변화를 유발하며, 사용자는 그 변화를 인지하고 새로운 행동으로 반응하는 순환 과정이 바로 건축이 대화적 파트너로 거듭나는 구조적 기반이다.

 

2.3 환경의 맥박: 맥락적 환경의 감지

 

데이터-재료의 개념은 개인의 규모를 넘어 도시 규모로 확장될 수 있다. MIT 센서블 시티 랩(Senseable City Lab)과 카를로 라티(Carlo Ratti)의 연구는 도시 공간을 뒤덮은 디지털 정보를 활용하여 도시를 더 잘 이해하고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6

그들의 프로젝트는 도시 데이터 흐름을 디자인 매체로 취급한다. 예를 들어, '쓰레기 추적(Trash Track)' 프로젝트는 폐기물 관리 시스템을 가시화하여 참여자들의 행동 변화를 유도했다.27 '맛있는 데이터(Tasty Data)' 프로젝트는 레스토랑 데이터를 사용하여 미시적인 수준에서 사회경제적 요인을 예측함으로써, 상업 활동으로부터 도시의 사회적 구조를 '읽어냈다'.28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하수, 휴대폰, 상업 목록 등 이질적인 출처의 데이터가 어떻게 집계, 시각화되어 '지각 있는(sentient)' 도시 환경을 창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27 이 환경은 시민들의 요구에 실시간으로 반응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인프라, 환경, 그리고 인간 활동을 하나의 역동적인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재료가 된다.

이는 전통적인 건축에서 '대지(site)'의 개념이 급진적으로 확장됨을 시사한다. 과거에 '대지'는 물리적 위치와 그 주변 맥락을 의미했다. 그러나 공간 컴퓨팅 시대의 '대지'는 이제 디지털 네트워크, 데이터 스트림, 심지어 사용자들의 생체 상태까지 포함한다. 반응형 공간을 설계하는 건축가는 이제 네트워크 지연 시간, 사용 가능한 API, 그리고 미래 거주자들의 인지-감정 패턴에 대한 '대지 분석'을 수행해야 한다. 건축가는 더 이상 땅 위에 건물을 짓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정보 네트워크 안에 건물을 구축하는 것이다.


3부: 데이터 주도 공간 건축 사례 연구

 

이 장에서는 2부에서 논의된 이론적 개념들이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는지 보여주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사례들을 탐구한다. 데이터를 주요 매체로 사용하여 공간 경험을 창조하는 예술가와 건축가들의 작업을 통해 데이터-재료의 실천적 가능성을 조명한다.

 

3.1 감각의 건축: 생체 데이터의 시학

 

미디어 아티스트 라파엘 로자노-헤머(Rafael Lozano-Hemmer)는 '관계적 건축(relational architecture)'과 '연결적, 사회적, 행위적 경험'을 창조하는 작업을 통해 보이지 않는 생체 데이터를 강력하고 공유된 공간 현상으로 변환하는 데 탁월한 역량을 보여준다.29

그의 작품 *펄스 토폴로지(Pulse Topology, 2021)*는 3,000개의 전구로 구성된 몰입형 설치물로, 각 전구는 과거 참여자의 심장 박동 기록에 맞춰 깜빡인다. 새로운 방문객이 자신의 심장 박동을 추가하면, 가장 오래된 기록이 대체된다.30 여기서 심장 박동이라는 생체 데이터 스트림은 빛과 리듬으로 직접 번역되어, 공간의 분위기를 정의하는 주요 건축 재료가 된다. 이는 참여자들 사이에 깊은 연결감과 죽음을 상기시키는 감각(memento mori)을 불러일으킨다. 이 작품은 개인의 데이터를 활용하되 그것을 집단적 경험으로 추상화함으로써 새로운 종류의 공공 공간을 창조한다. 이 공간은 지리적 공유가 아닌 생물학적, 데이터적 공유에 기반을 둔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몸에서 나온 내밀한 리듬 데이터를 통해 익명의 타인들과 연결되며, 이는 '데이터 기반 공감'이라는 독특한 형태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한다.

또 다른 작품 *스펙트럴 서브젝츠(Spectral Subjects)*는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여 방문객의 체온을 포함한 실내의 실시간 열 지도를 보여주는 열 관측소이다.31 이는 존재의 '열적 메아리'를 물질화하여, 보이지 않는 온도 데이터를 공간과 그 점유에 대한 가시적이고 진화하는 초상으로 만든다.

건축가 필립 비슬리(Philip Beesley)는 '하일로조익(Hylozoic)' 건축, 즉 모든 물질이 잠재적으로 살아있다는 개념을 탐구하는 '반응형 환경'을 창조한다.32 그의 *하일로조익 시리즈(Hylozoic Series)*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센서, 경량 액추에이터의 복잡한 격자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방문객의 존재와 움직임에 반응하여 '숨 쉬고, 깜빡이며, 흔들린다'.32 근접 센서가 사람을 감지하면 구조 전체에 연쇄 반응이 일어난다. 여기서 인간 존재에 대한 데이터는 단순히 시각화되는 것을 넘어, 건축 시스템에 생명을 불어넣는 에너지가 되어 마치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행동하게 만든다. 비슬리의 작업은 건축의 가치가 내구성에서 반응성과 잠재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32

비슬리의 작업은 시각적으로 복잡하지만, 그 핵심적인 미학적 특성은 정적인 형태가 아니라 역동적인 행동에 있다.32 하일로조익 환경의 '아름다움'은 그것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놀랍고 생명과 같은 회복탄력성에 있다.32 이는 데이터가 재료가 됨에 따라, 건축 미학이 형태, 비례, 구성의 원리에서 행동, 반응성, 그리고 그것이 촉진하는 상호작용의 질에 대한 원리로 평가 기준이 이동할 것임을 시사한다. 이는 객체의 미학에서 시스템의 미학으로, 기하학에서 행동으로의 근본적인 전환을 의미한다.

 

3.2 지각 있는 도시: 도시 규모의 데이터 물질화

 

카를로 라티와 MIT 센서블 시티 랩의 작업은 데이터-재료의 원리가 어떻게 도시 수준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디자인의 초점을 정적인 객체에서 역동적인 시스템으로 전환시킨다.26

도시 규모에서 데이터 시각화는 단순한 정보 표현을 넘어선 도시적 개입 행위가 된다. 도시 전역의 실시간 교통 패턴이나 에너지 소비량을 시각화하여 대중에게 공개하거나 정책 입안자에게 제공할 때, 이 시각 자료들은 도시 구조의 능동적인 일부가 된다. 이는 도시가 스스로를 이해하고, 시민들이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유형의 '지각 있는' 인프라이다. '쓰레기 추적' 프로젝트에서 볼 수 있듯이, 데이터는 이해를 구축하고, 변화를 촉진하며, 더 반응적인 도시 정책을 설계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가 된다.27


4부: 데이터 포화 세계의 건축가, 시스템 디자이너

 

이 장에서는 새로운 데이터-물질성이 건축가의 정체성, 역할, 그리고 작업 방식에 미치는 심대한 영향을 검토하며, 전문 직능 자체의 재정의를 주장한다.

 

4.1 형태 찾기를 넘어서: 새로운 건축 워크플로우

 

전통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는 도면과 같은 정적인 표현물로 귀결된다.2 반면, 공간 컴퓨팅이 가능하게 한 새로운 워크플로우는 이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Unreal Engine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디자인 과정은 고정된 도면 세트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 상호작용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과정이 된다.7

Vision Pro와 같은 기기가 구현하는 '무한한 책상(Infinite Desk)' 개념은 디자인을 물리적인 책상과 사무실로부터 해방시킨다.34 이는 디자인 모델이 어디서든 접근 가능한 공유되고 영속적인 가상 환경이 되는, 지속적이고 역동적인 공간 협업의 미래를 제시한다.34 이러한 변화는 건축을 생산물 기반의 실무에서 서비스 기반의 협업적 실무로 전환시킨다.

전통적인 모델에서 건물은 건설이 끝나면 '완성'된다. 그러나 데이터 기반의 반응형 건물은 결코 완성되지 않는다. 그것은 수명 주기 동안 업데이트, 패치, 재구성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주입 플랫폼이다. 건축 서비스는 설계와 시공을 넘어 건물의 행동적 '운영 체제'를 장기적으로 관리하고 큐레이션하는 영역까지 확장된다. 이는 건축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와 유사한 지속적인 서비스로 재구성한다.

 

4.2 상호작용의 안무: 건축가의 새로운 역할

 

건축가의 역할은 형태와 물질을 다루는 장인(master builder)에서 행동과 상호작용을 다루는 시스템 디자이너로 진화하고 있다. 존 마누체리(John Manoochehri)가 지적했듯이, 이제 초점은 '디자인, 건축, 엔지니어링, 게임 엔진, 그리고 새로운 하드웨어의 교차점'에 있다.35

건축가는 이제 공간이 어떻게 감지하고 반응하는지를 지배하는 논리를 설계해야 한다. 그들은 데이터 흐름의 안무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의 큐레이터, 그리고 공간 경험의 시나리오 작가가 된다. 그들의 핵심 기술은 더 이상 공간 구성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는 복잡한 적응 시스템의 설계이다. 이를 위해서는 계산적 사고, 데이터 과학, 인터랙션 디자인을 포함하는 새로운 기술 역량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책임과 법적 문제를 야기한다. 만약 건물이 상호작용 시스템이라면, 그것이 '오작동'했을 때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AI 기반 설계 시스템이 부정적인 심리적 또는 사회적 결과를 초래하는 방식으로 공간을 최적화했다면, 건축가에게 책임이 있는가, 아니면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있는가? 데이터-재료의 사용은 전문적 책임과 창작의 저자성에 대한 복잡한 새로운 질문을 제기한다. 이는 건축가를 유일하고 권위 있는 창작자로 보는 전통적인 모델에 도전한다. 데이터 기반 건물에서 성능은 센서, 소프트웨어 로직, 데이터 처리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종종 투명하지 않은 AI나 제3자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잡한 시스템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인과 관계의 사슬이 모호해지며, 인간 디자이너의 명시적 결정에 중심을 둔 전통적인 건축적 저자성과 책임의 개념은 더 이상 이러한 분산된 주체성을 가진 사회-기술 시스템을 다루기에 충분하지 않다.


결론: 윤리적 청사진 – 건축 환경에서의 감시 자본주의 항해

 

이 마지막 장에서는 사회-정치 이론을 건축의 미래에 적용하여 비판적 종합을 제시하고, 실무를 위한 윤리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5.1 벽 속의 '거대한 타자': 주보프의 테제를 3차원으로 구현하다

 

쇼샤나 주보프(Shoshana Zuboff)의 '감시 자본주의(surveillance capitalism)' 개념은 인간의 경험을 행동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무상의 원자재로 일방적으로 주장하고, 이를 '예측 상품'으로 만들어 '행동 미래 시장'에서 판매하는 경제 논리를 의미한다.17 여기서 핵심은 수동적인 감시(monitoring)에서 능동적인 '작동(actuating)', 즉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익성 있는 결과로 우리의 행동을 '조율하고, 몰아가며, 조건화'하는 것으로의 전환이다.37

데이터 기반의 건축 환경은 감시 자본주의의 궁극적인 개척지이다. 거주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그들의 기분, 집중력, 또는 구매 결정을 조종하기 위해 미묘하게 환경을 변경하는 반응형 건물은 주보프가 말하는 '행동 수정 수단'의 물리적 현현이다. '판옵티콘: 사생활의 계시(Panopticon: A Privacy Revelation)'라는 학위 논문 프로젝트는 물리적 벽이 더 이상 사생활을 보호하지 못하는 이 끔찍한 잠재력을 직접적으로 탐구한다.38

 

5.2 주체성을 위한 디자인: 데이터-물질성을 위한 윤리적 프레임워크

 

이러한 기술의 이면에는 심각한 윤리적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생체 데이터는 고유하고 변경 불가능하며 지극히 개인적이다.39 건축 공간에서 이러한 데이터의 수집은 엄청난 사생활 침해 우려를 낳으며, 차별, 신원 도용, 사회적 통제의 위험을 야기한다.39

이러한 위험에 대응하여, 데이터-재료를 다루는 건축가를 위한 다음과 같은 실천적 원칙을 제안한다:

  • 투명성과 가독성(Transparency and Legibility): 건물의 감지 및 반응 시스템은 거주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사람들은 무엇이, 왜 감지되는지 알 권리가 있다.
  • 동의와 통제(Consent and Control): 거주자는 필수 기능 상실 없이 거부할 수 있는 명확한 권리를 포함하여, 자신의 개인 데이터 수집 및 사용에 대한 의미 있는 통제권을 가져야 한다.
  • 데이터 최소화(Data Minimization): 건축가는 '행동 잉여' 추출의 논리를 피하고, 의도된 기능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만 수집해야 한다.
  • 순응이 아닌 주체성을 위한 디자인(Designing for Agency, Not Compliance): 반응형 건축의 궁극적인 목표는 기업의 이익에 봉사하는 완벽하게 최적화되고 통제된 '군집(hive)'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주체성, 자유, 그리고 웰빙을 향상시키는 것이어야 한다.17 건축가의 역할은 예측 불가능할 수 있는 권리, 즉 미래 시제에 대한 인간의 권리를 수호하는 것이다.

공간 컴퓨팅 시대는 건축가를 중대한 기로에 서게 한다. 전례 없는 공감과 시적 감성을 지닌 환경을 창조할 도구가 주어졌지만, 바로 그 도구들이 새로운 형태의 통제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인류에 봉사하는 건축과 감시 자본에 봉사하는 건축 사이의 선택이 21세기 건축이라는 전문 직능을 정의하게 될 것이다. 진정한 도전은 기술적인 것이 아니라 윤리적인 것이다.

참고 자료

  1. Spatial Computing In Architecture - Meegle,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meegle.com/en_us/topics/spatial-computing/spatial-computing-in-architecture
  2. Materials in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Software: A Case Study - CumInCAD,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papers.cumincad.org/data/works/att/ijac20031106.content.pdf
  3. A short but believable history of the digital turn in architecture - Jencks Foundation,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jencksfoundation.org/explore/text/a-short-but-believable-history-of-the-digital-turn-in-architecture
  4. What is Spatial Computing? - Treeview Studio,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treeview.studio/blog/what-is-spatial-computing
  5. Spatial computing - Wikipedia,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Spatial_computing
  6. www.meegle.com,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meegle.com/en_us/topics/spatial-computing/spatial-computing-in-architecture#:~:text=Architects%20can%20use%20spatial%20computing,their%20designs%20before%20construction%20begins.
  7. Architecture Design Software & 3D Rendering Visualization Engine - Unreal Engine,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unrealengine.com/en-US/uses/architecture
  8. Apple Vision Pro and Spatial Computing - What it Means for Enterprises - Infosys,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infosys.com/services/incubating-emerging-technologies/documents/apple-vision.pdf
  9. Apple Vision Pro - Tech Specs,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support.apple.com/en-in/117810
  10. Apple Vision Pro - Technical Specifications,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apple.com/apple-vision-pro/specs/
  11. Apple Vision Pro - Wikipedia,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Apple_Vision_Pro
  12. Architectural Visualization and Unreal Engine: Advantages and Prospects - Visengine,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visengine.com/architectural-visualization-and-unreal-engine/
  13. Using Unreal Engine for Architecture Visualization: UE Archviz Features, Benefits, and Challenges | Perforce Software,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perforce.com/blog/vcs/unreal-engine-architecture-visualization
  14. Apple Vision Pro Quick Start Guide | Epic Developer Community,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dev.epicgames.com/community/learning/tutorials/1JWr/unreal-engine-apple-vision-pro-quick-start-guide
  15. Unreal Engine to Apple Vision Pro in Under 2 Minutes - YouTube,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2d_eFOUmYC8
  16. ARCHITECTURE AND THE VIRTUAL TOWARDS A NEW ...,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celop.pbworks.com/w/file/fetch/97219107/Picon-Architecture%20and%20the%20Virtual%2C%20PRAXIS.pdf
  17. The Age of Surveillance Capitalism: The Fight for a Human Future at the New Frontier of Power - Book - Faculty & Research,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hbs.edu/faculty/Pages/item.aspx?num=56791
  18. (PDF) Toward Responsive Architectures - ResearchGate,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8839316_Toward_Responsive_Architectures
  19. Eye Tracking - iMotions,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imotions.com/eye-tracking/
  20. Eye-Tracking Applications in Architecture and Design - MDPI,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2673-8392/4/3/86
  21. Eye Tracking - PICO Developer,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developer.picoxr.com/document/unity/eye-tracking/
  22. Develop with Unity for Android XR | Android Developers,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developer.android.com/develop/xr/unity
  23. Eye tracking | Varjo for developers,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developer.varjo.com/docs/unity-xr-sdk/eye-tracking-with-varjo-xr-plugin
  24. Generic Eye Tracking Data | MagicLeap Developer Documentation,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developer-docs.magicleap.cloud/docs/guides/unity/input/eye-tracking/input-system-eye-tracking/
  25. Unity: Getting The Data of Eye Tracker (Beta) | VIVE OpenXR - Developer Resources,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developer.vive.com/resources/openxr/unity/tutorials/face-data/getting-the-data-of-eye-tracker/
  26. MIT Senseable City Lab,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senseable.mit.edu/
  27. 5 Q's for Carlo Ratti, Director of MIT's Senseable City Lab - Center for Data Innovation,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datainnovation.org/2016/09/5-qs-for-carlo-ratti-director-of-mits-senseable-city-lab/
  28. Tasty Data - MIT Senseable City Lab,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senseable.mit.edu/tasty-data/
  29. Rafael Lozano-Hemmer - bitforms gallery,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bitforms.art/exhibition/rafael-lozano-hemmer/
  30. Rafael Lozano-Hemmer: Common Measures | Pace Gallery,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pacegallery.com/exhibitions/rafael-lozano-hemmer-common-measures/
  31. Projects - Rafael Lozano-Hemmer,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lozano-hemmer.com/projects.php
  32. Philip Beesley: Being responsive | ArchitectureAu,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architectureau.com/articles/being-responsive/
  33. TEDxUW - Philip Beesley - Building living architecture - YouTube,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L8AvW5CSvys
  34. Design in the Age of the Infinite Desk - IA Interior Architects,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interiorarchitects.com/design-in-the-age-of-the-infinite-desk/
  35. 147: 'The Era of Spatial Computing', with John Manoochehri - TRXL,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trxl.co/147/
  36. The Age of Surveillance Capitalism - Wikipedia,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The_Age_of_Surveillance_Capitalism
  37. Harvard professor says surveillance capitalism is undermining ...,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news.harvard.edu/gazette/story/2019/03/harvard-professor-says-surveillance-capitalism-is-undermining-democracy/
  38. "Panopticon: A Privacy Revelation" by Kexin Wang and Zhexu Yang,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surface.syr.edu/architecture_tpreps/440/
  39. Ethical and Legal Considerations in Biometric Data Usage—Bulgarian Perspective - PMC,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816334/
  40. The Ethics of Biometric Fingerprint Technology: Balancing Security and Privacy - Digital Transformation of Government Services, 10월 25, 2025에 액세스, https://www.m2sys.com/blog/fingerprint/ethic-of-biometric-fingerprint-technology/

 

+ Recent posts